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7/11 13:43:41
Name 피쟐러
File #1 s05OFi814bqp2hiqlo.jpg (440.3 KB), Download : 55
출처 slr자게
Subject [서브컬쳐] 저축해서 집사자


연리 33.1인데 아직 주식하는 흑우없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7/11 13:4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은 빚없고 조금이라도 모아야 한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의 시대는 전혀 다르죠.
及時雨
20/07/11 13:45
수정 아이콘
와...
20/07/11 13:54
수정 아이콘
대출도 저 정도라는 소리니 진짜 이세계 보는 느낌이 드네요
-안군-
20/07/11 13:56
수정 아이콘
당연히 대출은 금리가 더 쎘고, 대출기준도 훨씬 높았습니다. 80년대만 해도 어느 정도 이상 소득과 재산이 없으면 신용카드를 만들어 주지도 않았고요.
-안군-
20/07/11 13:58
수정 아이콘
제가 99년에 직장인 재형저축(10년만기, 세금공제)에 가입했었는데, 그때만 해도 연복리 10% 대였어요. 집안이 기울면서 그 통장 깨버린게 아직도 천추의 한입니다. 월 30씩만 부었어도 2009년에 억대의 현금을 쥘 수 있었는데...
몽키매직
20/07/11 14:01
수정 아이콘
옛날에 빚내서 집샀으면 부자됬다는 이야기가 헛소리인 이유죠. 그 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
피쟐러
20/07/11 14:05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30프로씩 오르는데 예금이 짱인시대네요
-안군-
20/07/11 14:31
수정 아이콘
당시에 서민이 집을 살 수 있는 방법은 주택복권 당첨 뿐이었죠. 크크크...
20/07/11 15:42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저때 빚냈으면 대출이자가 대체 몇프로... 전세라는 사금융이 생길만 했다는 생각도 드네요
마술유리창
20/07/11 16:19
수정 아이콘
1억 대출하면 매년 이자만 3천만원...
맥크리발냄새크리
20/07/11 14:08
수정 아이콘
저때 월급은 어느정도였나요??
츠라빈스카야
20/07/11 14:13
수정 아이콘
금리가 저정도라는건 딴걸 하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었다는거...
퍼플레임
20/07/11 14:49
수정 아이콘
홈 라이언
소사이어티게임
20/07/11 15:00
수정 아이콘
저 때 자영업 잘되던 곳은 돈을 정말 쓸어 담았다고 하더군요.
현금 거래 시대에 세무조사 대비 몸 사리면서 돈 쓰던 시절도 아니라

아이들 용돈으로 현관 입구 항아리에 현금 넣어두고 꺼내 쓰라는 도시전설이 이 때 만들어졌다더군요 크크
20/07/11 15:12
수정 아이콘
금리가 저렇게 높던 70년대 시절에도 '그냥 모으기만 해서는 절대 답이없다'고 생각하던 분들도 많았습니다. 금리를 자산증식의 원천으로 삼지는 않았죠.
금리보다는 집값이 무조건 많이 올라가니, 아주 허름한 집이더라도 일단 무조건 사기만 하면 되는 때였습니다. 요즘 사람들 기준으로 보면 저렇게 좁고 허름한데서 사람이 어떻게사나 싶은 곳이더라도 금리와는 비교가 안되게 오릅니다. 그걸 사느냐 마느냐에 따라서 그 이후 격차가 크게 확대되죠.
금리가 얼마건 무관하게 통장에 돈을 모으는건 기본적으로 보관을 위해서 모으는거고, 좀 모였다 싶으면 전부 집사는데, 갈아타는데 몰빵을 해야 유리한 때입니다. 저희집의 경우도 통장에 돈이 많았던 적은 거의 없었을겁니다. 자산의 대부분은 항상 주택이었죠.
피쟐러
20/07/11 16:31
수정 아이콘
아니 이렇게 금수저 자랑을!
20/07/11 17:02
수정 아이콘
달동네 중에서도 정말 최악인 곳에서 월세로 시작을 했다고 합니다. 당시에 다들 그렇게 살았긴 하지만 그 중에서도 유난히 심했다고 합니다. 주변에 친구들이 다들 '여기는 사람 살데가 아니'라고 했다고 하네요. 그렇게 엄청나게 아껴쓰고 모은 후 당시에 살 수 있는 가장 최저가격의 집을 샀다고 합니다.

