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21 02:37:55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16374271692430.jpg (138.7 KB), Download : 52
File #2 1121023941868473.jpg (178.5 KB), Download : 40
출처 더쿠
Subject [기타] 한류 인기 초강세라는 일본, 오늘자 넷플릭스 랭킹 + 일본 ott 점유율 (수정됨)







1위 오징어게임
2위 연모
3위 진심이 닿다
4위 지옥 (첫 진입)
5위 사랑의 불시착

6위 도로로 (일본영화)
7위 이태원 클라스
8위 갯마을 차차차
9위 마이네임
10위 너를 닮은 사람


탑 10중 9개가 한국 드라마

추가로 일본 ott 점유율입니다
아마존 프라임이 1위긴 한데 저건 한국으로 비유하자면 <쿠팡> 같은거라 무료배송 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때문에 실제 가입자에 비해 프라임 비디오 이용자수는 확 떨어진다고 하네요

그리고 넷플릭스는 한류와 한국드라마 인기의 초강세로 인해
이용자수가 급격히 늘었다고 하네요

일본 넷플랭킹 탑 10을 보면 항상 일본 애니메이션과 한국드라마 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비율로 따지면 애니메이션 6편 + 한국 드라마 4편 으로 이루어질때가 많았습니다
헌데 한국드라마의 인기가 날이 갈수록 강해져 최근엔  
탑 10중 5~6편은 기본으로 들고, 심하면 8편 정도가 랭킹에 들때도 있습니다.
일본에선 이미 고정 시청자층이 두텁다고 알려질 정도라고 하네요
일본 드라마와 해외 드라마는 랭킹에 없냐? 그건 아닙니다.
최근 일본이 한국을 의식해서 넷플릭스에 일본 드라마를 다량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드라마도 만들구요
그런데 인기가 없어서인지 랭킹에 진입 했다가도 하루만에 광탈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다고 합니다
미국이나 서양권 드라마 역시 랭킹에 오랜기간 진입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말을 바꿔서 오늘자 랭킹을 보시면
일본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스의 경우는 
좀 오래된지라 원랜 순위권 밖이였는데 최근 다시 일본 랭킹에 진입했다고 합니다
아마도 신규 가입자들의 유입으로 인한 순위 상승이 아닐까하는 예측을 하더군요

