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29 12:20:09
Name 아지매
출처 https://youtu.be/WqbNRkBxBwc
Subject [기타] 아래 트위치글 보고 쓴 망사용료 요약 (수정됨)
우리가 kt, sk, lg 에 인터넷 가입해서 돈내는 것처럼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기업들도 통신사에 돈냄.
사용료 아닌 접속료라고 표현.

해외 사업자 논쟁이 왜 발생하냐?

ODxH79d.png

통신사들끼리 티어가 나눠져 있음.

미국 통신사들은 1티어임.
한국 통신사들은 2티어임.

1티어끼리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 주고 받아도 서로 퉁쳐서 돈 안냄.
윗티어가 아래티어 이용해도 돈 안냄.
그런데 아래티어 통신사가 윗티어 통신사를 이용하면 돈을 줘야함.

2티어가 1티어에 접속하면 2티어 회사가 1티어 회사에 돈내야함.
(국내 통신사들은 2티어)

미국 사람이 한국에 서버가 있는 서비스 (네이버 등) 사이트에 접속하고 사용해도 미국통신사는 한국통신사한테 돈 안냄. (1티어니까..)
한국 사람이 미국에 서버 있는 서비스 사용하면, 한국 통신사가 해당 미국통신사에게 돈 줘야함.

예전에는 한국사람들은 한국 사이트 위주로 이용했으니까 통신사들이 큰 부담이 안되었는데...

46pGlsd.png

현재는 한국 전체 인터넷 이용 트래픽의 27%가 구글임.
구글 + 넷플릭스 + 메타(페북, 인스타 등) = 3개 회사만 합쳐도 한국 전체 트래픽의 38%나 됨.
그만큼 한국 통신사가 미국통신사에게 줘야할 돈이 많아짐.


iRiNdKl.png

만약 미국에 있는 유튜브 서버에서 모든 영상을 다 땡겨오면 엄청난 트래픽과 비용 발생..
그래서 구글에서도 협의해서 해당 비용 줄여주려고,
한국인들이 많이 보는 동영상 위주로 한국 통신사내에 캐시서버를 만들어서 저장하여 굳이 본서버에 접속안해도 되게끔 만들어줌.

Ns7jLYa.png

넷플릭스는 왜 하필 sk하고만 소송하면서 싸우나?
sk에만 캐시서버 안만듬. sk는 많은 비용 발생.


----------------------------------------



아래 트위치 화질 제한글 보고 요약했습니다.

한시간 짜리 영상을 내용 다 날리고 정말 대충 요약 했습니다.

요약하면 서비스 사업자랑 캐시서버 만들어서 통신사에게 돈을 주던가 하면서 미국회사들이 개별적으로 통신사들과 계약해서 비용부담.

해당 사안에 관심이 있으시면 위 영상을 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과감성
22/09/29 12:24
수정 아이콘
자게로가시지..
근데 저 통신사 티어는 고정인가요? 한국도 올라갈노력을 하면 안되는걸까요? 힘들겠죠? 힘드니깐 캐시서버 하겠지..
포프의대모험
22/09/29 12:25
수정 아이콘
진짜 이런 사소한거 하나하나가 다 패권으로 느껴지네요..
티어가 뭐냐고..
제주삼다수
22/09/29 12:26
수정 아이콘
망사용료 부담을 줄이면 통신료가 인하...
22/09/29 12:26
수정 아이콘
좀 추가해서 자게로 가도 되겠는데요?
유자농원
22/09/29 12:30
수정 아이콘
추가 안하고 그냥 가도 문제없어보입니다.
그런데 유게 남는것도 딱히 문제는 없어보임...
페스티
22/09/29 12:26
수정 아이콘
IDC겁나 짓던데...
ioi(아이오아이)
22/09/29 12:27
수정 아이콘
티어가 필요한 이유가 있나?
유자농원
22/09/29 12:32
수정 아이콘
있을지언정 국내통신사가 2티어여야만 하는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달은다시차오른다
22/09/29 12:36
수정 아이콘
그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규모별로 자른게 아닐까요?
비온날흙비린내
22/09/29 12: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상 보고 있는데 대형 통신사 입장에선 자기 망에 물린 좋은 서비스가 많으니, 소형 통신사에게 자기 망을 물려 자기들 서비스를 쓰게 해주는 게 사실상 기부나 다름없어서 그 비용을 받는다고 하네요. 아무래도 미국에서 한국에 접속하는 수요보단 그 반대 수요가 훨씬 클테니까요.
22/09/29 12:36
수정 아이콘
티어는 이 주제에서 처음보는 말이긴 한데
그냥 서로 접속한만큼 주고받는 시스템인데 미국에서 한국으로 접속하는 트래픽 < 한국에서 미국으로 접속하는 트래픽이다보니
쓴 만큼 상쇄하면 남은건 한국에서 미국으로 접속한 트래픽 분량만 남는 시스템이겠죠 뭐..
22/09/29 12:41
수정 아이콘
한국 방송국 기준으로

SBS - KBS - MBC의 경우엔 '서로의 자료화면을 사용해도 돈을 내지 않지만'

TVN 같은 경우엔 방송3사 자료화면을 쓰면 돈을 꽤 냅니다.


