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31 10:38:42
Name AKbizs
Subject [질문] '장애특별시'를 만드는건 득일까요? 실일까요?


('장애특별시'라는 단어는 그냥 편의상 직관적으로 쓴거고, 새로 특별시를 지정하거나, 특정 지자체에서 '이제부터 우리는 장애인 위주의 도시입니다' 할 수도 있다는 가정입니다)








자기 지역에 제발 교도소를 지어달라고 하는 곳이 있다?
https://1boon.kakao.com/klab/cheongsong




청송에서 대표적인 기피시설인 교도소를 더 유치하겠다는 기사를 보고 비슷하게 든 생각인데

만약 장애인. 특히 중증장애인이 살기에 특화된 도시를 만든다면 그건 장애인에게 득일까요? 실일까요?

도시 집중화현상도 결국 효율과 경제적 문제의 결과라고 하는데, 특별한 배려와 시설들이 필요한 중증장애인들을 위해서 한 도시에 해당 자원을 몰빵. 정말 중증장애인들이 살기에 편한도시를 만드는거죠.

대신 다른 도시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자원(지하철 휠체어전용공간이나, 점자보도블럭같은)을 배치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 장애인을 가족으로 둔 가정은 맞벌이가 사실상 불가능해서 외벌이가 일반적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할 수만 있다면 주거공간을 국가에서 무상임대나 저렴하게 임대하는 방법으로 외벌이를 해도 살아가는데 지장이 최대한 없도록(벌이를 담당하는 배우자가 외지에서 주말부부를 하더라도 크게 경제적타격이 없도록해주는거죠) 배려해주는 방법까지 해준다면 좋을거 같은데

이런식으로 비슷한 수준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살면 서로의 사정을 이해하기가 일반인 대비 훨씬 쉽고, 장애인특수 관련산업 경제적효과를 발생시키기에도 유리할거 같은데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단점이 일종의 낙인효과가 발생해서 '장애특별시'에 거주하지 않는 장애인들을 차별적으로 보면서 '장애특별시'로 거주이전을 간접적으로 강요받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이게 가능해진다면 과연 득이 많을까요? 실이 많을까요?

물론 장애인분들이 이런식의 시스템을 긍정적으로 찬성하냐는게 제일 중요하긴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카이
21/03/31 10:47
수정 아이콘
사회적으로 예전 향, 소, 부곡 같이 인식될 가능성이 농후하겠죠
종교 공동체처럼 장애인 공동체가 운영되는 사례도 적지는 않은데
그걸로 도시를 구축하고 시스템화 하는건 국가 운영적으로 대외적인 시선이 엄청 신경 쓰일 듯 하네요
라스보라
21/03/31 10:54
수정 아이콘
일종의 낙인효과 ... 니네는 다 저기가서 살고 밖에 나오지 마라... 왜 다른 지역에 나와서 지랄이냐... 소리 듣겠죠.
21/03/31 10:59
수정 아이콘
최근 장애인 복지 흐름이 탈시설화, 사회속으로 된 이유 중 하나가
장애인에 대한 낙인을 없애기 위한 거를 생각하면 아무래도 힘들죠.

장애인과 그 가족이 영원히 [격리]되어서 살 수는 없어요.
CastorPollux
21/03/31 11:03
수정 아이콘
이게 득이 있을까요?;;;
리얼리스트가
21/03/31 11:04
수정 아이콘
맙소사..고려시대 향,소,부곡의 제도가 부활하는건가요??