그런데 당시 사람들의 인식이 의외로 '집을 무조건 빨리 사야한다'는 아니었다고 합니다. 가능하면 충분히 돈을 모아서 좀 살만한걸 사야한다 쪽이었고, 너무 안좋은 집을 사려고 하니 '그런건 안사느니만 못하다'며 주변에서 말렸다고도 합니다.
근데 나중에 가서보니 그걸 사느냐 마느냐가 엄청나게 중요한 문제였던겁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게 무슨 부자가 되느냐 마느냐 하는 그런 갈림길은 아닙니다. 최하층이냐 중간층이냐를 결정하는거죠. 그때 집을 샀던 분들이 나중에 10년쯤 지나서 한 88올림픽 즈음 혹은 그 이후에 24~33평 아파트를 살 수 있게 되고, 그때 안샀던 분들은 그보다 몇년 이상 늦어집니다.
안철수
20/07/11 15:27
수정 아이콘
미국에는 고금리 시절에 발행한
연리10% 이상의 무기한 채권이 있다는 도시전설이 있죠.
20/07/11 16:14
수정 아이콘
저게 예금적금보다 매력적인 투자처가 많으니, 사람들이 예금적금을 안하고, 그러니까 예금 적금좀 하라고 저렇게 이자를 퍼주는거죠

'저때 빚내서 집사면 부자됐다는 말은 저시대 살아보지 못한사람이 하는 말이죠'도 저시대 살아보지 못한사람이 하는 말이죠
CapitalismHO
20/07/11 19:43
수정 아이콘
인플레도 개쩔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1918 [서브컬쳐] 다시 봐도 가슴이 웅장해지는 영화. 퍼시픽림 [68] 카루오스10088 20/07/15 10088
391917 [유머] 연애하던 시절 현재 장인어른과 등산했던 올리버쌤.jpg [5] TWICE쯔위10062 20/07/15 10062
391916 [유머] 주공, 출진하시겠습니까? [10] Davi4ever10010 20/07/15 10010
391915 [기타] 포르쉐와 K5 추돌 사고.jpg [15] 감별사10833 20/07/15 10833
391914 [기타] 불가사의한 자동차 사고.3mb [16] Lord Be Goja7369 20/07/15 7369
391913 [기타] 중국 초등학생이 암의 비밀을 탐구해 과학 경시대회 3등급상 [26] Lord Be Goja10777 20/07/15 10777
391912 [연예인] 미모의 100만 유튜버 구독자 이벤트 근황.jpgif [28]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13045 20/07/15 13045
391911 [서브컬쳐] 선도 못 긋는 사람과 디자인으로 취업도 못할 사람 [18] 이호철9091 20/07/15 9091
391910 [텍스트] 의외로 사람마다 확 갈리는 경험.jpg [55] 꿀꿀꾸잉11838 20/07/15 11838
391909 [유머] 조선 붕당으로 이해하는 로마 제국 [32] 길갈8598 20/07/15 8598
391908 [LOL] 패배를 원동력으로 | T1 THE LOCKER ROOM 2020 EP.6 [14] 감별사8188 20/07/15 8188
391907 [기타] 이번이 진짜 막판이에요 [29] Lord Be Goja12226 20/07/15 12226
391906 [게임] SSD용량을 걱정해준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신버전 (20MB) [32] Lord Be Goja9614 20/07/15 9614
391905 [유머] 직접 본 사람들 별로 없을 것 같은 추억의 물건.JPG [11] 내설수8989 20/07/15 8989
391904 [유머] 유비와 조조의 몸이 바뀌는 만화 2.jpg [23] 손금불산입9867 20/07/15 9867
391903 [서브컬쳐] 집 창고에서 천만원을 찾은 사람 [26] 及時雨11106 20/07/15 11106
391902 [LOL] 내일 KT vs T1 최대의 관심사 [25] roqur9801 20/07/15 9801
391900 [기타] 자료 퍼오다가 현타올때 [21] Lord Be Goja11710 20/07/15 11710
391899 [연예인] 국내에서 가장 부드러운 치킨 [14] 파랑파랑12032 20/07/15 12032
391898 [LOL] 내일 KT전에서 나올 수도 있는 픽.jpg [39] 감별사9012 20/07/15 9012
391897 [게임] 따끈따끈한 모바일 신작 라그나로크 사건 [20] 길갈10645 20/07/15 10645
391896 [기타] 10000광년 쌍안경 [18] 40년모솔탈출12356 20/07/15 12356
391895 [유머] 6월 기준 먹방 유투버 수입.jpg [59] 김치찌개14891 20/07/15 148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