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03 12:06:33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1_vert.jpg (2.63 MB), Download : 47
File #2 1_vert_(1).jpg (2.07 MB), Download : 40
출처 올리버쌤
Subject [기타] [스압주의] 미국 주택의 단점




1. 자연과의 전쟁
산불과 뱀 방지를 위한 잡초제거 (잔디깎기 기계 50만 + 제초제 20만 + 트랙터 2500만 + 관리비 + 기름비)
말벌집 제거
개미약 뿌리기
진드기약 뿌리기
잔디에 농약 뿌리기
나뭇가지 정리하기
쥐 덪 놓기
독초제거
낙엽제거 등등


2. 높은 주택 한달 거주 비용
보험비 + 재산세 + 대출비 + 대출이자 까지 더해서 대략 매달 510만원씩 나감
(이것도 시골이라 저렴한편이고 도시에 가까이 갈수록 더 비싸짐)

3. 천재지변
토네이도 우박 등으로 인한 피해 (우박때문에 망가진 지붕을 교체하는데 들은 비용 5천만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드빠돌이
23/07/03 12:10
수정 아이콘
땅이 넓어서 생기는 단점...
망고베리
23/07/03 12:12
수정 아이콘
너무 외딴 데에 사시는 거 같은데, 그런 게 아니라면 매달 지출은 아파트 한달 렌트비랑 그렇게 큰 차이는 안 납니다.
이른취침
23/07/03 13:06
수정 아이콘
!
23/07/03 22:38
수정 아이콘
집을 코로나 전에 삿다면 렌트비가 더 비싼...
23/07/03 12:12
수정 아이콘
나이가 들수록 뱀이 왜이렇게 무서울까요 ㅠㅠ
어렸을적에는 뱀도 많이 보고도 크게 힘들진 않았는데
지금은 풀이나 잔디 근처에만 있어도 불안하고 무섭고 소름끼치곤 합니다 ㅠ
의문의남자
23/07/03 12:25
수정 아이콘
트라우마같은거 생기면 그래요. 정신과 가야됩니다. 저는 다리많은 벌레때문에 다녓어요. 이게 점점 심해지면 골치아파집니다. 벌레만봐도 저게 내몸을 기어가는 느낌나고. 그게 더심해지면 뭐 옷을 입을라고 걸려있는 옷을 집는다거나 하는 행위도 못합니다 벌레가 갑자기 튀어나올까봐
타카이
23/07/03 12:13
수정 아이콘
뭔가 날 물었어!라는 미국 다큐 시리즈를 보고 있는데
주택가에 곰, 악어, 뱀도 출몰하고
도시 살면서 하이킹가서 퓨마하고 조우하고...
김은동
23/07/03 12:14
수정 아이콘
미국 주택의 단점이라기보단 시골주택의 단점이 아닌지..
저도 대도시에 사는건 아닌데 저희집은 깎고싶어도 깎을 잔디도 없습니다.
나무 가지치기는 가끔 하지만요
의문의남자
23/07/03 12:25
수정 아이콘
재산세가 저리 비산가요 근데
아드오드
23/07/03 12:41
수정 아이콘
보통 부동산가격의 1프로쯤을 매년 세금으로 냅니다. 5억짜리 집 들고 있으면 매년 종부세로 500만원쯤 낸다고보면되죵.

가격은 공시지가 같은걸 기반으로하는데, 이게 거래에 꽤 민감하게 반응해서, 실거주를 좀 했고 주변에 시세가 급작스럽게 오른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거래가랑 큰차이는 안나는 선에서 가격이 책정되서 세금을 부과합니다.