듣자하니 일본 지상파 cm (광고) 으로 넷플릭스 영상이 나오는데
"왜 나는 한국드라마에 빠져들었는가"  라는 영상을 내 보내고 있다고 합니다 (해당 영상 추가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모이맨
21/11/21 02:56
수정 아이콘
내가 일본 가면 중국인인줄 알겠지...
21/11/21 03:28
수정 아이콘
싸이국 국민입니다
기무라탈리야
21/11/21 07:08
수정 아이콘
실제로 일본 잼민이들이 [저사람 외국인이야, 중국인일까?] 라고 수군대는 걸 경험한 1人
어서오고
21/11/21 03:01
수정 아이콘
한국을 의식해서라기보다는 넷플릭스 측에서도 일본에서 떨어지는 점유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일본 컨텐츠가 필요하니까요.(주체가 넷플릭스인데 일본 방송사가 한국을 의식해서 드라마를 판다?) 근데 귀칼빼곤 영 안터져서 문제지...애니쪽에서는 코미양같은게 조금씩 반응이 오고는 있는데. 어쨌든 넷플릭스에 일본 유명 드라마가 심각하게 없기는 해요. 니게하지? 없고. 아마짱? 없고 언네츄럴? 한자와? 암튼 있는게 없음.
21/11/21 03: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도 예전엔 애니 많았는데
이젠 애니도 다 밀려났네
어서오고
21/11/21 03:08
수정 아이콘
어쨌든 넷플릭스 입장에서도 일본 오리지널 컨텐츠가 안터지는건 좀 답답할거에요. 오징어게임처럼 국뽕좀 차게 만드는 컨텐츠가 빵 떠야 점유율이 유의미하게 올라가는데 가면 갈수록 한류 전용 ott가 되어버리니 확장성이 떨어질수밖에 없죠. 일본 메이저 방송사들은 엄청나게 까다로워서 유명 드라마는 잘 안주고, 그마저도 일본 내에서만 볼수있게 계약하고.
코우사카 호노카
21/11/21 03:15
수정 아이콘
연모는 못 들어봤는데 오징어 +1 보니 오징어도 제친적 있는 작품이군요 덜덜
됍늅이
21/11/21 10:54
수정 아이콘
KBS 사극인데 박은빈 주연의 남장여자물입니다… 항마력이 필요하긴 한데 박은빈이 워낙 연기를 잘하는데다 일본애들이 환장할 만한 구성이긴 해요
21/11/21 03:18
수정 아이콘
쟤네들도 카우보이 비밥은 거르네
어서오고
21/11/21 03:24
수정 아이콘
솔직히 넷플릭스도 일본 실사화는 못미더우니까 ip 사서 미국 실사화에 걸어본거같은데 드래곤볼 레볼루션의 나라라는걸 깜빡한듯...
문문문무
21/11/21 03: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 IP 소유권자들 쪽에서 간섭이 없었을까요?
엣지오브 투모로우, 존윅, 복면가왕 미국버전 같은거보면 마냥 해외쪽IP나 해외쪽 양식 이라고 리메이크하는법을 모르는건 전혀 아닌거같은데...
유독 일본쪽 유명애니 IP에서만 그지경이 난다는건, 그것도 일본쪽 현지 실사화와 매우 비슷한 느낌으로 만들어진다는건
동일한 간섭과 압박이 있었기때문은 아닐까요?
어서오고
21/11/21 03: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마 실사화 ip는 진작에 미국 회사가 샀을거에요. 그걸 넷플릭스가 다시 되산거니까. 자세한 계약은 모르겠지만 일본 회사가 간섭할 부분은 별로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니 그 이전에 일본 회사가 원작 재현을 이유로 간섭했으면 페이를 그렇게 놔둘리가

