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19 13:33:44
Name 길갈
File #1 18f89c9a85114219b.jpg (56.5 KB), Download : 124
출처 루리웹
Subject [기타] 의외로 자유시장주의 사회에서 하기 힘든 것


"경쟁을 통해 저렴하게 구매하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4/05/19 13:39
수정 아이콘
알뜰폰 15gb + 3mbps짜리 7700원에 쓰고있었는데

이제 그런건 없다고 봐야 할거 같네요 흑흑흑
겨울삼각형
24/05/19 15:40
수정 아이콘
받아라 알뜰폰 규제법
24/05/19 13:4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뭐..사실상 사회주의에 가까운 나라죠..
24/05/19 13:45
수정 아이콘
[자유]민주주의
24/05/19 13:50
수정 아이콘
기득권이 꿀빨 자유는 필요하지만 꿀단지를 지킬 자유도 줘야되기 때문에 그 용도로 규제를 사용하죠. 규제의 존재 자체는 필요하다 보는데 용도가 좀 그렇습니다. 
24/05/19 13:58
수정 아이콘
자유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자유 랑은 많이 다름 ㅠ.ㅠ
사람되고싶다
24/05/19 13:59
수정 아이콘
뭐랄까 사람들 인식에서 개인과 개인의 일로 끝나는 게 없죠. 모든 일에 다 사회, 국가가 개입해야 함. 오히려 국가 체제가 그나마 사람들 인식을 억누르고 있다고 봐야하나.
실제상황입니다
24/05/19 14:06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자유란 말은 그냥 웃음거리일 뿐입니다.
저런 기득권들 뿐만이 아니라 국민들부터가.
제로투
24/05/19 14:07
수정 아이콘
경쟁을 통해 발전한다는 자본주의의 원칙을 대놓고 무시하면서 시장경제는 왜 운운했는지
김삼관
24/05/19 14:10
수정 아이콘
GU GA INAI
미메시스
24/05/19 14:17
수정 아이콘
국가도 국가인데 .. 민의도 저렇다는게 좌절 포인트죠.
뭐든지 국가가 개입해서 문제를 막아야 한다는 사상이 심해요.

동네뒷산 어르신 낙상사고만 나도 위험한데 출입금지 팻말 안걸고 뭐했냐 하는 판국이니
미카엘
24/05/19 15:27
수정 아이콘
그거면 다행이죠. 멀쩡히 인도(상태 양호함)에서 걷다가 넘어졌다고 영조물배상 청구하는 국민들이 차고 넘칩니다.
하아아아암
24/05/19 14:18
수정 아이콘
자유시장경제 x
관치경제 o
24/05/19 14:20
수정 아이콘
무슨 문제든 발생하면 국가/지자체 책임으로 몰려는 성향이 강해지면서 더욱 규제가 많아지는 거 같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4/05/19 14:21
수정 아이콘
의외로 자유시장경제는 계속 이런 식이었습니다.....
무딜링호흡머신
24/05/19 14:23
수정 아이콘
다들 근데 그걸 원해요

어쩔수 없음
눈물고기
24/05/19 14:24
수정 아이콘
저런 사람들한테 표를 주고있는게 국민이니까...
사실상 국민도 동의 하고있는 것들이라는거죠
콩돌이
24/05/19 14:2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알뜰폰 규제는 어떤 맥락에서 하려는 건가요? 3대 통신사의 로비인가...
미드웨이
24/05/19 14:25
수정 아이콘
위에서 댓글단 분들도 본인에게 불리하지 않은 분야에서는 또 입장이 달라질겁니다. 어느 누구 할것없이 태어나서 자라면서 한국 특유의 문화에 익숙해져있어서 답이 없습니다. 그나마 여기서 댓글 달정도면 어느정도 문제인식은 하고 있으니까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낫긴 합니다.