여기는 노년에 부동산을 팔고 지역을 떠나는게 꽤 흔한 일인데, 그게 부동산 가격에 계속올라서, 재산세가 꾸준후 오르기 때문세 수지타산이 안맞아서도 있죠.
김은동
23/07/03 12:53
수정 아이콘
이것도 지역마다 진짜 다르네요 캘리포니아는 집값이 올라도 재산세는 변동이 매우 적은데 말이죠.
아드오드
23/07/03 13: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검색해보니까 캘리는 주법으로 assessed value인상폭 최대치가 정해져 있네요. 그래서이신듯 싶습니다. 저는 워싱턴인데, 저희옆집은 저희가 집 사고들어오고, 그 다음해에 재산세 +16% 당했네요 크크. 지켜주지못해서 미안해...
김은동
23/07/03 13:04
수정 아이콘
네 미국은 진짜 지역마다 달라서 미국이라고 퉁치기가 정말 어려운거 같습니다.
저희 재산세는 거의 뭐 구매당시에 비해서 막 크게 변동되지가 않더라구요.
페스티
23/07/03 13:53
수정 아이콘
으아아아악 크크크
김은동
23/07/03 12: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재산세는 주랑 지역마다 달라서 일괄적으로 뭐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만
제 집은 1년에 1% 정도입니다.
텍사스라면 비쌀꺼에요 다른거 세금이 싼대신 재산세가 비싼지역이라..
23/07/03 12:14
수정 아이콘
그래서 교회를 꼬박꼬박 나가게 되는군요.
아프락사스
23/07/03 12:18
수정 아이콘
교외주택지구도 아니고 저런곳에 위치한 단독주택이면 개인용 물탱크 가스탱크가 필요한게 보통인데 언급없는게 신기하군요.
23/07/03 12:18
수정 아이콘
한국식 아파트에 대한 수많은 비판점들이 있습니다만 편의성은 여기만한 곳도 없는게 사실이긴 해요.
23/07/03 12:1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전원생활하면 도심보다 관리비용 더들긴 하죠
23/07/03 12:19
수정 아이콘
주변 분들은 거의 다 타운하우스 살더군요.
비용적인 건 잘 모르겠지만 관리도 잘 되고 주택의 장점도 가질 수 있구요.
23/07/03 12:21
수정 아이콘
보유세를 저렇게 많이 내나요?
우리나라 취등록세+재산세가 있다지만 감안해도 미국 보유세가 훨씬 비싼거 같아 보이네요
아프락사스
23/07/03 12:30
수정 아이콘
텍사스는 재산세가 높은 편입니다. 카운티에 따라 다른데 학군이 좋은 지역이면 재산세도 특별히 높이 잡히는편이고요.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03 12:48
수정 아이콘
텍사스는 특히 소득세는 없지만 재산세를 많이 내는 편이죠. 그래서 자녀 어릴 때는 재산세 높고 교육투자 많은 카운티 살다가 자녀들 장성하면 이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미국 재산세 위에 유럽 재산세 있죠. 3~5퍼부터 시작하는 크크
한국의 높은 집값은 낮은 보유세 덕이기도 하죠.
23/07/03 12:54
수정 아이콘
월세가 비싸다고 하는데.. 집이 있어도 나가는 돈이 굉장하네요
텍사스주 소득세가 없는 것도 신기하네요
덕분에 지식이 늘었습니다.
남한인
23/07/03 16:04
수정 아이콘
석유 덕분일 겁니다, 알래스카나 사우스 다코타처럼.

