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26 23:05:49
Name Leeka
File #1 IMG_8438.jpeg (62.4 KB), Download : 644
출처 국세청
Subject [기타] 1억이상 버는 직장인은 131만명 (수정됨)


2022년 국세청 근로자 연말정산 기준


근로자 한정이기때문에
근로자연말정산을 하지 않는 사람들
(금융소득, 회사대표들등)은 제외한 통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웨트
24/05/26 23:10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많네요
다람쥐룰루
24/05/26 23:14
수정 아이콘
1억이상 연령분포가 어떻게 돼있을지 궁금하네요 20대 비율이 0프로는 아닐거같은데요
푸헐헐
24/05/26 23:15
수정 아이콘
자료를 보충하자면 2022년도 연봉 통계이며, 세전 입니다
근로자의 모든 수입 포함 입니다 (식대, 4대보험회사부담금, 육아수당, 차량유지비, 연구활동비 등등)
지탄다 에루
24/05/27 00:06
수정 아이콘
부연설명 감사합니다.
회사 부담금까지 포함된다면 소위 말하는 연봉 1억하고는 체감상 좀 차이가 있겠네요.
터치터치
24/05/27 06:36
수정 아이콘
1억 실수령이 650만 정도라는 기사 봤네요
사비알론소
24/05/27 14:40
수정 아이콘
회사 부담금이 왜 포함되나요..
포커페쑤
24/05/26 23:16
수정 아이콘
능력있으신분들 많다
롤스로이스
24/05/26 23:18
수정 아이콘
저 6%의 대부분이 커뮤를 하기때문에 우리가 상대적으로 빈곤한겁니다?
아드리아닠
24/05/26 23:20
수정 아이콘
나이대는 40대이상이 많기야할듯..
24/05/26 23:32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시원하게 돈 한번 벌어보고 싶다
24/05/26 23:32
수정 아이콘
평균 브레이커들..
닉을대체왜바꿈
24/05/26 23:39
수정 아이콘
메이져 석유화학회사들은 고졸 교대직으로 들어와도 10년차면 1억 찍는답니다
이혜리
24/05/26 23:41
수정 아이콘
대충 전문직 집단의 40%,
대기업 집단의 30% 정도 아닐까요?
생각보다 많지 않구나..
VictoryFood
24/05/26 23:43
수정 아이콘
회사대표 포함일걸요?
회사대표도 법인에서 급여받고 연말정산 합니다.
24/05/27 05:51
수정 아이콘
아마도 개인 사업자들이 제외되었다는 의미인거 같네요
몽키매직
24/05/27 07:43
수정 아이콘
법인 아닌 고소득 전문직 개인 사업자 (대표적인게 개인 의원, 변호사 사무실) 들이 싹 다 빠져 있는 통계라는 의미죠.
수지짜응
24/05/26 23:44
수정 아이콘
서울 집값이 폭락할 수 없는 이유죠

저거보다 좀 못벌어도 맞벌이하면 아파트 한채 마련할 만큼 모으는 가구수가
모조리 상급지 대기수요라고 보시면 됩니다
Karmotrine
24/05/26 23:46
수정 아이콘
와 저렇게많다고?
Karmotrine
24/05/26 23:47
수정 아이콘
6%나 되네요
평온한 냐옹이
24/05/27 09:09
수정 아이콘
댓글에 없어서 놀래는중...피질에도 많을겁니다.
24/05/26 23:51
수정 아이콘
일본 평균임금을 넘은 지 오래되었는데 당연한 통계라고 보여집니다
24/05/26 23:59
수정 아이콘
코로나쯤 해서 개발자를 필두로 전반적인 연봉이 확 오른느낌이 있죠. IT아니면 대기업 한정이라는게 문제지만
Capernaum
24/05/27 00:06
수정 아이콘
와우

10프로도 찍을 기세..

