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15 13:58:26
Name 졸업
File #1 c4cfa398d49d63089361d5c99f4ae42a.jpg (396.1 KB), Download : 111
File #2 Screenshot_20230715_135852_Samsung_Internet.jpg (629.5 KB), Download : 101
출처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30714/120234947/1
Subject [기타] 헐리우드 배우 파업 - 얼굴 하루 스캔하면 AI로 평생쓴다 (수정됨)




배우 조합이 지난 5월부터 파업하고 있는 작가 조합과 ‘동반 파업’에 나서면서 할리우드는 완전히 마비 상태에 빠진다고합니다

5조의 손실 예상중입니다

배우 조합은  OTT 회사의 수익이 분배되길 원하고있으며 그 이유는 재 출연료가 전혀 지급되고 있지않는점을 들어 재상영 분배금을 만들어주길 원합니다.

또한 배우들은 ai가 자신들의 외모나 목소리가 무단으로 도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디지털 초상권’을 보장해줄 것]을 요구했으나 제작자 측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습니다.

제작자연맹(사측으로 보시면 됩니다)은 “획기적인 대안을 제시했다”고 주장했으나.

배우협회에선 [“제작자 측 ai 제안서에는 연기자들이 하루 일당만 받고 촬영을 하면, 그 이미지를 회사가 소유한 상태로 배우들의 동의나 보상 없이 영원히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밝혔습니다.

작가들또한 생성형 ai가 퇴출되고 수익이 제대로 분배되길 원하고 있습니다.

이미 OTT가 들어오면서 각본가들의 평균 수입은 줄어들었거나 동결되었습니다. 쉬헐크 각본가의 경우 자신이 한 편에 약 50만원임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Chat GPT가 기존 내용을 짜깁기해 작가들의 지식재산권이 침해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Chat GPT의 초안을 각색하게하여 저임금으로 각본가를 고용하는 사례도 있다고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왕립해군
23/07/15 14:01
수정 아이콘
사측이 너무 날먹 하려고했네요
공원소년
23/07/15 14:0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좀 얻어맞고 법으로 까여야 하는 상황이라 봅니다.
Blooming
23/07/15 14:05
수정 아이콘
기업을 제약 없이 내버려두면 끝없이 사람을 쥐어 짜려 하기 때문에..
메가톤맨
23/07/15 14:0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쉬헐크 스토리가 완전 산으로 간건가..? 대우도 안해주니...
23/07/15 14:09
수정 아이콘
너무 날먹하려고 했네요.
시린비
23/07/15 14:11
수정 아이콘
제일 좋은 에피가 데어데블 나왔던 편인가..? 사실 까메오는 반가웠지만 좋은 에피였는진 모르겠지만
뭐 여기서 그게 중요한건 아니겠지요

AI가 강력해지며 이곳저곳 난리인데 인간의 권리를 잘 지키는 식으로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티타임
23/07/15 14:13
수정 아이콘
회사측에선 받아들일수없는 조건이라서 무시하고 갈거같아요. 세상에 헐리웃만 드라마 만드는것도 아니고요.

작가계의 알파고가 등장해도 그 시나리오를 쓸수없다면 미국이 만든 AI로 미국외 다른 국가들만 꿀빠는거라 미국의 문화적 패권에도 반한다고 봅니다.
티타임
23/07/15 14:23
수정 아이콘
여러 사이트 여러 글에서 AI를 규제해야한다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실제로는 굉장히 어려울 것으로 저는 보고 있어요.

제가 볼때 인공지능은 핵폭탄과 유사한데요. 너무 강력해서 인간 문명을 파멸로 몰고갈수있다라는 점이 그렇죠. 그런데 핵폭탄은 나혼자 안만든다고 해결되는게 아니라 모두가 안만들어야하죠. 즉 미국이나 기존 서구권/한일 문명이 규제해서 발전속도를 늦추면서 안정성을 도모한다쳐도, 중국이 규제안하면 중국만 핵폭탄을 혼자 소유하는 형태가 되버리는거죠.
23/07/15 14:52
수정 아이콘
근데 규제는 모든 나라가 한다고는 합니다. 규제 백서 만드는것도 공동으로들 하고요.
티타임
23/07/15 15:09
수정 아이콘
중국이 약속을 지킬까요? 중국정부가 그렇게 믿을수있는 집단이었나요? 제 경험상 절대 그렇지 않거든요.
가습기
23/07/15 17:06
수정 아이콘
좀 씁쓸하게 인공지능이 노동자를 대체할 것이라 할때는 글쓰는 사람들의 반발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감히 인문을 건드리는 일이 예상이 되니 인간의 권리등을 운운하네요
petertomasi
23/07/15 17: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알 게 뭐야?" 는 인간 본성 아니겠습니까.