이유는

'방송 3사는 서로 남의꺼 쓰는 비용 내다보니.. 서로 거의 똔똔이였고.. 이럴꺼면 회계처리 복잡하게 하지 말고 서로 무상으로 하자.. 콜!' 이 된거고

TVN은 그게 안되니깐 돈을 내는건데요 (서로 돈을 내는데.. 3사가 더 덜가져다 쓰니 실제론 TVN이 돈을 계속 내는 형태가 됨)

----


통신사들도 '1티어에 2티어가 접속해서 뽑아먹기 때문에'

상호 비용을 내면 무조건 하위티어가 상위티어에 돈을 주게 됩니다..


1티어끼리는 '서로 똔똔 수준이니 그냥 회계절차 복잡하게 하지 말고 상호 무료하자!' 가 되는거고요.
22/09/29 12:28
수정 아이콘
참고로 넷플릭스와 SKT만 싸우는 이유가 저 캐시서버 때문인데

유튜브는 저걸 했는데도 이슈가 생겨서 다시 통신사와 유튜브 재협상 중인걸로 압니다.

'넷플릭스는 보는 영상이 뻔해서 해외 통신사를 안거치게 할 수 있었는데'
유튜브는 영상이 너무 많다보니 결국 해외 망 쓰는 케이스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서 다시 비용 문제가 생긴걸로..
비온날흙비린내
22/09/29 12:39
수정 아이콘
듣다보니 나름 국내 통신사 입장도 그럴싸하네요. 개인이 트래픽 값을 내듯 서비스 제공자도 서버가 유발시키는 트래픽 값을 내는게 맞는 말이고, 망 사용료를 요구하는 건 당연한 거 같습니다. 다만 그 가격이 문제지..
키작은나무
22/09/29 12:44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추천 영상은 떴는데 시간핑계로 못보던걸..너무 잘 정리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키작은나무
22/09/29 12:50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국내 업체들끼리도 서로 망사용료 정산을 하고있는데 해외 사업자들과 이런 관계에 대해 생각을 해본적은 없었네요. 무선의 경우 로밍도 해외통신 사업자들과 정산을 하는데..유선은 음..
이혜리
22/09/29 13:07
수정 아이콘
역시 이런거 생각하면, 예전에 판도라TV가 세계를 먹었어야 했는데.
22/09/29 13:07
수정 아이콘
글좀 퍼갑니다.. 이건 많은사람이 알면 좋을것같아서요
22/09/29 13:08
수정 아이콘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722171?hl=ko#zippy=%2C%EC%BB%A8%ED%85%8C%EC%9D%B4%EB%84%88-mp%2C%EC%98%A4%EB%94%94%EC%98%A4-%EC%BD%94%EB%8D%B1-aac-lc%2C%EB%8F%99%EC%98%81%EC%83%81-%EC%BD%94%EB%8D%B1-h%2C%ED%94%84%EB%A0%88%EC%9E%84-%EC%86%8D%EB%8F%84%2C%EB%B9%84%ED%8A%B8-%EC%A0%84%EC%86%A1%EB%A5%A0

근데 이 문제는 항상 유튜브 넷플릭스가 전체 트래픽의 몇"퍼센트"를 차지한다고, 부담이 크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얘네들은 b2c 기업이잖아요? 그 트래픽의 대부분이 개인사용자들이 가져가는 트래픽으로 이루어져 있을텐데
1080p 동영상의 유튜브 설정이 기껏해야 10Mbps밖에 안돼요.

그러면 이미 까마득한 옛날부터 100Mbps 인터넷은 기본이었고 이제는 기가인터넷도 충분히 보급이 되었고
무선망도 5g 평균이 이제 수백Mbps가 나온다고 하네요

그러면 무선은 그래도 데이터제한이 있다고 치고 넘어가고
유선은 대한민국 5천만 국민이 24시간 365일 내내 유튜브 넷플릭스 굴려도 트래픽에 전혀 부담이 없을 정도로 구축했어야 할 책임은 통신사한테 있는 거 아닌가요?
그게 안되면 기가인터넷이니 5g니 하고 팔아먹질 말았어야죠. 기가인터넷 약관에도 최저 보장속도는 150Mbps 언저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박혀있지만 150만이라도 보장이 되면 유튜브 넷플릭스 1080p정도는 4인가족 4명이 하나씩 봐도 모자랄 속도가 아니고요.
이제는 웹하드도 다 죽었다고 봐야 하고 대용량 게임 받을 때 정도만 트래픽을 많이 쓰지 개개인이 대부분은 동영상을 많이 쓸테니 점유율 통계도 유튜브 넷플릭스가 다 잡아먹는거고 말이죠.