좀 더 열심히 해서 들어가고 싶네요..
페로몬아돌
24/05/27 00:25
수정 아이콘
개발자쪽이 많이 들어와서 그런거죠. 자바 두명이요 에서 진짜 마니 올라왔네요
유리한
24/05/27 02:21
수정 아이콘
느낌상 2017년 즈음부터 미친 연봉레이스가 시작된 것 같아요. 
24/05/27 00:50
수정 아이콘
근로자연말정산을 하지 않는 사람들 중 잘 버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겟죠?
무딜링호흡머신
24/05/27 01:00
수정 아이콘
친한 동생은 영업직인데 근로자처럼 4대보험떼고 그러지 않아서...
월 2천정도 벌고

5월에 엄청 뗀다고 하더군요
24/05/27 09:35
수정 아이콘
그 정도면 친한 동생이 아니라, 모시는 형님 아닙니까?
알라딘
24/05/27 01:01
수정 아이콘
상급지 집값이 비싼이유
프리미어1k
24/05/27 04:42
수정 아이콘
물가(원화 가치가 떨어짐)가 많이 오르긴 했죠. 
24/05/27 07:53
수정 아이콘
양극화 시대가 도래한지 오래되긴 했죠... 그만큼 최저임금 수준의 근로자 수도 많은걸 감안하면 평균의 괴리는 더 커질거라고 봅니다.
24/05/27 08: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서울이나 상급지 집값 얘기하시는 분들..
당장의 근로소득만으로는 상당한 시간 없이는 절대 그 돈 안 나오는 것 모르시지도 않으실텐데, 왜 그런 얘기하시는지를 모르겠네요.
물론 돈 많은 사람은 많고 그래서 상급지 집값이 비쌀 수 있지만 근로소득 상위자가 많은 것과는 당장은 별 상관 없는 이야기일 수 있다고 봅니다.

슈카월드코믹스 영상 하나 추천합니다.
https://youtu.be/L3EfruidE4Y?feature=shared
롤스로이스
24/05/27 08:30
수정 아이콘
(우리집값 안떨어지니 사줘)
몽키매직
24/05/27 09: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상급지 집값과 연봉 인플레와 상관관계 있는 것은 맞습니다. 제로에서 돈을 은행에 쌓아서 집 사는 걸 가정하면 당연히 어려워 보이죠. 근데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을 가정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현실적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모아둔 돈 (부모님찬스?) + 주식이나 가상화폐 등 투자가 괜찮게 됨 + 주택담보대출 많이 나옴 콤보가 완성된 사람들이 상급지 매매 수요로 들어가는데, 고연봉자가 주담대도 많이 나오고, 여유자금으로 투자도 활발히 해서 그 중 일부가 상급지 노려볼 수 있는 사람이 나옵니다. 고연봉자가 많아질수록 재테크 잘 풀려서 10-20억 단위 집 살 수 있는 사람도 당연히 늘어납니다. 강남 신축 단지 가면 고연봉 젊은 부부들 정말 많아요. 많이 보는 조합이 40대 남편 30대 와이프 애들은 이제 유치원 갈 정도 나이. 한국 현실의 여러 면이 담겨 있죠.

높은 연봉이 상급지 집값과 직결되는 큰 이유 중 하나는 억대 연봉 부부가 대출심사때 대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10억 단위가 넘어가기 때문이에요. 괜히 대출 규제 조금씩 풀릴 때마다 상급지 집값이 조금씩 오르는 게 아닙니다.
24/05/27 12: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저는 부모님찬스? 같은 경우의 상관성이 보다 있지 않을까 생각했고, 그렇지 않아도 투자가 성공할 어느정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긴 했습니다.
또한 저 근로자소득통계 이외의 소득분류자들의 영향이 보다 클 것이라 보기도 했고요.