노동자는 아닌데 전에 어느 바둑 관계자분이 "너네 AI 그림 나와서 속상하지? 근데 너희 일러레들도 알파고 나왔을 때 우리 걱정 안 해줬잖아?" 이런 말 했죠.

솔직히 만약 AI 그림보다 다른 업종의 AI가 먼저 나왔었으면, 그림쟁이들도 그 업계인들 비웃기만 했을걸요?
23/07/15 14:22
수정 아이콘
이건 법으로 한 번 맞아야죠
23/07/15 14:28
수정 아이콘
멀지도 않은 미래에 엑스트라급부터 아예 실물배우 없이 AI배우가 대체하기 시작해서

'예전에는 배우들이 디지털 초상권 보장해달라고 시위도 했었지..' '그게 무슨 얘기에요?' '그러니까 영상에 나오는 인물들을 연기하는 실제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이미지를 마음대로 변형시켜 사용하지 못할 권리를 줬단다' '음... 이론적으로는 알 것 같기도 한데 잘 감이 안오네요' 이렇게 되려나요
No.99 AaronJudge
23/07/15 15:34
수정 아이콘
우리가 1920년대 무성영화 시대의 변사 보는 느낌이려나요..
23/07/15 19:4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딱 적절한데요.
petertomasi
23/07/15 14:31
수정 아이콘
시대가 어떻게 변하려나요
라파엘
23/07/15 14:40
수정 아이콘
이미 모델이란 직업은 끝났습니다.

광고물 제작 중인데 AI 모델이 사람보다 훨씬 예쁘고
표정이나 몸짓도 자연스럽고(?)
제 주변 수십명에게 결과물 가지고 물어봤는데
사람과 구분 못합니다.
근데 가격이 10만원 이하로 떨어졌고 초상권도 없으며 평생 사용 가능합니다.

네임 밸류 있는 유명인 아니라면 사람을 모델로 쓸 이유가 없어요.
카서스
23/07/15 14:45
수정 아이콘
와... 그정도인가요?
jjohny=쿠마
23/07/15 14:47
수정 아이콘
[초상권도 없으며 평생 사용 가능합니다.]
에서, 아직 저작권/초상권 관련 논점이 남아 있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AI가 저작권/초상권 제한 없는 이미지만 학습했다는 보장이 없다면요.
소독용 에탄올
23/07/15 15:04
수정 아이콘
학습에 사용한 모든 데이터에 권리제한 없는 사용권을 명시적으로 확보했다는걸 증명하는게 가능하려나요....
jjohny=쿠마
23/07/15 15:50
수정 아이콘
그 부분과 관련한 입증책임이 누구에게 부여될지 아직 정리가 안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물론 어느쪽으로든 입증이 어려운 일이겠지만요)

최근에 스팀에서도 그 입증책임을 게임 생산자 측에 부여하며 '입증 안된 게임은 거절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고요.