전 그래도 과거에 비하면 인터넷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문제인식을 하게는 되었어요. 예전 인터넷에서는 국민들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 자체가 별로 없어서 나만 이런 생각하나 싶었는데. 확실히 사회가 바뀌어가는건 느낍니다.
소독용 에탄올
24/05/19 14:29
수정 아이콘
공산주의 만큼이나 자유시장경제도 말하는것과 굴러가는게 달라서 한국 문화 빼고도 딱히.....
미드웨이
24/05/19 14:34
수정 아이콘
님이 말하는 딱 그정도면 괜찮은거죠. 다른 나라들도 문제가 없는 나라인건 아니니까요.

한국과 비슷한 수준의 선진국들만큼의 인식만 가져도 괜찮죠.
소독용 에탄올
24/05/19 16:58
수정 아이콘
아뇨.

그 선진국들에서도 다른 형태로 같은일이 나타납니다.
제도가 달라서 정부가 덜 민감하고, 이미 규제가 빡빡하거나, 책임소재를 기업에 주거나 해서 양상이 다른거죠.
카루오스
24/05/19 14:25
수정 아이콘
[속보] 정부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사흘만에 사실상 철회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405190022
속보 떴네요. 직구는 철회인듯. 크크
타카이
24/05/19 14:41
수정 아이콘
그런데 유해성 검사해서 차단하겠다는데 구체적인 계획이 없어서
아직 KC인증->유해성 확인으로 바뀐 수준이긴 한
전자수도승
24/05/19 14:58
수정 아이콘
검찰 정권에서 "사실상"이라 하면 법조계가 "사실상"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쓰는지 참고해서 해석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먀미무먀
24/05/19 15:12
수정 아이콘
사실상 이라는 워딩때문에 그냥 그대로라 봅니다
24/05/19 15:28
수정 아이콘
개돼지 조련당하는 느낌드네요
개까미
24/05/19 15:49
수정 아이콘
저런 기사에 낚여버리니 그동안 계속 이짓거리 하는거죠. 단통법도, 책통법도 다 저런식이었습니다.
24/05/19 14:26
수정 아이콘
내가 누군가를 지읒되게 만들 수 있는 [자유]
몽키매직
24/05/19 14:29
수정 아이콘
구매대행 업체 많아지면서 인증비용 지불하는 정식 수입업체들이 가격 경쟁력 밀려서 하나 둘 씩 망하는 게 '적절한 경쟁' 이라는 생각이 들진 않습니다. 본문의 다른 문제들과도 궤가 많이 다르다고 봐요. 오히려 KC 인증 우회하면서 정당한 경쟁을 피하는 게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닌데... 정식수입을 장려하고 직구대행 업체도 규모가 커지면 정식 수입을 고려하도록 유도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봅니다... 지금 같으면 무조건 인증 우회하는 게 이득이죠. 직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던 시기에 사회적 합의를 빨리 하고 정리를 했어야 되는데 지금은 어떻게 건드려도 폭탄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태이고, 뭔가는 하긴 해야 되는데 정부는 무식하게 접근하고.

KC 인증의 경우에도 이게 필요한가 아닌가, 어느 수준으로 해야 되냐 외국 인증도 인정할 거냐 에 대해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수입 물건에 대해서 안전장치가 없어도 되는가에 대해서는 분명 의견이 갈릴 것 같고, 그래도 국가에서 검수는 해야되지 않느냐는 의견이라면 KC 인증을 대놓고 우회하는 영업에는 규제를 할 수 밖에 없어보여요.
닉네임을바꾸다
24/05/19 14:41
수정 아이콘
뭐 FTA 채결국이면 예외된거 빼면 서로 인증 인정해야하니까 이번에 강제하겠다도 그 예외를 싸그리 긁어다 붙인거던가일겁니다 크크
몽키매직
24/05/19 14:47
수정 아이콘
PGR 도 그렇지만 대부분의 커뮤니티가 각종 안전 이슈에서 정부가 사전에 점검했어야 한다는 게 주류 의견인데, 이번 건에 대해서는 또 정반대 의견이라 당황스럽습니다. KC 인증제도에 문제가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나름 속도도 빠르고 최소한의 검증을 하는 절차인데 나는 국가가 하는 안전절차 필요 없고 가격이 싸다면 안전 절차를 위한 비용도 지불하지 않은 물건을 사겠다는 의견이 대다수인 건 솔직히 놀랍습니다. 제가 어떻게 생각하고를 떠나서 기존 입장과 너무 달라서요.
타카이
24/05/19 14:51
수정 아이콘
그렇게 안전성이 크게 문제되는 제품만 막는다고 했으면 사람들이 뭐라고 안했을 겁니다
위험과 크게 관련이 없을 법한 제품군도 광범위하게 포괄적으로 범위를 잡고 막는다고 하니 반발하죠
대표적으로 에어소프트건은 갑자기 왜 또 얻어맞는지가 진짜 황당하던데
몽키매직
24/05/19 14: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안전 관련 규정은 '안전' 의 특성상
미리 정해진 몇 가지 품목만 규제 하는게 아니라,
안전하다고 확신할 수 있는 예외 품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수하는 포괄적인 방향으로 하는 게 적절합니다.
할 거면 포괄적으로 해야 되고, 아예 안 할 거면 안 하는 거고.

