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1/22 15:15:58
Name EnergyFlow
File #1 1122144850241135.jpg (240.6 KB), Download : 117
출처 인터넷
Subject [유머] 정치, 종교 문제도 아닌데 의외로 시간이 흘러도 끝나지 않는 싸움



제가 이 분야에 아는 바가 없어서 언제나 그렇듯이 챗지피티 비서에게 물어보았습니다




Q. 디지털 케이블도 어떤 케이블을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스피커 음질의 차이가 날 수 있나?


A. 디지털 케이블(예: HDMI, 광케이블, USB 등)이 스피커 음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는 디지털 신호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디지털 케이블에서 음질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는 특정 조건에서만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품질의 케이블을 사용하면 음질 차이는 미미하거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 **1. 디지털 케이블의 특성**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표현되며, 아날로그 신호처럼 품질 저하나 왜곡에 민감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느냐(에러 없이)**입니다.  

- **에러가 없는 경우**: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면 케이블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한 음질이 출력됩니다.  
-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저품질 케이블이나 지나치게 긴 케이블 사용 시 데이터 손실이나 지터(jitter)가 발생하여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 **2. 디지털 케이블의 종류와 음질 차이**
#### **HDMI (오디오와 비디오 전송)**
- HDMI는 고해상도 오디오(예: Dolby Atmos, DTS:X)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품질 차이**: 대부분의 경우 인증된 표준(HDMI 2.0, 2.1 등)을 충족하는 HDMI 케이블이면 음질에 차이가 없습니다. 고가의 HDMI 케이블이더라도 음질 향상은 없으며, 신호 손실만 방지하면 됩니다.  

#### **광케이블 (TOSLINK)**
- 광섬유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며, 전자기 간섭에 강합니다.  
- **품질 차이**: 기본적으로 음질 차이는 없지만, 케이블이 지나치게 길거나 커넥터 품질이 낮을 경우 데이터 전송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USB (DAC 연결용)**
-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나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 **품질 차이**: 대부분의 USB 케이블은 디지털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며, 음질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아주 저품질의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 에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 **3. 고급 디지털 케이블의 마케팅**
- 고가의 디지털 케이블이 "더 좋은 음질"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은 과장된 마케팅입니다. 디지털 신호의 특성상 케이블이 기본 요구사항만 충족한다면 음질 차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대신 **내구성, 커넥터 품질, 길이 제한** 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4. 예외: 특수 상황에서 음질 차이가 날 수 있는 경우**
- **지터(Jitter)**: 디지털 신호의 타이밍 오류로 인해 음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품질 DAC나 리시버가 대부분 보정하므로 실질적인 문제는 드뭅니다.  
- **EMI/RFI 간섭**: 저품질 케이블이 외부 간섭에 민감한 경우 잡음이나 신호 손실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결론**
디지털 케이블이 음질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이며, 다음 사항만 지키면 됩니다:  
- **표준을 준수하는 케이블 사용**: HDMI, 광케이블, USB 등 각 케이블의 인증된 제품을 사용하세요.  
- **적정한 길이 선택**: 필요 이상으로 긴 케이블은 피하세요.  
- **내구성 및 커넥터 품질**: 반복적인 연결/분리에도 견딜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세요.  