아직 인류가 이 논점을 충분히 소화하지 않은 것 같아요. 결론이 나올 때까지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7/15 15:17
수정 아이콘
그 학습권이라는 게 참 어려운 문제라고는 보는데...
윗분 말대로 그걸 구분하는 게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어렵지 않을런지요...
jjohny=쿠마
23/07/15 15:51
수정 아이콘
윗플로 갈음합니다.
가습기
23/07/15 17:12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전부터 언급하신 문제가 업슨 이미지를 공급하는 스타트업이 해외 기업과 계약을 맺고 사업을 했던 것을 보면 준비를 제대로 했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보다는 애니메이션 AI는 공격받을 수 있겠지만요
라파엘
23/07/15 18:31
수정 아이콘
AI로 제작된 모델 이미지를 판매하는 업체에서 초상권/저작권 걱정없이 평생 활용 가능하다며 판매하고 있습니다.
jjohny=쿠마
23/07/15 18:59
수정 아이콘
업체에서 그렇게 주장하는 건 당연하고,
근데 주장에 대한 법리적 판단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덴드로븀
23/07/15 14:48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실물 제품군(밥통/선풍기/전자제품 같은) 은 정말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겠지만 패션쪽은 아직이긴 하죠.
23/07/15 14:59
수정 아이콘
블랙미러 새 시즌
Joan is awful 이 생각나네요.
근데 이게 진짜면 넷플릭스에서 자기네 까는 드라마 만든건데
23/07/15 15:08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를 풍자하는 넷플릭스 시리즈 ‘블랙 미러’ 시즌 6[오마주]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36279?sid=103
대놓고 셀프디스 한거죠 크크크
23/07/15 15:19
수정 아이콘
어느 정도 셀프디스는 분명히 있었는데
스투디오 들에서 실제로 이런 형식의 계약을 하고 있는줄은 몰랐네요
쪼아저씨
23/07/15 16:33
수정 아이콘
마냥 드라마라고 생각했는데 실화라니.
세상을보고올게
23/07/15 20:14
수정 아이콘
이 댓글 달려고 내리고 있었는데
23/07/16 00:50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생각했는데 진짜 꼭 보세요
살려야한다
23/07/15 15:05
수정 아이콘
이게 진짜면 너무 날먹인데요
23/07/15 15:07
수정 아이콘
평생 쓰겠다고 하는건 선넘었죠
무명 시절에 얼굴 싸게 따놓고 유명해지면 날먹하겠네요
무한도전의삶
23/07/15 15:11
수정 아이콘
50 크크크크크크 이건 털려야죠
재활용
23/07/15 15:16
수정 아이콘
딥페이크 보면서 그생각은 했죠. 톰크루즈나 로다주는 자기 초상권을 팔면 죽어서도 탑스타로 군림하고 원래 세대교체해서 떴어야 할 차세대 배우들은 재연배우 수준에서 머무르는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제작사가 벌지도 모르겠다는..
제라그
23/07/15 15:18
수정 아이콘
느낌상 자본의 논리가 헐리우드를 말아먹는 시발점 같아 보이기는 합니다.. 각본가들 후려치는거 이미 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 시점부터 제대로 된 각본이 안 나오는.
잠이온다
23/07/15 15:25
수정 아이콘
이게 참... 생성형 AI나 데이터 쌓아서 이전에 사람이 하던 부분을 모사할 수 있는 영역(+충분한 경제성이 있는 영역)은 다 생성형 AI가 인간을 대체하거나, 하지 못하더라도 하위층을 잠식할 확률이 높아보여서 요샌 인구수라는게 의미있나 싶기도 합니다.

저 말이 진짜면 너무 심하게 선넘는거 같기도 하네요. 저말이 진짜라는 가정하에 자본은 법이나 시스템적으로 규제 안하면 선넘는다는게 불변의 진리인 듯
No.99 AaronJudge
23/07/15 15:33
수정 아이콘
인구구조는 의미있는것같긴해요….
어쨌든 부양할 인구가 생산인구에 비해 많아지면 골치아프니까..
생산연령을 높이거나 생산성을 높이는 수 밖에 없죠 ㅜㅜ
No.99 AaronJudge
23/07/15 15: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너무한데? ;;;;;;

진짜 규제를 안 하면 끝도 없이 날뛰네요….
23/07/15 15:36
수정 아이콘
쓸때마다 돈내야지 양심 어디갔어 크크
23/07/15 15:37
수정 아이콘
이쪽은 인식적인 측면에서 큰 변화가 한번 생길 거 같은데
방향성이 어떻게 될지 가늠이 안 됩니다
알빠노
23/07/15 15:50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해도 너무하죠
이걸 진심으로 배우들이 받아들일 거라 생각하고 이따위 제시를 한건가
다만 제작비 중 배우 개런티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AI배우가 실제 배우를 대체할 것 같긴 합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7/15 16:09
수정 아이콘
차라리 무단 도용하는게 이것보단 욕을 덜 먹을듯 하네요
양아치도 정도가 있는거지;;
호랑이기운
23/07/15 16:1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새로운 세대나 새로운 얼굴 원하죠 제또래인 30-40대는 리즈시절 김태희 한가인 송혜교가 연기력까지 받쳐주는 연기 보여주면 혹하지않을까요?
쪼아저씨
23/07/15 16:36
수정 아이콘
연기자나 화가 같은 영역은 ai영향을 제일 늦게 받을거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나야.
Starlord
23/07/15 17:17
수정 아이콘
저렇게 할거면 넷플릭스 한 달 결제권 이용한 나님은 넷플릭스 컨텐츠 평생 무료이용권리를 획득했으니 누누티비를 써도 되겠군요?
23/07/15 19:14
수정 아이콘
샹치 배우가 샹치 나오기전에 자료사진알바같은거 해서, 샹치로 어느정도 알려진 이후에도 그때 찍은 사진들이 배우와 상관없이 광고에 사용된다는 얘기가 생각나네요.
근데 저게 잘못하면 향후 모든 신입배우들이 ai에 등록되버리는 사태가 벌어질수도 있을거같습니다. ai발전이 진짜 무섭네요..
탑클라우드
23/07/17 12:47
수정 아이콘
재사용 시 그에 대한 댓가를 배우에 지불해야죠. 음악의 저작권과 같이...