그리고 저도 도저히 못버텨서 많이 보진 못했는데 일본 실사화 느낌으로 망한건 아니고 암튼 독창적으로 망함
문문문무
21/11/21 03:39
수정 아이콘
대체 왜 일본 애니 IP 만 만나면 저모양일까요...
그것도 일본현지실사화랑 너무 느낌이 비슷한데....
레지던트이블1 해논거보면 나름 감각있게 리메이크 할줄아는 인재가 있긴 한거같은데...
애니라는거 자체가 사람 머리를 굳게 만들기라도하나 크크크크
어서오고
21/11/21 03:43
수정 아이콘
애니중에서도 실사화 하기 좋은 현대물, 연애물같은게 있고
하기 힘든 sf, 판타지 느낌이 있는데 이건 후자인거죠 뭐.

마블도 아이언맨이 터지기 전에는 실사화가 한숨나오는 수준밖에 없었다는걸 생각해보면 결국 자본과 인재의 문제인데, 애니 ip나 사서 굴려볼까 하는 회사들은 그만큼 투자를 하기 힘든거죠. 게임원작 영화와 거의 궤가 같다고 보시면 됨.
문문문무
21/11/21 03:46
수정 아이콘
애초에 애니,만화실사화 자체가 B급 소재라는거군요
마블은 우직하게 막대한 투자를 쏟아부어서 성공할때까지 굴려서 뜬거고?
21/11/21 04:38
수정 아이콘
글쎄요 배트맨 스파이더맨 슈퍼맨 x맨은 검증된 s급이 맞는데 나머지 실사화할 소재가 A급이 아닌 것들만 남아있는게 마블의 난제였죠.
상하이드래곤즈
21/11/21 11: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론,
마블의 매력은 B급 소재를 가지고
그 소재들의 매력을 최대한 살린 시나리오와 연출로 성공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서로 시너지를 주는 세계관과 밸런스 조정은 화룡정점이었구요.
기존에 대표적인 예가 다크나이트였죠.
그 직전 배트맨이 전형적인 B급 영화 그자체였는데, 그걸 블럭버스터 액션 스릴러로 만들었죠.
기존 방영했던 두 편의 헐크(vs 쉬헐크)와 엑스맨, 판타스틱 4가 앞으로 얼마나 매력적으로 mcu에 편입 될지 벌써 기대가 됩니다.
21/11/21 13:17
수정 아이콘
배트맨은 마블이 아닙니다.
상하이드래곤즈
21/11/21 16:06
수정 아이콘
Zelazny 님//
마블이란게 아니라 B급 소재로,
소재의 매력을 잘 살린 작품의 예를 적은거에요
제가 애매하게 적긴 했네요
티모대위
21/11/21 03:32
수정 아이콘
저 사랑의 불시착은 거의 일본의 오겜이네요
순위에서 내려오지를 않네
코기토
21/11/21 03:52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보통의 일본인들은 반한감정 없는 것 같네요.
노노재팬이니 외교분쟁이니 많이들 알고 있을거고 그것도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접했을텐데
그게 한국문화나 상품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지지는 않는군요.
반대로 일본컨텐츠들이 글로벌흥행 하는 상황이라면 우리나라에서는 절대 저렇게 싹쓸이 못했을 것 같아요.