즉, "기본에 충실한" 케이블이면 충분하며, 고가의 케이블이 음질을 눈에 띄게 개선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렇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깃털달린뱀
24/11/22 15:18
수정 아이콘
에잇 역시 AI는 인간의 미묘한 감성과 영혼을 이해하지 못하는군요
24/11/22 15:19
수정 아이콘
챗지피티 너 T야?
시린비
24/11/22 15:20
수정 아이콘
뭐 미신 믿는 사람들은 많고, 미신에 돈붓는 사람들도 많으니 서로 갈길가는것이..
24/11/22 15:22
수정 아이콘
GPT야 니가 미미, 거의라는 표현을 써버려서 논란이 이어진단다.
에러만 없을정도의 품질이면 차이는 없다고해야지
류지나
24/11/22 15:23
수정 아이콘
이미 옛날 옛적에 블라인드 테스트도 해봤던 내용 아닌가요? 아직도 미신을 믿는 분들이...
뒹굴뒹굴
24/11/22 15:24
수정 아이콘
사실 이 간단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얘기를 납득 못하는 사람이 아직도 많은데
겨울에 조금만 추워도 이렇게 추운데 무슨 지구 온난화냐..하는 사람이 생기는건 어쩔수 없나 봅니다.
삼겹살이면됩니다
24/11/22 15:24
수정 아이콘
종교 문제 맞는 거 같은데요?
24/11/22 15:24
수정 아이콘
오디오 하시는 분들 사이에서 조차 의견이 갈리는 문제이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케이블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기기나 리시버에 투자하는 것이 훨씬 체감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4/11/22 15:27
수정 아이콘
고수 : 거의라고..? 난 그 조금을 위해 거액을 투자하겠다
디쿠아스점안액
24/11/22 15:27
수정 아이콘
어디 나라 돈 많은 분들은 전봇대도 바꾸신다고 듣긴 했는데
네모필라
24/11/22 15:30
수정 아이콘
청정한 전기를 사용하면 음질이 좋아질 수도 있으니 수력발전소를 짓겠다!
24/11/22 15:29
수정 아이콘
이어폰 헤드폰도 줄질해서 음색이 바뀔 수는 있으나
그 바뀐 음색이 좋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라고 알고있었는데 맞나요
줄이 이쁘면 기부니가 좋다고는 하던데
24/11/22 15:33
수정 아이콘
일단 아날로그 케이블의 경우 '소제에 따른 음색의 변화는 있다'는 건 어느정도 정설로 받아들여집니다.
다만, 말씀대로 '음질'이 좋아진 것인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또한 가격이 비싼만큼 값어치가 있는가 역시 마찬가지죠.
그걸 많이 믿어서 큰 돈을 투자하는 사람과, 적게 믿어서 적당히 즐기는 사람의 차이입니다.
화씨100도
24/11/22 15:31
수정 아이콘
디지털 파트와 아날로그 파트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니
전혀 영향없다고 할 수는 없는데
어느 이상의 품질만 되면 본문의 내용들 처럼 구분 불가입니다.
비오는풍경
24/11/22 15:31
수정 아이콘
저런 사람들 덕분에 음향기기 업계가 돈버는거 아니겠습니까
코마다 증류소
24/11/22 15:33
수정 아이콘
저도 오디오취미하지만 비싼 케이블이 더 이쁘긴합니다.
그래서 적당한 선에서 사고 음질은 음원과 리시버가 제일 크게 좌우하고 선재는 gpt답변처럼 기본에 충실하면 문제없다고 봅니다.

기기도 일정 수준 이상이면 취향의 차이라고봅니다.
raindraw
24/11/22 15:35
수정 아이콘
돼지털의 경우 오전송만 없으면 차이나면 안되는게 당연한 사항이고 오전송 안하기 위해서 체크섬 등 기술이 들어있어서 오전송 나면 정말 글러먹은거죠.
물론 아날로그 부분은 충분히 다를 수 있습니다. 더 나을지는 모르겠지만...
BlueTypoon
24/11/22 15:36
수정 아이콘
아날로그 케이블이면 논의정도라도 가능은 하지 디지털 케이블은 정답이 있는 내용입니다. 오디오 제대로 파시는 분들은 당연히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를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4/11/22 15:37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공대 교수나 프로그래머 중에도 흔합니다.
우스타
24/11/22 15:42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hdmi 케이블 품질 개같은 개체도 있기는 한데
보통 그러면 음질/화질이 문제가 아니라, 끊기거나, 해상도 혹은 주사율이 지원되질 않거나 하죠
24/11/22 15:47
수정 아이콘
1000개쯤 준비해서 블라인드 테스트 하고 음질에 차이가 없다면 결국 정답율은 50%에 수렴할테니
논란 끝! 하면 되지 않나요? 1000개 준비할 돈과 수고에 대해선... 몰루?
뒹굴뒹굴
24/11/22 15:49
수정 아이콘
블라인드 테스트 많이 했는데 차이가 있다는 분들이 항상 털렸기 때문에 이제 블라인드에 잘 참가를 안하십니다.
24/11/22 15:50
수정 아이콘
애초에 감성적인 영역이라 플라시보건 뭐건
본인이 만족하면 장땡이긴하죠
순금 도금 케이블 썼더니 마음의 불안이 사라져서
음악이 풍요롭게 들리면 그거 나름대로 뭐..
24/11/22 15:52
수정 아이콘
그냥 선이이뻐서 산다고하면 납득인데..
비싼거사서얻는 만족감이란게있으니..
비싼선재들도 마냥비싼값만받긴좀그러니까
케이블마감을 끝장나게 해주긴하죠 그거말곤 차이가 안나니까..
모링가
24/11/22 15:53
수정 아이콘
감각과 감성의 문제입니다
차이 없다고 인지한 사람에게는 차이 없게 들리는거고
차이 있다고 믿는 사람에게는 차이 있게 들리는 겁니다
현대판 해골물이죠