주 소득세 없는 주가 8개 있습니다.
(이중 워싱턴 주는 타주 금융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
건설안전기사
23/07/03 19:01
수정 아이콘
미국은 취득세가 없는 대신 보유세가 비싸고, 한국은 취등록세가 있는 대신 세계적으로도 보유세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그레이퍼플
23/07/03 12:25
수정 아이콘
미국 집의 최대 단점은 소음입니다.
방과 방 사이 소음 차단이 너무 안되요.
그냥 다 들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엄청 큰 집도 중앙 냉난방으로 파이프가 전부 연결되어 그런지 방끼리 소리가 엄청 잘 들려요.
지켜보고있다
23/07/03 12:53
수정 아이콘
미국인들은 부부생활을 어떻게 하는겁니꽈...?
그레이퍼플
23/07/03 12:56
수정 아이콘
글쎄요. 근데 정말 잘 들리는 건 사실입니다. 심지어 새로 지은 집에서도요.
집 지을때 쓰는 자재들과 중앙 낸난방을 보면 사실 안 들리는 게 이상한 일이죠.
TWICE NC
23/07/03 12:26
수정 아이콘
제산세가 왜 매달이지?
씨나몬
23/07/03 12:30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재산세는 property tax라는 개념으로 주위 학군에 쓰이는 돈이됩니다. 저희 카운티 같은 경우는 1.8프로 (집가격의) 의 재산세가 붙게되고 한달 모기지를 낼때 같이 청구가 되어서 모기지와 같이 납부하게 됩니다.
23/07/03 22:41
수정 아이콘
이것도 동네마다 다른데 캘리포니아의 경우에는 1년치를 4월 10월에 반씩 나눠내게 되어잇고 텍사스는 연말에 내게 되어잇습니다만 이것도 동네마다 차이가 잇습니다.
모기지를 햇다면 융자회사에서 매달 예상치는 나눠서 걷다가 재산세 내는 날짜에 맞춰서 내줍니다
윤지호
23/07/03 12:28
수정 아이콘
한국도 전원주택 살면 엄청 힘들죠
본문에는 냉난방비는 안나와있네요 저 넓은집 겨울에 난방하려면..어우..
김승남
23/07/03 12:33
수정 아이콘
저런 집들이 나무집이라서 겨울에 엄청 춥긴한데 희안하게 또 난방비는 별로 안나오더라고요. 같은 평수면 한국 아파트가 난방비 더 나올거 같습니다.

그리고 저 위의 글은 너무 시골 케이스 아닌가요? 인구 2-3만 정도만 되는 도시에만 살아도 괜찮습니다..
자가타이칸
23/07/03 12:33
수정 아이콘
저기는 텍사스라 난방비는 없고... 미국에 에어컨 있는 집은 거의 없어요...에어컨이 뭔지 모를 사람도 많을 듯..
김승남
23/07/03 12:39
수정 아이콘
에이 에어컨이 뭔지는 다 알죠. 다만 한국식 에어컨은 모를수도 있겠네요;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03 12:49
수정 아이콘
에어컨 많습니다. 캘리포니아는 이젠 거의 가정 필수인데... 진짜 없는 건 유럽...
샤한샤
23/07/03 13:17
수정 아이콘
유럽은 선풍기도 거의 없어요
정말 거의 못봤어요
타츠야
23/07/04 00:18
수정 아이콘
유럽도 이제 더워져서 선풍기는 많이 있고 새로 짓는 집에는 에어컨디셔너 다는 사람들도 늘고 있습니다.
자가타이칸
23/07/03 12:51
수정 아이콘
모르는 사람이 아주 많다는 의미는 아니고요...미국이라서.. 의외로 많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자기 나라가 어디 붙어 있는지 모르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고 하니깐...
김은동
23/07/03 12:54
수정 아이콘
미국에 에어컨이 있는 집이 거의 없다구요.. 진짜요?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52558
.. 미국 90% 가정이 에어컨이 있다는데요?
망고베리
23/07/03 12:57
수정 아이콘
동부는 에어컨 없는 집 많지만 남부는 필수입니다. 법으로 에어컨 없으면 건물 자체를 못 올리게 해놨어요
그레이퍼플
23/07/03 13:03
수정 아이콘
동부는 에어컨 없는 집이 많다고요? 설마요.
망고베리
23/07/03 13:08
수정 아이콘
돈없는 학생들이 거주하는 오래된 아파트는 에어컨 없는 경우 많죠. 그건 날씨 좋은 서부도 그렇겠지만
그레이퍼플
23/07/03 12:59
수정 아이콘
에어콘 거의 다 있습니다.
한국보다 더 더운 지역이 얼마나 많은데 이 무슨 이상한 말입니까?
최근 지어지는 집들은 대부분 중앙 냉난방이고요.
23/07/03 13:35
수정 아이콘
크크 중부 에어컨 없는 집에서만 쭉 살았네요
비뢰신
23/07/03 12:33
수정 아이콘
올리버 아재 ㅜㅜ
김티모
23/07/03 12:35
수정 아이콘
전원주택 관리 만만하게 보다가 호된 경험 하신분들 얘기 종종 보이죠 크크크크
자가타이칸
23/07/03 12:35
수정 아이콘
도시사람이 집에 집사(진짜.. 사전적 의미의 집사)가 없이 전원주택 생활하면.. 예수, 부처님 고난을 몸소 겪을 수 있을 겁니다....
23/07/03 12:41
수정 아이콘
건물 관리도 아무나 하는 게 아니죠 크크
23/07/03 12:47
수정 아이콘
저런 단독주택 살려면 비용을 다 떠나서, 일단 부지런해야하죠...
전 게으르기 때문에 아파트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03 12:50
수정 아이콘
막상 살아보면 정원 관리 같은 것도 서비스가 다 표준화되어 있는 업체들이 많아서 아파트 관리비 대비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23/07/03 12:55
수정 아이콘
아니 주거 재산세를 매달마다 백만원 가까이 내라니 ㅠㅠ