베이징 올림픽 야구에서 우리가 우승할때 일본방송중계 번역 영상이 유튜브에 있어서 본 적이 있는데
일본 캐스터가 아시아의 맹주 한국이 일본도 꺾고 미국도 꺾고 쿠바도 꺾고 정상을 차지했다고 말하는 걸 들으면서
좀 놀랐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야구가 국기인 나라이고 일본이 우리에게 패해서 결승에 못가서 아쉬울텐데
우리에게 아시아의 맹주라고 치켜주는 걸 보면서 그때는 그게 캐스터 개인의 쿨한 성향인가 싶었는데
이런 자료들을 보면 평범한 일본인들은 우리와의 국가간 감정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을 받네요.
크레토스
21/11/21 04: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인 대상 설문조사 같은 거 보면 반한감정은 분명 상당합니다.
그런데 보통 문화 컨텐츠랑 특정 나라 싫어하는 감정은 별개죠.
특정 나라의 정치적,외교적 입장을 싫어하면
그나라 관련 어떤 문화컨텐츠도 즐기지 말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한국웹 분위기가 이상한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사실 한국도 웹에서 극성맞은것과 별개로 일본컨텐츠 다 즐기는게 일본이 강세인 콘솔게임 분야나 종이 만화책이나 TV 애니메이션 같은건 일본산 점유율이 압도적이니까요.
55만루홈런
21/11/21 04:44
수정 아이콘
반한감정과 문화는 다르죠 우리나라도 중국 이전엔 반일이 최고였는데 일본 문화는 제대로 즐겼죠 크크
어서오고
21/11/21 04:47
수정 아이콘
일본도 싫어하는 나라는 극도로 싫어하는데(중국이라던가) 유독 스포츠 아나운서들이 중립을 지키려는 면이 큽니다. 일종의 직업윤리같은거라고 보시면 되요. 그래서 외국인들이 일본 중계 볼때도 편하다고 그러죠.
Mephisto
21/11/21 09:06
수정 아이콘
솔찍히 Esports 보면서 좀 배웠으면 하는 부분.....
아무리 재미라지만 조롱수준의 코맨트 보면 이걸 "국뽕이라고 납득해줘야 하나?" 의문이 드는 수준입니다.
그덕에 스포츠들 국가대항전 볼때 Esports 한정으로 우리나라 팀들 질때가 더 흥미있고 재미있고 해설진 반응이 맘에 들어요.
어서오고
21/11/21 09:13
수정 아이콘
근데 저건 일본이 특이한거고 보통은 국뽕 빨죠 크크...롤 정도면 그래도 한국 중계 평균을 내면 그렇게 심한건 아니라고 봐요. 좀 신경도 쓰는 편이고. 국대 축구나 올림픽으로 가면 듣기싫을정도로 상대팀을 폄하해야 되는것처럼 하더라구요.
Mephisto
21/11/21 09:28
수정 아이콘
국봉,상대를 폄하하는걸 의미하는게 아니구요.
그걸 통해서 상대를 조롱하는 단계까진 가지 말자는거죠.
"어림도 없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선수들이 잘 막아내고 역공에 나서고 있습니다!"와 " 어림도 없죠. 어디서 감히 우리국대에게!"이런 코멘트의 차이? 이런거보면 축구해설들이 가장 선을 잘지키고 있죠.
21/11/21 07:58
수정 아이콘
반일덕후인 루리웹 같은거겠죠 크크
forangel
21/11/21 09:03
수정 아이콘
예전 한참 반미감정 높을때도 타이타닉의 흥행에는 아무런 영향 못끼쳤죠.
반일 감정 높아도 언제나 일본만화,애니는 인기였구요.
걍 대중들은 별개로 봅니다. 그리고 그게 문화의 무서운점이구요.
그놈헬스크림
21/11/21 04:30
수정 아이콘
들은 말로는 일본은 아마존 프라임이 아마존 저팬의 영향으로 압도적 1위라 뭐 넷플은 인기있는 한드를 보기위한 OTT라는 인식이라고 하더군요.
국내에 넷플같은 글로벌 플랫폼이 있었다면 아마 넷플 자리를 대신했을것 같습니다.(천조국의 자본력이니 전세계 자막 및 주요국 더빙이 가능하겠지만요.)
그만큼 한류가 쉽게 사그러들지 않는다고 봐야할거 같습니다.
크레토스
21/11/21 04:33
수정 아이콘
아마존 프라임은 그냥 쇼핑 때문에 가입한거 아닐까요? 일본은 아마존이 1위 쇼핑몰이니까요. 본문글에도 있고.. 저도 직구 때문에 아마존 프라임 회원인데 영상은 거의 안보거든요 크크
21/11/21 04:39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우리나라도 쿠팡플레이가 2위는 할듯합니다.
어서오고
21/11/21 04:45
수정 아이콘
쇼핑하는거에 덤으로 끌려들어와도 쿠팡플레이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쌓여있는 컨텐츠의 질이나 양도 다르니까요. 안보는 사람도 많겠지만 점유율 순위가 달라질정도로 안보지는 않을거에요. 실제로 프라임 비디오에 일본 전용 컨텐츠나 인기있는 오리지널 컨텐츠도 좀 있는 편임. 당장 에반게리온 극장판도 아마존 프라임 독점 공개.
상하이드래곤즈
21/11/21 11:33
수정 아이콘
아마존 프라임 2년째인데, 직구가 메인이라
2년 동안 본건 인비져블, 더보이즈, 에바데카포가 끝이네요.
제가 봐서는 본문의 말과 같이,
단순 쇼핑 목적이 유의미하게 많을 것 같습니다.
어서오고
21/11/21 13:25
수정 아이콘
기사에 따르면 일본에서 아마존 전체 시청 중 일본컨텐츠를 70% 소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일본인이 아니면 그냥 독점 몇개만 보고 빠지는게 당연한거에요. 일본 프라임 비디오 전용 컨텐츠도 좀 있는걸로 알고.
21/11/21 05:07
수정 아이콘
아케인이... 없어..?
무적LG오지환
21/11/21 08:14
수정 아이콘
진심이 닿다는 사랑의 불시착보다 방영시기가 더 빨랐나 그랬던 작품인데 저게 왜 저 순위에 있죠? 크크크크
아이폰텐
21/11/21 08:3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국민이 5천만인데 900만인가가 넷플 가입자고
일본은 1억이넘는데 500만이니