실제 트래픽을 처리하는데 드는 비용과 트래픽의 양은 영업비밀인지 숨겨놓고는 그저 전체 대비 파이를 많이 차지해요! 쟤들이 나쁜놈이에요! 하는 상황 같아요.
공실이
22/09/29 13:17
수정 아이콘
요건 전체 트래픽 허용량 대비가 아니라 실제 전체 사용량 대비일듯 합니다. 본문의 요지는 그것과 관계없이 우리나라 안에서 아무리 잘 구축하더라도 결국 넷플릭스 서버가 미국에 있으면 미국 인터넷 망 사용료를 내야 한다는 이야기 같습니다.
22/09/29 13:19
수정 아이콘
지난주 슈카월드 생방에서도 이주제가 나왔는데 영상으로 올리긴 유튜브 눈치가 보이는지 아직까지는 안올라오고 있는데,

이게 겉으로는 통신사하고 유튜브 넷플릭스가 싸우는 거 같지만
본질적으로는
통신사 : 너네가 망사용료 안내면 비용 소비자한테 전가할수밖에 없어
유튜브, 넷플릭스 : 너네가 망사용료 비싸게 받으면 비용 소비자한테 전가할수밖에 없어
하고 있는거란 말이에요

아니 그러면 소비자는 황당하기 짝이없죠
요즘 기가인터넷 매달 4만원 가까운 요금에 무선통신망은 5g 5만원이 훌쩍넘는돈을 내면서
통신사 너네들이 기가인터넷이니 5g빠른속도니 광고하니 그돈 내고있는건데
광고할때는 수백Mbps 기가bps로 광고하면서 고작 1080p 수십Mbps따리 트래픽을 처리 못하겠다고요?
이게 말이 되는 상황인가요?
22/09/29 13:21
수정 아이콘
구글 입장은 이렇다는 것 같은데

https://youtu.be/fq9EhygVYvU?t=979

여기에 대한 반론은 흠..
몽키.D.루피
22/09/29 13:43
수정 아이콘
구글이 자기들 데이터 센터에 연결되는 자체 네트웍을 구축한 건 몰랐네요. 해저케이블까지 끌어와서 연결시켜준 건데한국 사용자들응 구글 네트웍을 공짜로 이용하고 구글이 한국 내 네트웍을 이용할땐 막대한 사용료를 내야되는 거니까 구글입장에서는 엄청 억울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최악의 경우 구글이 반대로 한국 통신사들에게 유튜브 접속료를 받는다고 하면 통신사들은 대책이 있나요? 그렇게 된다면 사용자들 요금 올려서 국제 네트웍 접속료를 내야될 판이고 결국 피해는 사용자들에게 고스란히 갈 판이네요.
22/09/29 14:10
수정 아이콘
저도 그게 가장 의아합니다. 명분이 어디에 있든 추가 비용은 이용자들에게 부가된다니..
깻잎튀김
22/09/29 14:06
수정 아이콘
데이터 센터 깐거야 다들 아는 것일테고, 직접 해저케이블을 돈 들여서 깔았다는건 놀랍네요.
22/09/29 13:3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아프리카는 망사용료 많이 낸다고 들었는데, 국내 사업자는 또 다른게 있는건지, 아님 배짱장사인지....
호랑이기운
22/09/29 13:42
수정 아이콘
이 글대로라면 아프리카가 망사용료를 낼 이유가없지않나요? 국내 생산 국내 소비인데
지구돌기
22/09/29 15:00
수정 아이콘
SKB(SK브로드밴드)와 넷플리스가 싸우는 건 캐시서버를 뭐로 보느냐에 따라서 관점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구글이나 넷플릭스는 위에서 설명한 통신사의 망 연동 비용을 줄이고 자사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각 통신사업자들에게 캐시서버를 무상으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그럼 서비스 트래픽이 해당 통신사 망 내부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타 통신사 연동 회선 비용, 특히 비싼 해외 회선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거죠.
그래서 넷플릭스는 SKB에도 캐시서버를 제공한다고 했고요.

