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12 10:32:51
Name Lord Be Goja
File #1 IMG_2775.jpeg (486.3 KB), Download : 84
File #2 IMG_2776.jpeg (376.8 KB), Download : 83
출처 우리들의 칭구 나무위키 딥마인드 항목
Subject [기타] 아니 13년전에 딥마인드만든 구글은 왜 ms랑 애플을 openai에 뺏긴거죠?!




내가 안하면 남이 더 빨리할거라는걸 무시했던 댓가..

이거 완전 문자시장수호하려다 카톡키운 어떤기업들 특대버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12 10:38
수정 아이콘
애플은 태생적인 특성상 AI에 약점이 크면서도 강점이 있는 특이한 포지션 이다보니
(개인정보를 워낙 강조하다보니 AI에서 문제가 생길수밖에 없는 구조면서도..
반대로 AI를 사용할 수억명의 사용자들의 자료는 또 본인들이 틀어쥐고 있어서....)
이번에 오픈AI와 손잡으면서 가고 있는데


구글은 엄.....
근데 구글이 10년전 마소처럼 포인트를 못잡고 해매는 느낌은 쭉 주고 있긴 해서..

그래도 마소나 아마존이나 애플등은 본업은 잘 하는데 +@가 별로였는데

구글은 본업인 검색엔진 상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손 놓은건지 관리가 안되는..
ComeAgain
24/06/12 10:39
수정 아이콘
원하는 답을 척척 내주면 광고를 볼 필요가 없긴 하겠죠...
24/06/12 13:59
수정 아이콘
중간에 광고를 척척 잘 섞어서 줄 가능성...
안군시대
24/06/12 10:48
수정 아이콘
저도 이점이 의아했는데, 결국 핵심개발자들 이직엔딩이었군요..
24/06/12 10:48
수정 아이콘
AI에게 오늘 강남에서 맥주 한잔 하고 싶은데 추천해줘.. 하면 이게 대박 광고 같은데
우울한구름
24/06/12 11:02
수정 아이콘
광고는 의뢰자 즉 돈 준 사람게 떠야 의미가 있는데 ai응답을 광고주 위주로 뜨게 바꾸려면 학습에 가중치를 줘야하는데 그게 맞는지, 잘 돌아가는지도 문제고, 광고주가 바뀔때마다 학습을 다시 시켜야하니 쉽지 않을겁니다. 그렇다고 아웃풋에 직접 개입하면 ai가 아니기도 하고요
호러아니
24/06/12 14:04
수정 아이콘
학습을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어차피 광고인거 표시해야할텐데 그냥 기계적으로 넣어도 되죠 뭐
우울한구름
24/06/12 14:41
수정 아이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근본적으로는 블랙박스에 이렇게 던지면 대체로 이렇게 나오더라인데, 어떤 화풍의 그림을 생성하는 것도 아니고 광고주가 바뀔때마다 다양한 인풋에 대하여 특정 업체가 광고 플랫폼답게 원하는대로 유도가 되야하는데 그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건 인풋을 사용자 인풋과 달리 준다는 것데 저 댓글 예시 처럼 자유로운 사용에도 맞지 않고요. 광고표시 해주고 기계적으로 나오는것도 당근님의 원 댓글처럼 ai가 추천해줘서 사용자가 아 그렇구나 하는게 아니라 광고라고 따로 표시해서 보여주는거니까 지금 포탈 광고나 같아서 큰 의미 없고요.
사비알론소
24/06/12 15:01
수정 아이콘
의미가 없지 않죠.
지금 포탈 사용량의 많은 부분이 대화형ai로 넘어간다는 가정하에 자연스럽게 노출이 많이 될거라서요. (이미 검색 대용으로 쓰는 경우도 많고)
자연스럽게 나오는것도 프롬프팅+룰베이스 함수로 충분히 가능하구요.
우울한구름
24/06/12 15:11
수정 아이콘
결과적으로야 사용량이 넘어가면 어떤 형태로든 광고가 의미를 가지겠죠. 그런데 본문에 대한 당근님의 댓글은 ai가 자연스럽게 추천해주면 대박광고라고 하시니 그게 포탈에서 해주는 광고보다 더 우위의 광고가 아니라는 소리입니다. 프롬프팅은 xai가 안 되는 이상 의도대로 뽑기 힘들고 프롬프팅+룰베이스면 인풋 아웃풋을 임의로 바꾸는건데 쎄게 말하면 ai가 추천해주는척 사기치는건데 그러다가는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까요. 제제 먹을지도 모르고요.
호러아니
24/06/12 16:09
수정 아이콘
첫 댓글에 썼는데 당연히 광고인건 표시하죠. 그거 안하던 업체들은 다들 골로 갔고 구글은 한때 너무 눈에 안띄게 한다고 욕은 먹었지만 그래도 광고인건 표시해오긴 했습니다.
우울한구름
24/06/12 16:46
수정 아이콘
네 표시해야겠죠. 제가 댓글을 단 원댓글인 당근님 댓글은 ai가 자연스럽게 추천해주는게 대박 광고일 거 같다고 하신 걸로 읽혀서 한 얘기입니다. 광고 표시하고 별도로 보여주는건 서비스 이용자가 많냐 적냐일뿐 ai라서 대박일건 없으니까요.
24/06/12 11:16
수정 아이콘
강남 호프 티어리스트가 먼저 나올거같은데요 크크
시계 패딩 티어리스트말고 이런건 유용하겠단...
24/06/12 11:20
수정 아이콘
그 추천을 'AI가 제대로 해주면' 광고가 안되죠..