우리나라의 넷플 사랑이 엄청나긴하네요
일본은 진짜 한국드라마보는용으로 넷플 쓸듯 우리나라 넷플 포지션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일거고
근데 한국에도 빨리좀 들어오세요 더보이즈 봐야됩니다 ㅜㅜ
forangel
21/11/21 08:48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우리나라 넷플 가입자가 얼마전까지 4백만이 안됐고 오징어게임으로 450만정도까지 늘었을거에요.
아마 9백만이란 수치는 계정하나로 최대4명까지 볼수있는걸 감안한 실질적인 시청자수라고 보면 될거에요.
아이폰텐
21/11/21 08:50
수정 아이콘
아 다중계정을 그냥 그렇게 카운팅한거겠군요. 그럼 일본도 실제 시청자는 900만가까이 되려나요
forangel
21/11/21 08:54
수정 아이콘
9백만 이란 수치를 보셨으면 아마 오징어가 터지기전 즉 대략 4백만때 나왔던 이야기가 아닐까 싶네요.
보통 2-2.5배수 정도로 본다고 하니 일본은 천만 넘는다고 봐야죠.
forangel
21/11/21 08:49
수정 아이콘
사랑의불시착,이태원등이 아직 상위권인건 신규가입자들이 꽤 있는걸로 해석할수도 있겠네요.
뜨와에므와
21/11/21 09:21
수정 아이콘
오겜보러 가입한 김에 소문만 들었던 작품까지 보는중일듯
21/11/21 10:29
수정 아이콘
멜로에 진심인 나라같네요 크크
아우구스투스
21/11/26 12:20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9055 [기타] 두달 전 우크라이나 사태를 예측한 댓글 [11] 소믈리에10461 22/02/25 10461
448979 [게임] 엘든링 IGN 리뷰 [27] EpicSide8315 22/02/24 8315
448483 [유머] 여친 대답 예측 고인물.youtube [11] 10037 22/02/17 10037
448198 [유머] 여자친구가 왜 없는지 알겠다 [5] 9818 22/02/13 9818
448076 [게임] [kof15][중요스포] 중간보스, 보스 스샷.jpg [24] valewalker8838 22/02/11 8838
447520 [기타] 오늘 국장 예측 한줄 요약해 드립니다 [40] 공사랑14547 22/02/04 14547
447052 [기타] 중국 극초음속 미사일 핵심 개발자가 미국으로 망명? [11] 가라한12062 22/01/28 12062
446917 [LOL] 상남자특)첫날 예측 수정 안함 [19] Lord Be Goja8751 22/01/26 8751
446798 [유머] (어제 나스닥 반등) 주식 시장에서 절대 예측을 하면 안되는 이유.jpg [11] 삭제됨8828 22/01/25 8828
446686 [유머] 금일 비트코인 방향 예측입니다. [14] 파랑파랑10056 22/01/24 10056
446409 [유머] 얼음을 깨는 배 쇄빙선의 원리 [7] League of Legend10782 22/01/22 10782
446295 [유머] 미국 도박사이트에서 예측하는 차기 007 배우 순위 [42] EpicSide8812 22/01/21 8812
446143 [유머] 콘솔 전쟁의 승자를 예측한 부기영화.jpg [34] 캬라8215 22/01/20 8215
445672 [기타] 해저화산폭발로 인한 일본 쓰나미 경보 [33] 카루오스12421 22/01/16 12421
445536 [텍스트] 개인적으로 대학생때 최고의 강의.txt [7] 10712 22/01/14 10712
443937 [기타] 애플 AR 헤드셋 나올까요? [19] 타카이9431 21/12/27 9431
441897 [유머] 지금 시장은 닷컴버블때보다 미쳤다 [14] 맥스훼인13371 21/12/04 13371
441385 [기타] 하이트진로 챠트 분석 [9] 로켓10803 21/11/28 10803
441375 [텍스트] 논쟁에서 이기는 38가지 방법.txt [18] 12148 21/11/28 12148
441374 [텍스트] 흔한 주갤럼의 투자원칙.txt [56] 18659 21/11/28 18659
441162 [텍스트] (엄청스압) 설명 좀 천천히 해.txt [8] 18685 21/11/26 18685
440554 [기타] 한류 인기 초강세라는 일본, 오늘자 넷플릭스 랭킹 + 일본 ott 점유율 [45] 아롱이다롱이16098 21/11/21 16098
440270 [LOL] 업커머 기자 " 2022년 농심, 아프리카도 강하다 생각한다" [4] 아롱이다롱이10322 21/11/19 103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