예를 들어 식약처에서 우리는 기존의 A, B, C 계열 약만 검수한다고 하면 새롭게 추가되는 X, Y, Z 계열의 약은 검수에서 놓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모든 약은 검수하되, 빠른 도입이 필요하거나 안전성 검증이 불필요해보이는 품목에 대해서만 예외를 두는 것이고
KC 인증도 마찬가지일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지금 정부의 방법은 디테일이 사라진 불도저식이라는 것에 동의는 하지만, (예비 단계도 없이 한 방에...)
기본적으로는 기존에 직구가 늘어날 때 정리를 일찍 했어야 했고, 그때 못했으니 지금이라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타카이
24/05/19 15:08
수정 아이콘
가장 이해가 안됐던 부분은 정발이나 직구로 산 제품이나 똑같이 들어가는 부품을 직구해서 자가 수리할 수 있는 통로마저 막아버린 부분입니다.
KC 인증 체계 관련해서 가장 많이 나왔던 게 동일한 제품이라도 수입처가 달라지면 인증 새로 받아야 된다는 부분인데
원래 쓰던 제품에 들어있던 것을 수리하기 위한 부분마저 KC인증이 없으면 원천 개인적인 직구를 차단하겠다느니 하는 도발적인 내용으로 발표한 게 제일 큰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5/19 15: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입처가 달라질때 인증 받는건 음...뭘까요...뭐 터졌을때 어디서 언제 수입되었는지로 책임 물리기가 편해서?...
아니면 제품 당 인증이면 하나가 뚫으면 나머진 인증비용 안쓰고 날먹되서...음...
몽키매직
24/05/19 15:26
수정 아이콘
후자에 가깝습니다. 날먹 얘기 아주 오래전에 나왔었죠.
먼저 인증 받는 게 바보가 되어버리니까...
지금 대세는 구매대행업체 차려서 인증을 아예 안 받는 거...
닉네임을바꾸다
24/05/19 15:06
수정 아이콘
근데 그게 개인 직구 전반을 차단하는 결과물을 내놨으니까요...
안전강화가 아니라 그냥 사지 마가 되었으니까요...
몽키매직
24/05/19 15: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긴 한데, 현재 직구를 막으면서 살 길이 막힌 물건 중 상당수가 직구대행 업체들 커지면서 정식 수입업체가 망해서 옵션이 직구 밖에 없어진 영향도 있습니다. 저도 직구 어렵던 시절부터 국내 정품 없으면 직구 꾸준히 해오던 사람인데, 직구대행 업체들 커지면서 마이너 취향 물건 팔던 국내정발업체들이 하나 둘 씩 망하는 게 정상적이진 않다는 생각이 계속 들었고, 그 결과가 현재이기도 하죠.

