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13 20:41:34
Name arq.Gstar
Subject [질문] 미투 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먼저 많이 민감할수도 있는 문제에 대해 언급하는거라서 조금 무섭기도 하고 그런데요..
제가 가지는 궁금증은 제가 많이 무지해서 그런거라 너그러이 이해해주시고 답변 주시면 좋겠습니다... ;;

피지알 자게에서 공부한 미투운동이란건 권력을 이용한 성폭력이 가해질때를 주로 얘기하는것 같습니다.
특히 안희정 사건의 경우에 여러 정황이나, 특히 안희정이 했다는 말들을 보면 전형적인 권력형 성폭력인것 같습니다.
그로인해 피해자분께서 많은 고통을 겪었을 것 같고요..

그런데 저는 약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범죄 형태가 회식자리에서 잠깐 술취한것도 아니고, 전형적인 권력형 성폭행이기 때문에 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왜 곧바로 그만두고 신고하지 못한채로 네번이나 당했는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저와같은 궁금증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에서 기사를 검색해서 보다보니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http://www.civi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75
------
김 씨의 이번 편지가 언론을 통해 전해지면서 이 같은 댓글은 다소 줄어들었다. 한 네티즌은 “자꾸 네 번 당할 동안 뭐했냐고 하는데 중소기업만 해도 상사와 부하직원 관계는 수직관계다. 대선후보와 비서의 관계는 하늘과 땅 차이 아니겠냐”며 “버티다가 미투 운동이 확산되니 용기 내서 폭로한 것”이라고 김 씨 편을 들었다.
------

정말 수직관계면 몇번은 당할수밖에 없는걸까요?..
아무리 권력이 높다 한들 과거 박정희 정권 채홍사가 다니던 시절도 아니고..
2017년 대한민국에서 성폭행을 당할수밖에 없는 권력관계가 무엇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제카이
18/03/13 20:49
수정 아이콘
밥줄을 죄고 있고 가정 사정이 급하다...라고 하면 가능하죠.. 취업시장도 힘들고 꽤 많은 탈락을 겪은 후 하는 거라면...
김테란
18/03/13 2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상이 여성이 아닌 남성이고, 성폭행이 아니라 비리라면,
거부하면 온갖 불이익이 오겠죠. 각종 루머등을 포함한 보복을 당할것이며 그 계열에선 취직조차 힘들겁니다.
실제로 내부고발자들은 계속 고통받고 있습니다. 비슷한겁니다.
고발에 대한 제대로된 처리, 고발자 보호 등의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벌어지고 있는겁니다.
이번 사건에서 sos신호를 받았던 동료도 님과 비슷하게 생각했겠죠, 이상한짓 하려한다면 거부하면 되지 않냐고.
비리관련 지시를 받아도 3자는 그런 말을 할 것입니다. 그러나 당사자의 입장은 다른겁니다.
결국 현재처럼 시스템이 엉망여서 되려 고발자가 피해를 받게 되는 경우, 대개 거부나 고발을 못합니다.
arq.Gstar
18/03/13 21:06
수정 아이콘
결국 내부 고발자들에 대한 보호가 안되는것이기 때문에 그런가보군요.
실제 주먹으로 폭행당한사람중에도 회사를 못관두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거라고 보면 이해가 좀더 쉽게 갔었겠네요.
김테란
18/03/13 22: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일반국민도 아닌 정치인들이 미투운동을 지지한다느니 확산되어야 한다느니 한가한 소리만 하는걸 도저히 이해못하겠습니다.
당장 오늘도 3번째 피해자가 두려워서 검찰 고소도 못하겠답니다.
언론은 최후의 방편일 뿐이고 그 어떤 피해자도 언론에까지 나서고 싶을 리가 없는데,
이 지경까지 눈으로 확인해 놓고서도 언론으로 등떠밀어 대는게 전부라니 한심합니다.
정말 웃긴건 정치인들도 그 위치에 올라갈때까지 남성이든 여성이든 미투 할거리 충분히 많을건데 자신들은 엄청 몸사리네요.
개헌타령 하는 것 조차도 참 한가해 보입니다.
개헌이고 뭐고 뒤로 미루더라도 당장 고발시스템정비에 올인해야한다 보는데 저같은 말을 하는 정치인은 거의 보이질 않네요.
적폐청산의 적폐란게 전부 다 각 조직내의 권력독점과 고발시스템미비로 인한 것인데
지난 1년동안 수사한거 말곤 뭐가 달라졌는지 답답합니다.
덴드로븀
18/03/13 21:01
수정 아이콘
결론은 즐겼을거다 뭐 그런건가요?
그럼 왜 안희정이 합의에 의한 관계가 아니다라고 사과합니까?
일단 네이버 뉴스가서 범죄기사 쭉 보면서 이해가 가는 범죄가 몇개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arq.Gstar
18/03/13 21:07
수정 아이콘
이런 반응 나올까봐 첫줄에 부탁 드렸는데,
네이버 뉴스에서 범죄기사 보면 피해자쪽이 이해가 안가는 범죄는 몇개 없어서 질문글 썼던겁니다.
그리고 즐겼을거라고 생각한 적이 없는데 무슨.. 많이 불쾌하네요.. 헐
덴드로븀
18/03/13 21:11
수정 아이콘
주변에 사내 성추행 피해자가 있다보니 괜히 또 울컥했네요. 죄송합니다.
아무튼 이해가능한 범주에서 벌어지지 않는게 권력이나 직장내 성폭력이거든요.
18/03/13 21:1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삭제된 글에 달았던 댓글입니다만