뭐 위쪽에 북한만 봐도 아무리 출신성분 좋아도 장애인들은 평양에서 못산다고 책에서 봤던 기억은 있지만요..
추대왕
21/03/31 11:05
수정 아이콘
장애인도 비 장애인과 섞여살면서 전체 사회에서 일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화의 가치가 장애인들의 도시가 만들어지면서 생길 효율성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1/03/31 11:09
수정 아이콘
지금도 사는 곳으로 출신성분 가리는 마당에 대놓고 격리구역을 만들어낸다라...
21/03/31 11:10
수정 아이콘
외국 어떤 치매 시설은 치매노인들이 생활 할 수 있는 일종의 마을을 만든걸 본 기억이 있습니다.
댓글들처럼 효율은 좋을거 같습니다.
다만 그 규모가 시? 단위가 된다면 좋은 이야기가 안나올거 같긴합니다.
족쇄가 될 거 같아요.
21/03/31 11:12
수정 아이콘
세상 아래에 새로운 것들은 별로 없듯, 이미 유사한 사례가 있습니다.
남아공에는 아파르트헤이트가 있었고, 미국에서는 이른바 separate but equal 이라는 판결이 있었습니다. 특히 후자는 본문과 매우 흡사한 개념입니다.
라이언 덕후
21/03/31 11:14
수정 아이콘
그냥 자연적으로 장애인 친화 도시가 되어 주로 거기에 살게 되면 모를까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은 효율이 나올 것 같지가...
21/03/31 11:19
수정 아이콘
실.
은때까치
21/03/31 11:28
수정 아이콘
흥미로운 제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모든것이 이상적으로 돌아간다고 하더라도 그 도시 안에서 장애의 경중으로 또다른 차별이 벌어지지 않을지.... 현실화되기엔 너무 실이 많지 않을까 생각해요.
덴드로븀
21/03/31 11:32
수정 아이콘
PGR 한다는 이유만으로 피지알러들끼리 잘 놀아보라고 피지알러들만 모인 PGR특별시에 몰아넣으면 어떤 느낌일까요?