저도 한 번에 갑자기 막는 건 잘못된 행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직구 대행 업체들이 필요한 인증 받고 정식수입업체로 변신(?) 할 시간적 여유는 줬어야 명분도 있었겠죠.
코우사카 호노카
24/05/19 14:31
수정 아이콘
알뜰폰 괜찮은 평생 요금제 쓰다가 0원 6개월 요금제 있길래 한번 갈아탔더니 이제 더이상 뛸때가 없네요 조졌습니다 ㅠㅠ
그렇군요
24/05/19 14:31
수정 아이콘
warning.go.kr도 ㅠㅜ
닉네임을바꾸다
24/05/19 14: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현대는 수정자본주의니까요...국가마다 경향이 약하나 강하냐일뿐...진짜 찐으로 아무 개입없이 경쟁시키지는 않죠...룰만 관리하라지만 현실은...뭐...
(찐으로 경쟁하게 둘거면 최저임금부터 날아가겠죠...노조없는 회사면 임금이 어디까지 내려갈지...크크)
24/05/19 14:39
수정 아이콘
내수 차별을 안했으면 삼성티비를 굳이 직구로 사지 않았지.. 70만원 싸게 사서 10년째 잘쓰는 중..
안군시대
24/05/19 14:43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 국가지만 누구보다 사회주의를 사랑하는 나라..
24/05/19 14:5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완전경쟁시장은 학술적인 가정이라고 하지만..
그럴수도있어
24/05/19 14:58
수정 아이콘
KC인증이라는 규제가 적절한지 먼저 검토해야 하는데 규제에 규제를 더하는것 같습니다.

유명 브랜드의 아동복이나 화장품류를 수입하려고 하면 적합성, 동일성검사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많아서 수입을 포기하거나 벌금을 내더라도 신고를 안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피로사회
24/05/19 15:08
수정 아이콘
업자가 수입판매하는 경우만 인증받게하는게 맞지않나요? 개인목적이 아니라 국내 시장에 상업적으로 유통  판매하는 업자들에게 인증내지는 검사릉 받도록해야지 개인사용목적 직구에 인증을왜…
몽키매직
24/05/19 15: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걸 우회하는 직구 대행이 성행해서요...
정식수입업체 - 업체명으로 세관 거쳐 관부가세 지불하고, KC 인증 비용 또한 지불함.
직구대행업체 - 직구대행업체를 통해 구매하는 구매자 이름으로 세관을 거치고 KC 인증 비용/시간 지불하지 않음. 관부가세까지 피하는 경우도 있음.
사실상 수입업체처럼 국내에 창고도 두고 외국산 물건을 국내에 대량으로 유통하는데, 인증도 하지 않고 관부가세까지도 우회하죠. 이거 때문에 정식수입업체가 많이 사라졌습니다. 가격 경쟁이 불가능하거든요.
카미트리아
24/05/19 16:1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완제품을 막고 부품을 풀어야하는데
제제는 반대로 갔죠..