학교에서 집단괴롭힘당하는 아이들은 부모님께 말해서 경찰에 신고하고 전학가면 될 텐데 왜 당하고만 있는 것일까요?
대학교 연구실에서 어떤 교수들에게 착취당하는 대학원생들은 교수의 위법을 신고하면 될 텐데 왜 당하고만 있는 것일까요?
그 엄청난 수의 남자들이 군대에서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았음에도 어째서 곧바로 신고하지 못하고 당하기만 했을까요?

그것이 물리적인 힘에서 비롯된 것이든 사회적 지위에서 비롯된 것이든 간에, 권력적 상하관계라는 것은 생각하시는 것보다 훨씬 무섭습니다.
arq.Gstar
18/03/13 21:18
수정 아이콘
음.. 그럴수도 있었을것 같네요..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까우니... 생각해보면 저도 그랬던것 같네요..

아마 취직하고 나서 2년차 즈음 부터는 회사 내에서 사적으로 부당하게 굴면 그자리에서 그냥 받아버리곤 해서 잘 이해가 안갔었나봅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18/03/13 21:12
수정 아이콘
"사소한 이득을 위해 몸을 내버린거다. 그러므로 피해자는 본인 몸을 소중하게 생각 안한것이다. 그러므로 법은 그녀를 보호해줄 필요가 없다."
이건 좀 옛날식 사고방식이긴 하죠.
arq.Gstar
18/03/13 21:20
수정 아이콘
피해자가 본인 몸보다 직장을 소중하게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은 했습니다.
'피해자가 사회적 위치를 성폭행보다 소중하게 생각을까?' 라는 질문에 제 자신은 쉽게 어떻다라고 생각하지 못했구요. 그래서 질문글을 올린거구요.

그런데 저는 법이 그녀를 보호해줄 필요가 없다고 까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해 안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8/03/13 21: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회사에서 부당한 대우 받았을 때 막바로 신고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metoo가 성희롱/성폭행 위주로 나와서 그렇지 전 내부고발자도 똑같은 상황이라고 봅니다. (마침 위에 김테란 님이 써주셨네요)
삼성 김용철 변호사가 삼성다닐 때 못했던 말을 결국 회사 그만둔 뒤 책 써서 고발했습니다.
김용철변호사도 생활이 어렵고, 얼마 전에 보니 김용철 변호사 자식들도 취업길이 막혔다는 얘기를 본 것 같습니다.
상사가 성폭행하면 앞으로 취업 다 포기하고, 자식들의 취업도 다 포기하고 신고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실명으로 고발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판이 있는데 위의 예보면 그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겁니다.
최근 교수들이 SCI논문에 자기 애들을 저자로 넣는다는 뉴스 보았죠? 실제로 논문을 쓴 대학원생들이 그걸 보고 반박했을가요? 실명으로 고발했을까요?
절대 아닐겁니다. 대학원생은 교수한테 한 번 찍히면 학계에서 매장당합니다. 취업하기도 어려워집니다. (외국으로 가면 모르겠네요)
이런 상황에서 부당함(교수 아이들을 저자로 포함)을 신고/반박하는 건 매우 어렵고, 실명으로 한다는 건 정말 더 어렵습니다.
arq.Gstar
18/03/13 21:23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여러 답변들을 보니까 앞으로의 인생을 걸고 성폭행에 맞서야 하기 때문이 가장 이해가 잘 가는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8/03/13 21:35
수정 아이콘
수직관계라서 몇번이나 당할수밖에 없는게 아니라
수직관계기 때문에 몇번이나 당했다는게 설명이 가능한거라고 봐요