물론 차이 있다고 하는 분들도 블라인드 테스트를 하면 구분 못 할 겁니다
골드쉽
24/11/22 15:53
수정 아이콘
요즘 유튜브에도 꼴랑 인페이즈 걸어놓고
무슨 분리 된 초고음질로 감상하는 머시기 머시기 해서
올라온 영상이 있는데

댓글보면 진짜 개탄스럽더군요...

확실히 어떤 기기에 대한 지식과 열정이랑 지능(신념)은 무관한 것 같습니다.
24/11/22 15:57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품질 규격만 통과했다면 어떤 케이블이건 차이 없죠.
그냥 본인 오디오에 비싼 케이블로 둘둘 감는 거야 자유지만, 더 좋은 음질에 대한 어떤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처럼 떠들어 대는 순간 능지의 문제가 되는 거죠.
24/11/22 16:06
수정 아이콘
원자력 발전소에서 받은 전기로 돌린거랑 수력 발전으로 받은거에 따라 ChatGPT 답변이 다르다던데 잘 확인해보시죠~
밥도둑
24/11/22 16:1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예전 아날로그 3.5파이 스테레오 케이블이나 rca 케이블로 앰프에 연결하던 시절에는 미세하게 나마 의미 있었을걸요? 근데 이게 디지털로 넘어가면서 hdmi 케이블에서는 0or1 의
디지탈 신호라 굳이 비싼거 살 필요가 없는걸로 알고 있구요. 

hdmi 케이블은 2.0 혹은 2.1 버젼만 확인하고 무조건 제일 싼거로만 사는데 스펙만 맞으면 의미 없죠. 
카페알파
24/11/22 16:19
수정 아이콘
음질에 제일 영향을 미치는 거 : 원본 소스의 음질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거 : 오디오 재생 환경
그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거/오디오 기기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거 : 스피커

앰프 : 음질의 차이 있을 수 있음. 다만, 제대로 만든 앰프의 경우 인간의 귀로 차이를 느끼기 매우 힘듬. 기계로 찍어보면 몰라도...... 이미 설계기술 자체는 1980년대인가 90년대에 완성된 물건이라......
소스 기기 : 이건 제대로 만든 거라도 차이를 느낄 수 있다고는 하는데, 음악 감상에 영향을 줄 정도인지는......
케이블 : 한강물에 물 한 양동이 붓는다고 수위가 달라지나?