너무하잖아 미국!!!
김은동
23/07/03 12:59
수정 아이콘
재산세가 비싸다보니 상대적으로 집값이 억제되어있고
(사실 근데 요즘 보면 억제된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너무 올라서.. 오늘 뉴스보니까 22년 전고점 거의 회복했다 이야기 있더라구요)
재산세를 집 소유자들이 세입자들에게 전가해서 월세가 비싸고
그래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 소유의 메리트가 있긴합니다.
그레이퍼플
23/07/03 13:01
수정 아이콘
집에따라 다릅니다만, 집 세가 더 비싼 곳도 많아요.
록타이트
23/07/03 15:11
수정 아이콘
미국 평균이 한 해 300만원 정도라고 하니 매달 30만원 언저리라 올리버쌤 집이 많이 비싼것 같습니다.
그레이퍼플
23/07/07 00:46
수정 아이콘
그렇게 싼 곳은 본적이 없습니다만, 아마 평균의 함정이 아닐까 합니다. 위험한 동네는 세금이 거의 없다시피 하겠지만, 그런 곳은 사실상 제외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요. 대부분의 도시 지역에서 적당한 집들은 몇만불은 됩니다.
록타이트
23/07/07 09:28
수정 아이콘
재산세를 말씀드린건데 렌트 가격으로 이해하신것 같습니다.
그레이퍼플
23/07/07 10:15
수정 아이콘
재산세를 말 했습니다. 사실 재산세가 렌트 정도로 나오는 곳도 있긴 합니다. 제가 있는 곳만 해도 재산세가 집 값의 3%가 넘는 곳도 있습니다.
록타이트
23/07/07 16:22
수정 아이콘
https://www.rocketmortgage.com/learn/property-taxes-by-state
https://www.businessinsider.com/personal-finance/average-property-taxes-every-us-state#21-maryland-31
제가 어렸을 때만 살아봐서 잘 모르는데 연방정부도 재산세를 가져가나요? 제가 알기로는 재산세는 주 정부만 징수하는걸로 알고 있어서 검색된 자료만 가지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올리버쌤 영상에서 한달에 재산세를 160만원이면 적어도 1년에 1만불이 넘어가는건데 좀 부풀려진 감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레이퍼플
23/07/07 22:06
수정 아이콘
말씀드렸듯이 평균값은 낮을 수도 있습니다만, 집 값이 기준 이하로 싸거나 위험한 지역은 집세가 없다시피 합니다. 그런 곳은 생활환경이 기준에 못미치기에 고려 대상이 아니죠. 실제 집세는 zillow같은 사이트에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의 집세를 검색해보면 될 듯 합니다. 주마다 집세에 대한 법이 달라서 살때 가격 베이스로 집세가 매겨지는 곳은 수십년전 본인이 집을 살때 가격 베이스로 집세는 낮지만, 현 집값은 높은 곳도 있고, 어떤 곳은 현재 집값 베이스로 집세가 매겨지는 곳도 있어요. 그걸 감안하고 검색해보면, 집 세는 생각보다 높을 겁니다.