수평적 관계고 후환이 없는 상대라면 불이익을 당하고도 참는 사람이 없겠지만
수직관계에 후환을 두려워해야 할 상대라면 쉽게 결정을 못 하는게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피지알중재위원장
18/03/13 21:37
수정 아이콘
게다가 정치인과 비서 관계라면 단순히 회사의 오너와 직원과도 또 다를겁니다.
연예계에서 미투 운동이 먼저 불거진게 도제식 위계질서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았는데
여기도 마찬가지죠.
정치인 비서관이면 정치인 되는 일반적인 루트 중 하나라서요.
즉 단순히 직장 하나 잃는게 아니라 정치인이라는 꿈을 담보로 걸고 폭로해야 하는 셈이죠.
이사무
18/03/14 00:19
수정 아이콘
그런 논리면요.
학교폭력당하는 애들은 한 번 맞아봤으면 아픈 거 아니까 두 번 째 부턴 맞서 싸워야하는데 왜 계속 맞고 있는 지 한심한 거고
군대에서 선임이 폭행하는데 소원수리 안하고 언론에 안 찌른 건 행동력 없는 거라고 해도 되는 거죠
18/03/14 00:59
수정 아이콘
아직까지 수직적 권력관계에 의한 폭력은 한국사회에서 비일비재합니다.
당장 남성 분들중에 군대에서 자기가 겪은 부당한 일 신고해보신분이 얼마나 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998 [질문] 성인지감수성과 관련한 비교법적인 연구가 있을까요? [2] 노익장6666 21/11/27 6666
159621 [질문] 남녀범죄비율 관련 내용이 궁금합니다. [3] 애플댄스6709 21/11/11 6709
154261 [질문] 8090 시대상을 느껴본 분들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29] In The Long Run8887 21/04/10 8887
151915 [질문] 여자친구가 헤어지면 성폭행으로 고소한다고 합니다.. [21] 삭제됨9149 21/01/10 9149
144943 [질문] N번방 방지법 내 신설 조항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2] Sensatez5526 20/05/14 5526
127508 [질문] 월정액으로 기부할 재단 아시는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6] 파란무테1751 18/11/27 1751
126279 [질문] 이런경우 어떻게 되나요? [3] 첸 스톰스타우트1252 18/10/26 1252
121342 [질문] 젠더권력이라는게 진짜 있을까요? [37] 슈로더4884 18/06/18 4884
121263 [질문] 성범죄 재범률이 왜 이렇게 제각각이죠? [1] 계층방정3225 18/06/15 3225
119624 [질문] 권력이나 위계를통한 심리지배 용어가... [2] 여자친구2148 18/05/06 2148
117271 [질문] 미투 운동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2] Lighthouse3244 18/03/14 3244
117257 [질문] 미투 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7] arq.Gstar2610 18/03/13 2610
115876 [질문] 닥타루크는 케샤 기각이후 액션이없나요? 램지1483 18/02/08 1483
112013 [질문] 성관계시 합의의 기준이 정확하게 어떻게 되나요? [29] Eulbsyar8814 17/11/17 8814
111711 [질문] 도박한 연예인이 욕먹는 이유가 뭔가요?? [23] 참교육4542 17/11/11 4542
111541 [질문] 제2의 성재기가 나온다면?(수정) [47] 레몬커피4160 17/11/08 4160
103159 [질문] 월1만원 정도 후원할 단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파란무테2859 17/05/25 2859
101241 [질문] 동성애에 무지한 사람이 질문 드립니다. [48] 성기사3968 17/04/18 3968
94076 [질문] 여성청소년 수사팀? 성폭력 전담과? [4] Artanis1995 16/12/01 1995
91561 [질문] 드라마 the night of 보고 질문(미국 사법체계) [3] Paul Pogba1726 16/10/16 1726
88799 [질문] 연예계이슈로 정치적뉴스를 덮는다는얘기 사실일까요? [17] 갱생3663 16/08/23 3663
84163 [질문] 신안 여교사 성폭 [23] PotentialVortex5326 16/06/04 5326
76325 [질문] 정말 궁금한데요 술먹고 성폭행한 범죄자 신상공개금지사항이 뭐가있나요? [6] 마늘간장치킨2260 16/01/16 22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