디지털 케이블 : 디지털 방식은 원래 음질과는 관련없음. 만일 신호가 이상하게 전달되면 틱틱거리는 잡음이 나거나 에러가 나겠죠~ 마치 모르스 신호가 잘못 전달되면 뜻이 아예 전달이 안 되는 것처럼......
후랄라랄
24/11/22 16:45
수정 아이콘
음질에 제일 영향을 미치는 거 : 본인이 쓴 돈
카페알파
24/11/22 16:48
수정 아이콘
말씀이 맞.......긴 한데(어쨌든 어찌 보면 재생환경이든, 기기든 다 money니까요~), 원본 소스는 '돈~' 이라고 해야할지 애매한 구석이 있어서....... 여튼 재생환경이나 기기가 아무리 끝내주게 좋아도 원본소스 음질이 꽝이면 별 의미가 없으니까요.
24/11/22 16:27
수정 아이콘
종교문제가 아니라니요... 종교 맞구만요 뭐 크크
카마인
24/11/22 16:55
수정 아이콘
챗GPF에게 물어봤어야지!!
밥돌군
24/11/22 17:03
수정 아이콘
이거 종교문제 맞아요
24/11/22 17:12
수정 아이콘
케이블은 솔직히 별로 차이 없는데 발전소 차이는 확실히 있습니다
스덕선생
24/11/22 17:40
수정 아이콘
원음을 왜곡하지만 듣기 더 부드럽다는 이유로 레코드판이 더 선호되는거 보면 이것도 갬-성 아니겠습니까
본인이 좋다면 뭐 OK 입니다 크크
24/11/22 17:40
수정 아이콘
블라인드 테스트로 구분 못하는 시점에서 말 다했죠
24/11/22 18:26
수정 아이콘
나름 오디오에 돈 좀 써보며 살았는데,
아직도 저런 소릴 믿는 분이 있다는게 정말 어처구니 없죠 사실.
케이블에 몇십 쓸 돈으로 스피커나 앰프에 몇십 더 쓰는게 우선이고,
원본 소스를 구입하는데 쓰거나,
그것도 아니면 그냥 음악 기깔나게 틀어놓고 집에서 소고기 썰어먹는게 이득입니다.
가스트락스
24/11/22 20:22
수정 아이콘
눈도 착시로 오락가락 한데
눈보다 훨씬 해상력 떨어지는 기관이 귀라는 사실
switchgear
24/11/22 21:13
수정 아이콘
몇천원짜리하고 만원 내외 케이블은 차이가 납니다. 물론 음질이나 화질이 아니라 내구성이죠 크크
24/11/22 22:19
수정 아이콘
종교 문제 맞지 않나요
24/11/22 22:34
수정 아이콘
음질타령하면서 av에 수천 쏟아부을 돈으로 실연을 가는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9116 [유머] 서바이벌 프로그램 2위 했는데 사실상 1위 취급 받는 이유.JPG [6] Myoi Mina 9977 24/11/29 9977
509114 [유머] 폭설 오는데 똥꼬찌르는 람보르기니.mp4 [17] Myoi Mina 10067 24/11/29 10067
509111 [유머] 당신도 당해봐야지! [12] 일신8416 24/11/29 8416
509107 [유머] 국민대 피에타 근황 [18] 산밑의왕12857 24/11/29 12857
509106 [유머] 가로세로 연구소 근황.JPG [85] Myoi Mina 13177 24/11/29 13177
509105 [유머] 스팀 : 한국 게이머 여러분 가을 잘 보내고 계신가요 [10] EnergyFlow8494 24/11/29 8494
509104 [유머] 날이 추워지면 길냥이들이 차에 들어오려 한다 [24] 길갈10450 24/11/29 10450
509100 [유머] 나사가 공개한 불멍용 동영상 [7] 닉언급금지9677 24/11/29 9677
509098 [유머] 닭갈비 호불호 문제인데 의외로 성립 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많은 문제 [65] EnergyFlow10588 24/11/29 10588
509094 [유머] 폭설이 오자 드디어 꺼낸 물건 [21] 길갈11364 24/11/29 11364
509093 [유머] ???:남편의 외조가 철저해서 너무 열받아 [33] Myoi Mina 14050 24/11/29 14050
509092 [유머] 고양이 손이라도 빌리고 싶은 것.jpg [8] VictoryFood12171 24/11/29 12171
509091 [유머] 아이폰 17 근황 [36] INTJ12672 24/11/29 12672
509090 [유머] 다들 컴퓨존에 대한 환상이 너무 심한듯 [58] INTJ13786 24/11/29 13786
509077 [유머] 아카데미 포터 프라모델 근황 [48] EnergyFlow11779 24/11/28 11779
509076 [유머] 오늘자 일본사람들을 발끈하게 만든 한 댓글 [65] EnergyFlow14686 24/11/28 14686
509074 [유머] 오늘만 특별히 눈 감아드리는 겁니다.jpg [25] kapH13623 24/11/28 13623
509072 [유머] 아까 올라왔던 용인 스키남 정체 [28] kapH13260 24/11/28 13260
509069 [유머] 클래식 국수 먹방 [7] drighk8849 24/11/28 8849
509068 [유머] 최근 한반도 폭설의 위력을 실감케하는 사진 1장 [10] 독서상품권11856 24/11/28 11856
509065 [유머] 빨래 개는 일 같은 건 아직 로봇이 못 함.twt [22] VictoryFood8434 24/11/28 8434
509064 [유머] 의외로 조리법의 차이가 존재하는 라면 [38] EnergyFlow9159 24/11/28 9159
509062 [유머] 고르지 말아야 할 로또 번호 [16] 예루리8227 24/11/28 82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