득될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말이 좋아 장애특별시지 그냥 [수용소] 잖아요?
내맘대로만듦
21/03/31 12:01
수정 아이콘
오....피지알특별시..고급인력들이 넘쳐나겠는데요
덴드로븀
21/03/31 13:31
수정 아이콘
막 서로 똥싸고 단거먹고......?
21/03/31 11:45
수정 아이콘
지자체 단위로 크게 만드는건 실이 크다 봅니다.
깃털달린뱀
21/03/31 12:00
수정 아이콘
소록도가 어떤 취급 받았는지는 아실겁니다.
민주사회에서 어떤 계층을 분리해서 수용하겠다는 발상은 용납될 수 없습니다. 안그래도 미세한 차이 가지고 서로 편갈라서 죽어라 싸우는 게 인간의 본성이니까요.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간극을 줄여서 '다 똑같은 사람이다'라는 인식을 심어도 모자랄 판에 지역적으로 분리까지 하면 장애인은 우리 사회의 일원이 아니라 이질적인 이방인이 되겠죠. 옛날에 외국인 지나가면 단체로 모여서 신기하다고 처음본다고 쳐다보고 쑥덕대던 일이 벌어질 지도 모릅니다.
Judith Hopps
21/03/31 12:22
수정 아이콘
이야 21세기 부라쿠민. 크크크크
아저게안죽네
21/03/31 13:11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BLpFFPWizuY
임대아파트 산다고 차별하는 세상인데 장애특별시 따위를 만들면 결과는 너무 뻔한 거 아닌가요.
장애인을 봉사활동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나 볼 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하게 되면 차별은 말할 것도 없고
잘 되어봐야 선입견을 가지는 정도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21/03/31 13:32
수정 아이콘
그게 순조롭게 이루어질 정도로 우리 사회가 장애와 혐오에 대해 수준 높은 인식을 갖고 있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전세계 어디서나 지난할 것이고 한국 또한 마찬가지일 거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냥 차별과 혐오가 용이해질 뿐이겠지요. 그곳의 공식명칭이 어떠하든 사람들은 "직관적"으로 장애특별시 애자동네 병신마을 같은 식으로 부를 거고요. 입에 착 감긴다느니, 내가 틀린 말 했냐느니, 그냥 싫다느니, 위선 떨지 말라느니 하면서요.
다만 성장동력이 애매한 지방 중대도시가 '장애인' 자체가 아닌 장애인/노인 등 개호관련산업 및 인력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특화함으로써, 그 부수적 결과로 장애인들이 선호하는 도시가 되는 시나리오는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 아오모리에서 그런 느낌을 받은 적 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장애관련 특화도시가 생긴다고 해도 '다른 도시에 장애인을 위한 자원(지하철 휠체어전용공간이나, 점자보도블럭같은)을 배치하지 않는' 것은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 생각합니다. 사회적 효율을 위해 너넨 거기 갇혀서 살라는 식의 발상인 건데, 그건 선택이 아니라 강요고 그게 더 극단화되어 나치가 가스실 보낸 거겠죠.
21/03/31 13: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장애인 차별을 국가적으로 하겠다는 이야기겠죠.
필연적으로 생산보다 소비 비중이 커질텐데 그 지역에만 예산이 다른 곳보다 풍족하게 배정되기도 쉽지 않을테고
장애인 복지가 오히려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해당 지역 출신에 대한 부정적인 낙인효과는 따라오는 덤이겠죠.
21/03/31 14:50
수정 아이콘
제가 어렸을 때 한세병 환자분들 격리한 곳이 있었습니다.
어렸을때 뭣도 모르고 무서워했고
그곳이 무슨 취급 당했는지 생각하면,
만들지 않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The)UnderTaker
21/03/31 15:17
수정 아이콘
애초에 어느지역이든 반대하고 만들거면 서울 한복판에 만드길 바라네요.
21/04/01 04: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약간 아우슈비츠 느낌도 나는데요?? 세금 많이든다고 가스 살포하자는 얘기도 나오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422 [질문] 부산 1박 2일 부모님 모시고 여행. 코스 지적 부탁드립니다 [6] 테크노마트남친7125 21/05/26 7125
155411 [질문] 가족 및 지인이 쓰던 차 살때 필요한것 [7] 아라온9526 21/05/26 9526
155379 [질문] 동업 법률 자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8] 가치파괴자6625 21/05/25 6625
155370 [질문] 실손보험 쉽게 납부하는 방법... [2] 부기영화7840 21/05/24 7840
155358 [질문] (차알못) 차량 구매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라인하르트7659 21/05/24 7659
155026 [질문] 혼자 못 옮기는 가구 어떻게 버리나요? [21] CoMbI COLa9476 21/05/10 9476
154973 [질문] 이런경우 청약 신청시 위장전입으로 되나요? [8] 밥잘먹는남자10604 21/05/09 10604
154883 [질문] 기독교에서 심판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38] 인생은아름다워9087 21/05/04 9087
154832 [질문] 우울증 치료 혹은 약에대해 잘 아시는분 있으실까요? [5] Secundo9365 21/05/03 9365
154638 [질문] 자동차 고민입니다. [15] 해맑은 전사7812 21/04/25 7812
154615 [질문] 계약기간 남은 월세집 이사하기 [4] 오하이오10909 21/04/24 10909
154594 [질문] 치매 질문입니다. [4] 부처6390 21/04/23 6390
154566 [질문] 알뜰폰 요금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요한슨7632 21/04/22 7632
154489 [질문] 생후 50일 새끼 강아지 분양받았는데 밥을 안먹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3] 개념은?7601 21/04/18 7601
154445 [질문] 영유아 기부나 후원 가능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2] Mikopap9581 21/04/16 9581
154425 [질문] 제주도 대체할 만한 육지 여행지 있을까요? [23] 기술적트레이더8904 21/04/16 8904
154391 [질문] 2종 보통 면허 보신분있나요? [9] TranceDJ5300 21/04/14 5300
154287 [질문] 우울증 있는 사람이 가질만한 취미 있을가요? [20] 부질없는닉네임10021 21/04/11 10021
154252 [질문] 여아 돌잔치 선물 추천좀 해주세요. [5] 아오이소라카6193 21/04/10 6193
154237 [질문] 상견례 참석인원 어디까지 참석하셨었나요? [22] 멍멍머멈엉멍14208 21/04/09 14208
154184 [질문] 48cx 구매 고려 중인데 어떻게 사는 게 가장 저렴할까요? [6] 트와이스정연8225 21/04/07 8225
154139 [질문] 박수홍 폭로관련 궁금한점 [9] 알마7155 21/04/05 7155
154031 [질문] 제 택배가 아닌데 자꾸 택배가 도착했다고 문자가 옵니다 [17] 보리밥6995 21/04/01 69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