지역별로 편차가 크지만 집 세가 높은 곳은 집 값의 3%가 넘는 곳도 있고, 1-2%는 흔합니다. 주요 도시는 집세가 높지만 집 값이 워낙 높아 1-2%정도지만, 그 돈도 만불은 넘죠. 올리버쌤 정도의 집세는 저는 익숙합니다. 단지, 세금이 싸기로 유명한 텍사스도 집세는 저 정도 내는구나하고 느낄 뿐입니다.
유리한
23/07/03 12:58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올리버쌤입니다~
와 주택유지비 보소
김은동
23/07/03 13:03
수정 아이콘
사실 미국 주택을 소유하는데 있어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건 수리비용이죠..
얼마전에 하수구가 막혀서 혼자 뚫어보려다가 너무 깊숙한곳에서 막혀서 제가 가지고 있는 간이장비로는 안되길래 전문 플러머를 불렀는데
$300 정도 나왔습니다.. 한국에서라면 상상도 할수 없는 비용인데
인건비가 비싸니까 여긴 뭐 하나 고치려면 많이 나와요

그덕에 집을 구매하고나서
집 앞에 있는 나무도 혼자 칠수있는 능력과
전기 스위치정도는 혼자 설치하고..
화장실도 고장나면 혼자 고치는
DIY 형 인간이 되었습니다.
오타니
23/07/03 13:05
수정 아이콘
쿠팡 안되죠?
대청마루
23/07/03 13:16
수정 아이콘
시골 전원주택의 단점은 세계 어디가나 비슷할거 같은데 천재지변의 로또성이 얼마나 큰지, 얼마나 잦은지에 따라 난이도가 더 달라지긴 할듯. 미국은 한번에 히밤쾅!하는 토네이도가 일어나는 곳도 있고...
23/07/03 13:26
수정 아이콘
한국 재산세 종부세 비싸다고 난리칠 게 아니네
동굴곰
23/07/03 13:35
수정 아이콘
토네이도 경로에 집이 들어가면 리셋!
Just do it
23/07/03 13:38
수정 아이콘
그럼 대체 연봉이 얼마나 돼야 생활을 할 수 있단 거야...
덴드로븀
23/07/03 13: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1인당 GDP
70,248.63 USD (2021년)

많이 벌면 됩니다?...