다만, 얘기주신대로 실제 접하게 되는 복합적인 요인에 기여하는 바가 있고,
대출의 경우, 당연히 일정수준 포함된다고 생각하였으나 억대연봉 부부 수준에서 대출 금액이 10억 단위를 넘는 수준까지 가능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고, 얘기해주신 수준이라면 충분히 영향력이 있어보입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레드빠돌이
24/05/27 11:50
수정 아이콘
현금박치기로 집사는 사람이 얼마나 된다구요
Paranormal
24/05/27 08:39
수정 아이콘
세전 1억이면 세금을 엄청나게 때는데 상급지 집값이랑 상관이 없죠
짐바르도
24/05/27 09:02
수정 아이콘
헤헤
handrake
24/05/27 09:12
수정 아이콘
금융권 종사자라면 1억안되는 사람 찾기가 더 힘들겁니다.
사실 1억이라는 금액에 대한 체감이 옛날하고 달라졌죠. 물가도 많이 오르고.....
나른한날
24/05/27 09:15
수정 아이콘
나이드니까 주변에 많이들 받드라고요. 나만 빼고..
24/05/27 09:3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단 수가 적네요.
WalkingDead
24/05/27 09:58
수정 아이콘
40대 이상에는 꽤 있는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이니 당연히 원천징수영수증 기준일테고 복지포인트 등 복리후생같은것도 다 들어있겠죠.
Far Niente
24/05/27 10:11
수정 아이콘
연봉이 상급지 집값이랑 상관있다는 건 그걸 모아서 집 산다는 게 아니라 대출한도가 늘어난다는 거죠..;
그리고 어지간한 대기업 다니고 10년 가까이 연차 쌓이면 1억 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닌데,
준대기업 포함한 기업집단은 88개고 임직원 수는 집단별로 수만명 이상이니 억대가 130만이라는 건 타당한 수준..
김재규열사
24/05/27 10:50
수정 아이콘
통계상으론 6.4%, 커뮤에선 36.4% 정도는 되어보임
24/05/27 12:21
수정 아이콘
정말 많네요..
당근케익
24/05/27 14:07
수정 아이콘
근로소득 1억만되도 세금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611 [유머] 영어로 '잘 먹겠습니다'라는 표현이 없는 이유.jpg [48] Myoi Mina 8496 24/06/17 8496
501610 [유머]  김종국 인종 차별 논란 [15] Myoi Mina 7160 24/06/17 7160
501609 [기타] 드래곤볼 슈퍼 연재중 있었던 비화 [13] 고쿠5169 24/06/17 5169
501608 [유머] 은퇴한 업계 프로에게 딱 걸린 범죄자 [12] Myoi Mina 8366 24/06/17 8366
501607 [유머] 싱글벙글 인종차별.jpg [16] Myoi Mina 7652 24/06/17 7652
501606 [음식] 칼로리가 높으면 맛이 없을 수가 없습니다.shorts [19] VictoryFood9875 24/06/17 9875
501604 [게임] 청천벽력같은 원스토어 출석 혜택 변경 [8] 묻고 더블로 가!6177 24/06/17 6177
501603 [기타]  한국인들이 일본가서 많이 당하는 계산서 [33] 퍼블레인10353 24/06/16 10353
501602 [LOL] 올해 LCK를 풍성하게 만든 사실상 주인공.. [6] Capernaum5580 24/06/16 5580
501601 [스타1] 현재 진행중인 스타 게임 대회 영혼의 다크 [10] Pika486557 24/06/16 6557
501600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 일요일 저녁 반주(피드백 받아들인 현실편) [27] pecotek4303 24/06/16 4303
501599 [LOL] 캐니언 생일축하 노래로 카이팅하는 리헨즈.MP4 [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2183 24/06/16 2183
501598 [게임] 치지직에서 요즘 제?일 잘 나가는 게임 [23] 길갈5977 24/06/16 5977
501597 [LOL] 나무위키에 롤 못한다고 저격되어 있는 선수 [10] 다레니안5823 24/06/16 5823
501596 [LOL] 현실적인 선수 김기인.jpg [8] Silver Scrapes5373 24/06/16 5373
501595 [기타] 한국 철수한 트위치 근황... [10] 닉넴길이제한8자8371 24/06/16 8371
501594 [LOL] 쵸비, 요네 공식전 17연승 달성 [20] Leeka3752 24/06/16 3752
501593 [유머] 일본 Z세대들에게 유행하는 차별용어 [65] 여기9747 24/06/16 9747
501592 [동물&귀욤] 일본 수족관의 이색적인 전시.jpg [16] Thirsha6447 24/06/16 6447
501591 [유머] 헬리콥터의 진실 [24] 인간흑인대머리남캐7234 24/06/16 7234
501590 [유머] 가오가 몸을 지배한 남자 [9] ggg2347639 24/06/16 7639
501589 [스타1] 1999년 세기말 PC게임 다큐멘터리 [24] Myoi Mina 5002 24/06/16 5002
501588 [기타] 작년 경영 경제학과 입시결과 [21] Capernaum7679 24/06/16 76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