명분은 동의하지만 그 실행이 개판 그자체죠
24/05/19 15:10
수정 아이콘
사실상 철회라는데 애초부터 사실상 시행 못하는 거였죠.
타카이
24/05/19 15:13
수정 아이콘
20 여 번의 회의를 거쳤다더니 현행 법률상 불가능한 조치를 하려고 했다가
법 개정 안되서 못하는 걸 유예니 보류니 하면서 일단 발빼는 척 하는 중인
허니콤보
24/05/19 15:13
수정 아이콘
전 정부가 슬쩍 흘려서 여론보고 아니 검토만 한거지 안할거임
하는게 얼마나 전략적으로 훌륭한 것인지 증명 되네요.
24/05/19 15:26
수정 아이콘
음란 사이트 차단으로 소중국이라며 욕하던 사람들이 코로나 터지니 확진자 동선 추적하는 어플을 두 팔 벌려 반기는 기괴함을 저는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
24/05/19 15:33
수정 아이콘
근데 개인의 입장에서는 분명 소비할 자유의 침해지만 추후 테무 알리가 급격히 성장해서 쿠팡이 내수에서 만들던 경제효과의 30~40퍼 정도가 해외로 흘러가는것도 경시할 수 없는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지금 쿠팡이 고용하는 한국 인구가 몇만명인데 그 중 30~40퍼가 실직한다고 상상해보세요. 끔찍합니다. 대개 이런 경우 세금을 매겨서 억제하고 새로운 세수로 내수경제에 다시 돈을 풀어야 하는데 하필이면 그 상대가 중국이다보니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거죠. 중국 눈치도 봐야하고 미국 눈치도 봐야하니 한쪽에만 세금을 때리긴 뭐하고 KC인증같은 애매한(이후에 유동적으로 어그로 안끌면서 변경이 가능한) 법안을 도입하겠다는것 같습니다. 이번 사안은 국가 입장이 좀 이해도 가는 편이에요.
개까미
24/05/19 15:53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엔 정말 절묘하게도 KC인증 민영화가 껴있죠.  그리고 그런걸 다 생각할정도로 똑똑했다면 금지라는 진짜 뭐같은 결정은 안했을껍니다.  거기서 오는 부작용들 어쩔꺼냐는 물음에 죄다 몰?루 하는중인데 말씀하신 대의를 생각이나 했을까요??  
24/05/19 16:33
수정 아이콘
정부기관들이랑 일하면서 이 정도 허술함은 일상이라 그러려니 합니다. 디테일은 의문의 여지가 있지만 전체적인 방향은 일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타카이
24/05/19 16:5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알리,테무는 전적으로 협조하고 있고 KC인증 건도 준비하고 있어서(개별 샐러들 인증 취득을 위한 지원 등)
결국 오히려 시장문을 활짝 열어서 국내 보따리 장사고 뭐고 다 죽어라가 되어버리는 상황이라
방향성이 이상한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875 [유머] 무당에 빠진 MZ세대... [5] 주말758 24/06/02 758
500874 [음식] 주방이모의 직원식 근황 [5] 캐로2507 24/06/02 2507
500873 [연예인] 한달만에 유튜브 대박난 63세 연예인 [17] 서귀포스포츠클럽3877 24/06/02 3877
500872 [기타] 억대연봉 직장 순위 근황 [14] 서귀포스포츠클럽3123 24/06/02 3123
500871 [기타] 자녀를 게임 중독자로 키우지 않고 제대로 키우는 방법.jpg [22] 영원히하얀계곡3720 24/06/02 3720
500870 [게임] 명조 최후의 수단 ver.2 [22] 한입1726 24/06/02 1726
500869 [유머] 드래곤볼) 오공이 있어서 즐거웠던 이유 [13] 고쿠1945 24/06/02 1945
500868 [기타] 길거리 어묵맛의 비밀.jpg [1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3543 24/06/02 3543
500867 [음식] 4인 가족의 저녁 특식 [9] 카미트리아2790 24/06/02 2790
500866 [음식] 독신 삼대남의 저녁밥상 [12] 환상회랑2092 24/06/02 2092
500865 [스타1] 나만 몰랐던 히드라로 리버견제 막기 [12] DogSound-_-*3306 24/06/02 3306
500864 [스포츠] 승부조작이다 vs 아니다 [38] 무딜링호흡머신6352 24/06/02 6352
500863 [방송] 심심할때 보는영상 - 인류 멸망 10가지 시나리오 [22] Croove4277 24/06/02 4277
500862 [음식] 현실적인 유부남의 밥상 [48] Danpat7556 24/06/02 7556
500860 [유머] 30대 패치노트 [44] 주말6730 24/06/02 6730
500859 [유머] 요즘 회사에서 많이듣는다는말 [17] 주말6665 24/06/02 6665
500858 [게임] 인기있는건 알았는데 이정도일줄은 몰랐던 게임 [31] 꿈꾸는드래곤6029 24/06/02 6029
500857 [기타] 의외로 외국에서도 써먹고 있는 밈 [22] 묻고 더블로 가!5667 24/06/02 5667
500856 [유머] "꿈에 오랜만에 아빠가 나왔다" [9] 길갈5069 24/06/02 5069
500855 [기타] 잠 못잘 것 같은 로또 당첨자.jpg [17]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6162 24/06/02 6162
500854 [기타] 맛있어 보이는 키캡 [13] 쎌라비3754 24/06/02 3754
500853 [유머]  F1에 상식적인 안전 규정이 굳이 있는 이유 [35] kapH5086 24/06/02 5086
500851 [기타] 북한 오물폭탄 피해사례 [45] 주말6608 24/06/02 66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