https://namu.wiki/w/%EA%B5%AD%EA%B0%80%EB%B3%84%201%EC%9D%B8%EB%8B%B9%20%EB%AA%85%EB%AA%A9%20GDP%20%EC%88%9C%EC%9C%84
2023년 기준 1년간 명목 GDP의 국가별 순위.
미국 : 80,034$
일본 : 35,385$
대만 : 33,907$
한국 : 33,393$
미나리돌돌
23/07/03 14:19
수정 아이콘
인당 GDP로 한국은 세계 20~30위권.
스토리북
23/07/03 14:06
수정 아이콘
저도 아파트와 주택 둘 다 관리하고 있는데, 정원 있는 주택은 진짜 할 일이 끝이 없습니다.
오늘의 미션이 쌓이는데 갯수제한도 없음....
일반상대성이론
23/07/03 14:1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보다 소규모 도급업자가 넘쳐날 수 밖에 없겠네…
23/07/03 14:35
수정 아이콘
마당이 꽤 큰 2층 양옥집에서 18년 정도 살았었는데, 잔디깎기 등등 참 잔손이 많이 가더군요. 그래도 한번정도 다시 살아보고 싶긴 합니다.
똥진국
23/07/03 16:46
수정 아이콘
순살 자이에서 살 것인가 저 집에서 살 것인가 하나 선택해야 한다면 목숨 때문에 저 집에서 사는걸로 하렵니다
terralunar
23/07/03 20:01
수정 아이콘
한국도 저기 어디 경기도에 노후생활용 전원주택 지었다가 겨울 난방비 100만원 맞고 화들짝 서울 아파트로 돌아오시는 분들 있죠 크크
타츠야
23/07/04 00:20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산 경험을 이야기할 때는 확실히 살았던 지역에 대한 단서를 달면서 하는게 오해 없어서 좋습니다.
주 하나가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그 안에서도 차이가 크고 본인 및 지인 살았던 지역이라고 해도 전체를 대표하는게 힘들어요.
자연스러운
23/07/04 06:47
수정 아이콘
어휴 지구에 사는데
사막이에요 1년365일 얼음이에요. 열대우림이에요. 이런느낌입니까
타츠야
23/07/04 20:19
수정 아이콘
평생 본인 사는 주는 커녕 카운티 벗어나는 사람도 없다는 곳이 미국이라고 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093 [유머] 대한민국 취업깡패 3대장 [55] 우주전쟁12400 23/09/20 12400
486986 [텍스트] 후배 밥 사준 썰 .txt [38] 졸업14563 23/09/18 14563
486667 [스타1] ASL 16 저프전 근황 [21] 묻고 더블로 가!7277 23/09/12 7277
486328 [유머] 성심당 튀김소보로 판매량의 비결 [34] roqur11813 23/09/07 11813
485985 [유머] 자동으로 탕후루 만드는 기계 [5] 43년신혼시작11606 23/08/31 11606
485437 [유머] 요즘 SNS에서 건담 논란 [29] 동굴곰12402 23/08/22 12402
484731 [유머] 방구 소리 커지고 100억 받기.jpg [61] 핑크솔져7909 23/08/11 7909
484371 [기타] 극한직업 알바생들 (feat. 모토로라 vs 삼성 플립 수동 테스트) [12] 아롱이다롱이6831 23/08/06 6831
484032 [유머] 유퀴즈에서 조세호가 마루타가 되었다는 긱블 아이템 [3] Croove8617 23/08/01 8617
483898 [기타] 기계가 인간을 가상현실에 넣어두고 에너지원으로 삼음.JPG [8] This-Plus10356 23/07/30 10356
483885 [유머] 똥만드는 기계 [20] 졸업9384 23/07/30 9384
483808 [방송] [한문철] 공포의 기계식 주차장 [6] Croove9707 23/07/29 9707
483796 [유머] 모내기 기계가 고장나면? [13] 안초비8896 23/07/29 8896
483058 [유머] 정확하게 줄을 그어 표 그려주는 기계 [24] VictoryFood13373 23/07/16 13373
482182 [기타] [스압주의] 미국 주택의 단점 [78] 아롱이다롱이10282 23/07/03 10282
481155 [기타] 반성문으로 학대, 학폭위 가해자가 교사를 고소함. [30] Leeka11301 23/06/16 11301
479322 [텍스트] 레딧; 콘텐츠 집필 계약을 모두 잃었습니다. 작가로서 절망감을 느껍니다 [22] 졸업12621 23/05/13 12621
479137 [유머] 인어공주 해외언론 시사회 평 [89] 만찐두빵13022 23/05/09 13022
478313 [게임] 이것이 유희왕 마스터듀얼이다! [8] 길갈8683 23/04/23 8683
476430 [유머] 게이 창조자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8621 23/03/25 8621
475792 [기타] 사고쳤는데 반성좀 해야겠어 [7] Lord Be Goja8534 23/03/16 8534
474653 [유머] [GIF] 타코야끼 기계로 만들 수 있는 것 [22] 인간흑인대머리남캐8884 23/02/27 8884
474084 [유머] AI가 재해석한 모나리자.twt [15] 김유라11060 23/02/19 110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