광고주가 돈을 냈으면. 그 광고주의 맥주집을 홍보해야 되니. 그럼 AI가 제대로 추천해주는게 아니고

진짜 제대로 추천해주면 광고주가 광고를 할 이유가 없어지니......
Lord Be Goja
24/06/12 11:33
수정 아이콘
플랫폼 지배자가 되면 검색결과에 광고좀 껴도 된다는건 아마존도 보여주고 있고..ms도 코파일럿 결과에 광고주의 물건을 우선 답변으로 넣는 비즈니스모델을 제시했죠.일단 장악하면 사소한  정확도는 큰 문제가 안되요
24/06/12 11:43
수정 아이콘
완전히 장악하면 광고를 낑겨넣을수 있지만

지금은 전쟁중인데 광고를 낑겨넣으면 멀리 가는거고

안낑겨 넣고 정상적으로 추천대결하면 결국 광고주들 뒤통수 때리는거니 어어어.. 한거니까요..
본문에도 직접 가져오셨듯...
24/06/12 10:53
수정 아이콘
NC의 현재 사례, 그리고 비교적 성공적인 넥슨의 사례를 본다면,
한창 성공적일 때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해서 미래를 대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지요.

그래도 NC와 구글의 차이라면,
구글은 다양하게 벌리기는 잘 벌린다는 점이고
https://gcemetery.co/

구글이 못한건 그 가운데서 성공각이 나올걸 잘 못보거나 시기까지 존버를 못했다는 점이겠죠?
사람되고싶다
24/06/12 10:57
수정 아이콘
결국 뭐라 해도 시장경제에선 경쟁이 필요하죠.
raindraw
24/06/12 10:58
수정 아이콘
구글이 LLM의 기본 뼈대인 트랜스포머 아키텍쳐를 만들었다는 걸 생각해보면 그 이후의 행보가 좀 아쉽긴 하죠.
트랜스포머는 또 상관없을 것 같았던 이미지, 미래 예측 등 온갖 부분으로 다 전파가 되는 것도 재밌구요.
도롱롱롱롱롱이
24/06/12 11:01
수정 아이콘
기술 회사가 상장을 한 후 점차 기술은 사라지고 사업과 마케팅만 남게 되서 결국 도태된다는 위즈니악을 내친 잡스의 자아성찰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24/06/12 11:05
수정 아이콘
문자 수익 포기했으면 지금 카톡자리에 네이트온이 있어을텐데..
생각해보니 네이트온이 대세가 된 미래는 좀 무서우니 잘된걸지도..
덴드로븀
24/06/12 11:10
수정 아이콘
<구글 2024 1분기 실적>
[광고: $61.7 billion (+13%)]
-Search: $46.2 billion (+14%).
-YouTube ads: $8.1 billion (+21%).
-Network: $7.4 billion (-1%)

Cloud: $9.6 billion (+28%)
구글플레이 등 : $8.7 billion (+18%)

회사의 기둥이 광고다보니 어쩔수없기도 하지만 그래도 일단 지금은 2등! 2등도 잘하는거야?...
24/06/12 11:45
수정 아이콘
검색으로 대체 어케 돈을 버는지 궁금하네요? 검색 광고는 광고로 들어갈텐데 말이죠
덴드로븀
24/06/12 11:52
수정 아이콘
구글의 광고 매출 안의 세부 카테고리에 검색 / 유툽 / 네트워크 가 있다는 뜻입니다.
24/06/12 11:59
수정 아이콘
와 검색광고가 생각보다 비중이 훨씬 크네요
덴드로븀
24/06/12 12:24
수정 아이콘
사실 구글은 별거아닌게