그런데, 국내 통신사는 반대로 저 캐시서버를 서비스 사업자의 호스팅용 서버로 간주해서 호스팅비와 인터넷 사용료를 내라고 합니다.
즉 넷플릭스 서비스용 서버이니 넷플릭스가 우리에게 호스팅 망 사용료를 내야하는 거 아니냐고 하는거죠.
물론 넷플릭스는 전세계 어디서도 그렇게 내는 사례가 없고, 너희와 윈윈하고자 하는 건데 싫으면 말고 그냥 국제회선비 내시던가 한 것이고요.
그러니 SKB가 넷플릭스에게 우리 고객이 너희 사이트를 많이 써서 우리 부담이 커지니 돈 내세요. 라고 소송을 건 것이고요.

이게 SKB의 논리가 먹힌다면 인터넷의 근간이 다 흔들리는거죠.
미국 통신사가 네이버에게 망사용료 내라, 혹은 영국 통신사가 아프리카에 망사용료 내라는 것과 같은 논리니까요.
Emas Parker
22/09/29 15:18
수정 아이콘
네플릭스에서 사회적 책임을 1차적으로 강요하는것과 국제적인 룰을 역행하면서 법적인 판단을 내려달라는 skb의 주장은 어이가 없네요. 솔직히 조금 쪽팔린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웨이브도 조금씩 다른 언어를 추가하면서 성장하고 있는데 차후 전세계에서 의미있는 이용자를 확보할 경우 동남아 혹은 3티어 국가에서 발생하는 트랜짓 비용에 대해서 그 나라 isp가 웨이브 니네가 그 비용 감당해라 하면 받아들입니까? 우리나라에서 넷플릭스 컨텐츠에 발생하는 트래픽하고 웨이브가 월드와이브 런칭했을 때 발생하는 트래픽은 예상하기 불가능하지만 직관적으로 100분의 1정도 될것 같은데, 우리나라가 인터넷 관련 강국이고 또한 컨텐츠 강국으로서 완전히 역행하는 주장을 하고 있네요.
22/09/29 16:24
수정 아이콘
망사 얘긴줄 알고 급히 클릭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789 [기타] 카카오 대표의 사과문이 올라왔습니다 [28] 카카오게임즈12059 22/10/15 12059
464785 [기타] 현재 카카오 공지... [78] TheZone15771 22/10/15 15771
464782 [게임] 카카오톡만 터진게 아니라 이것도 터짐.jpg [22] insane14373 22/10/15 14373
464779 [기타] 카카오 먹통에 생돈 나가는 사람들 [32] 크크루삥뽕17037 22/10/15 17037
464775 [기타] 카톡 8시에 오픈 한다 vs 못한다. [56] 카루오스14618 22/10/15 14618
464773 [기타] 카카오톡의 상위호환이라는 메신저 [68] 묻고 더블로 가!14825 22/10/15 14825
464771 [유머] 속보) 카카오 서버 화재 안잡혀서 소방서 총 집결 중 (18시 35분 현재 화재 진압 완료라 합니다) [45] 구상만15927 22/10/15 15927
464767 [기타] 카카오사태로 의외로 비상 안걸렸다는곳.. [5] Lord Be Goja13432 22/10/15 13432
464764 [기타] 카카오톡 또 오류 발생했네요. [160] TheZone23949 22/10/15 23949
464608 [기타] 내려갔다는 슈카월드 영상 [50] 톰슨가젤연탄구이17000 22/10/13 17000
464582 [기타] [주식] 사이좋은 카카오 4형제 [32] 덴드로븀12575 22/10/13 12575
464575 [유머] [주식] 코로나버블 2대장 네카오 [21] 헤세드8311635 22/10/13 11635
464512 [기타] 카뱅 우리사주 근황 [70] 누칼협17327 22/10/12 17327
464419 [텍스트] 1년만에 싹 바뀐 카카오 뱅크 분위기.blind [151] 삭제됨20136 22/10/11 20136
464411 [기타] 카카오뱅크 근황 [87] Avicii20603 22/10/11 20603
464179 [기타] 네이버와 카카오에 묻힌 종목 2개 [33] 산딸기먹자14464 22/10/07 14464
464169 [기타] 주식) 카카오 4형제 근황 [68] 니시무라 호노카13515 22/10/07 13515
464134 [방송] 카카오에서 하는 걸그룹 프로젝트 [30] 어서오고13764 22/10/06 13764
463955 [기타] 카톡이 터졌습니다 [32] 메타몽13920 22/10/04 13920
463733 [서브컬쳐] 드래곤볼 슈퍼 제87화 우주 최강의 전사 발현 [16] 고쿠13806 22/10/01 13806
463580 [기타] 아래 트위치글 보고 쓴 망사용료 요약 [30] 아지매15690 22/09/29 15690
463375 [기타] 코스닥 52주 신저가를 아라보자 [10] 니시무라 호노카9714 22/09/26 9714
463181 [게임] 프로젝트 세카이 한국 근황 [25] 묻고 더블로 가!11751 22/09/24 117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