문제는 애당초 실존하지 않는 AI 창작 모델의 경우인데...
이제 엑스트라로 성장하며 경력을 쌓아 배우로 성공하는 스토리가 사라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엑스트라로 출연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데, 어떻게 성공을 하냐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6311 [기타] ai로 뽑아본 뷰군 표지 [13] 묻고 더블로 가!10295 23/09/06 10295
486067 [기타] 임재범 ai 목소리로 듣는 뉴진스의 하입보이.mp4 [5] insane6994 23/09/02 6994
485929 [기타] Q: 이 ai상품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A: 님말로 학습을 안합니다 [9] Lord Be Goja7424 23/08/30 7424
485780 [기타] 블리자드의 소통방식 [33] 닉넴길이제한8자9553 23/08/28 9553
485594 [기타] ai로 광고한다는 일본 소개팅 어플 [3] 묻고 더블로 가!10439 23/08/25 10439
485503 [기타] 난 ai 배워서 인터넷 짤들을 바꾸는 중이야 [14] 묻고 더블로 가!9376 23/08/23 9376
485132 [기타] 엔비디아 올해 ai덕분에 H100모델 250억달러 매출 예상 [16] Heretic6745 23/08/17 6745
484938 [기타] 올해 ai 근황 모음 [17] Lord Be Goja10137 23/08/14 10137
484577 [기타] 냉혹한 해킹의 세계 [12] Lord Be Goja9104 23/08/09 9104
484136 [기타] 희비가 조금 심하게 갈리는듯한 컴퓨타 업계 [2] Lord Be Goja10705 23/08/03 10705
484011 [기타] (약후) 각종 이슈에 존재감은 없어졌지만 계속 생산되고 있는 ai [19] 묻고 더블로 가!9505 23/08/01 9505
483932 [기타] 유투브 영상 요약해주는 사이트 [12] 졸업9789 23/07/31 9789
483801 [기타] 변수명의 중요성 [17] 졸업7902 23/07/29 7902
483571 [기타]  어느 절도범의 ‘치밀한’ 하루 [14] 그10번10303 23/07/25 10303
483556 [기타] 반도를 울린 새로운 가수 오쿠냥이ai (feat. 옥냥이) [23] 랜슬롯8591 23/07/25 8591
483186 [기타] [A.I] 미국 작가 파업 중 게시된 "가짜" 사우스파크 에피 [4] 타카이6875 23/07/19 6875
482991 [기타] 헐리우드 배우 파업 - 얼굴 하루 스캔하면 ai로 평생쓴다 [51] 졸업11915 23/07/15 11915
482869 [기타] 아이유가 똑같이 부를 수 있다 vs 이정도는 불가능하다 [40] 묻고 더블로 가!8361 23/07/13 8361
482845 [기타] aiai의 작품으로 무한 학습할수는 없다 [26] Lord Be Goja7568 23/07/13 7568
482709 [기타] 삼성 파운드리 5·7나노 가동률 90% 도달.jpg [30] dbq12313183 23/07/11 13183
482370 [기타] ai 누나들 근황.JPG [32] insane11907 23/07/06 11907
482354 [기타] 맞춤법 사이트의 빌런 [23] 길갈11181 23/07/05 11181
482214 [기타] 엔씨소프트 근황 [25] 크레토스12930 23/07/03 129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