메타(페이스북) 는 광고 매출 비중이 97% 수준입니다.
24/06/12 11:17
수정 아이콘
그래도 구글이 설마 예전 IBM, 제록스처럼은 안되겠죠.
24/06/12 11:53
수정 아이콘
gpt가 본격적으로 검색까지 해주면 본진 날아가는 거 시간 문제라...유튜브가 아직 대체불가긴 한데
Lord Be Goja
24/06/12 16:42
수정 아이콘
Ibm이 그래도 자기영역은 잘 지켜서 이제 인텔보다 시총도 높더라구요
포포탄
24/06/12 12:07
수정 아이콘
GPT-4o 버전에서 이미 "지금 시간에 인천에서 먹을만한 게장백반집 검색해서 알려줘" 라고 하면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영업시간과 긍정리뷰들 취합해서 리스트와 레퍼런스 링크로 답변해주고 있습니다. 검색을 해주는 것 자체가 문제가 아니고, 실제 리뷰의 긍정 여부와 상관없이 seo 결과에 따라 gpt가 답변을 해주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더 검색결과 최상단에 걸리는 애들만 답변해주는 선택강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24/06/12 12:40
수정 아이콘
싸이월드네
24/06/12 12:42
수정 아이콘
알파고의 바둑 정복을 보고서 딥마인드에 투자했다면 이익 내기가 쉽지 않았을수도... 투자가 이래서 어렵네요.
24/06/12 12:59
수정 아이콘
자기잠식을 두려워하는 회사들은 순식간에 도태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더라구요. 자사제품을 자기가 보호해도 타사는 보호할 이유가 없는데
24/06/12 22:02
수정 아이콘
알파고나 알파폴드 같은 거 보면 진짜 앞서나가는 것 같은데 또 LLM에서 밀렸다고 완전 쩌리취급받고 알 수가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489 [LOL] 비시즌동안 체중이 10kg 증가한 서포터가 있다? [24] 종말메이커4910 24/06/14 4910
501488 [유머] 남친 기가 너무쌘데 어떡하면 좋을까 [37] 주말8171 24/06/14 8171
501487 [유머] 오답으로 처리해서 논란이 됐던 초등학교 국어 시험문제.jpg [23] 北海道5271 24/06/14 5271
501486 [동물&귀욤] 마술 리액션 혜자 [1] kapH2686 24/06/14 2686
501485 [유머] 야한거 보다 들킨 어른의 옳게 된 반응.jpg [14] 캬라7407 24/06/14 7407
501484 [서브컬쳐] 미술실력이 인생에 미치는 영향 [14] Lord Be Goja4899 24/06/14 4899
501482 [유머]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때문에 억울한 김계란 [18] Myoi Mina 7492 24/06/14 7492
501481 [유머] 군인이 없어서 학군단을 늘린다는 국방부 [72] Myoi Mina 7469 24/06/14 7469
501480 [유머] 일론머스크가 야동보다가 들켜서 한일 [26] Myoi Mina 6525 24/06/14 6525
501479 [기타] 불만들이 나오고 있는 치지직 중간광고 [96] 묻고 더블로 가!10884 24/06/14 10884
501478 [서브컬쳐] 1기 마지막화 방영후 바로 2기 제작결정이 발표된 애니 [31] 슬로5548 24/06/14 5548
501477 [동물&귀욤] 펠리컨적 사고 [6] 쎌라비4020 24/06/14 4020
501476 [유머] 요즘 번지 점프 근황(인지 아닌지 모름).gif [6] VictoryFood5490 24/06/14 5490
501475 [유머] 400만원 디올 가방, 원가 8만원? [68] VictoryFood8958 24/06/14 8958
501474 [기타] 또 터진 메이플 그 성향 손가락.jpg [62] 이시하라사토미7797 24/06/13 7797
501473 [기타] ai 사진대회에서 승리한 사진 [3] Lord Be Goja6072 24/06/13 6072
501472 [기타] 아메리카 2황의 웅장한 대결 [13] 퀀텀리프5218 24/06/13 5218
501471 [기타] 네이버 큐를 가볍게 압도하는 구글 잼민이 [6] Lord Be Goja4696 24/06/13 4696
501470 [유머] 크툴루 TRPG를 소개하는 법 [15] 퍼블레인3366 24/06/13 3366
501469 [LOL] msi의 여파 [11] 껌정4241 24/06/13 4241
501468 [스포츠] MLB 해설자피셜 최단시간 리빌딩 성공 구단 [8] 박민하4522 24/06/13 4522
501467 [서브컬쳐] 새벽에 주술회전 캐릭터가 뜬금없이 나무위키 실검 1위를 한 이유 [8] 묻고 더블로 가!4163 24/06/13 4163
501466 [기타] 푸바오에게 한국말로 말 걸었더니.. [5] SNOW_FFFF5598 24/06/13 55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