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4/09 14:24:09
Name 멍멍머멈엉멍
Subject [질문] 상견례 참석인원 어디까지 참석하셨었나요?
상견례 참석인원 어디까지 참석하셨었나요?

18일 일요일에 상견례를 잠실에서 가지려고 합니다.
걱정이 되는게 참석인원인데요.
결혼한 누나가 있는데, 상견례에 형제자매도 포함하나요? 아니면 배우자는 제외하고 혼자서 참석하나요?
만약 포함한다면 아이도 참석하나요?

상견례 기본은 인원수를 맞추는거라고 들었는데요.
저희 가족은 전부 참석하면 6명이되고 여자친구 가족은 3명입니다.

여자친구네 어머니는 돌아가셔서 현재 아버지, 여동생이 있고, 아버지와 갈등때문에 여동생은 따로 자취중입니다. 왕래를 안하는건 아니지만 이번에 되게 오랫만에 만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면 누나네 가족까지 함께하는게 맞을까요?
주변에선 상견례 때 아니면 그 조합으로 볼 일이 어디있냐고 가족들이 다 모이는게 좋지라는 분위기네요. 제가 생각했던것과 반응이 달라서,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lcohol bear
21/04/09 14:27
수정 아이콘
상견례 8인 제한인데 4:4로 바란쓰 맞추시던가 3:3으로 하시던가..
멍멍머멈엉멍
21/04/09 14:41
수정 아이콘
갓난아이는 제한이 없다고하는데 인원이 3:6으로 너무 차이날까봐 걱정이 들더라구요.
21/04/09 14:45
수정 아이콘
영유아동반모임도 8인까지 제한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것 역시 성인이 5명이 넘으면 안되는데.
질문 내용은 상견례로 보아 역시 8인 제한일 듯 합니다.
영유아 포함 8명으로 하셔야 할 듯 합니다.
멍멍머멈엉멍
21/04/09 16:31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알고있었네요. 8인이 맞네요. 감사합니다..!
21/04/09 14:29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양가가 맞추면 문제 없죠
부모 당사자 까지만 필수고 나머진 케바케인거 같습니다
그보다 5인 이상 금지인데 상견례가 가능한가요?
바둑아위험해
21/04/09 14:30
수정 아이콘
상견례는 얼마전 예외사항으로 추가되었습니다.
바둑아위험해
21/04/09 14:29
수정 아이콘
저는 지난주에 동생 상견례를 했는데

저희쪽 어머니/ 저(미혼) / 동생 3명 (아버지가 없음)
상대쪽 어머님/아버님/신부/신부언니/신부의형부 5명 (+1살,2살 애기 2명) 이렇게 만났네요..

개인적으로는 좀 엄숙한 자리에 애기들이 있으니.. 애기 관련해서 소소한 얘기거리도 생기고 나쁘지 않았습니다.

저희도 인원을 좀 맞추기 위해 할머니를 모셔갈까 고민도 했지만 결국 그냥 인원 차이나는대로 먹었습니다.
멍멍머멈엉멍
21/04/09 14:42
수정 아이콘
고민이 되네요. 이렇게 모이는 상황도 많은가보군요~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됐습니다.
바둑아위험해
21/04/09 15:23
수정 아이콘
지금상황을 보니까 저희 집안의 입장이 멍멍머멈엉멍님의 여자친구측과 거의 비슷한 입장인 것 같아서 그 입장에서 한번 말씀드려보자면....

사실 처음엔 신부의 형부까지 나온다고해서... 저희입장에서 쪼~금 부담스러움을 느꼈던건 사실입니다.. 그런데 의외로 그 형부라는분이 엄청 유쾌하시고 본인은 좀 더 가벼운 마음이셔서 그런지 유머러스하게 분위기 잘 풀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막상 갔다오고나니 우리가 인원좀 부족한게 뭐 대수라고 고민했었나 싶네요..!
탄산맨
21/04/09 14:35
수정 아이콘
저희는 가족이 많지는 않아서...
저희집은 부모님 2분 / 저(외동)
처갓집은 부모님 2분 / 신부 / 처남
3:4로 했었습니다
熙煜㷂樂
21/04/09 14:44
수정 아이콘
사는 지역이 달라서 처가쪽에서 부모님&당사자 6명이 상견례했습니다.
같은 식당 다른 룸에서 처남가족 4명이 식사 후에 인사 겸 들렀다가 차는 10명이 함께 마셨는데 어린 아이들(7살, 4살)이 있으니 분위기가 살더군요.
완성형폭풍저그
21/04/09 14:56
수정 아이콘
가장 깔끔한건 결혼당사자 2인, 양쪽 부모님 4인, 총 6인이죠.
사람이 많아질 수록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올라가고, 많이 가도 말하지 않고 듣기만 할꺼라면 애초에 갈 필요도 없으니까요.

하지만 결국 케바케이고 정해진게 없기 때문에 양가 합의만 되면 수와 규모는 정하기 나름입니다.
지성파크
21/04/09 15:42
수정 아이콘
상견례가 5인 집합금지 예외라고 해도 8인까지만 허용이라 잘 조율하셔야 될거 같네요
상견례는 어른만 있어도 8인까지고 영유아가 있어도 영유아 포함 8인까지입니다
그래서 양가 부모님과 본인 및 배우자만 참석하는게 가장 좋을거 같네요
하우두유두
21/04/09 15:55
수정 아이콘
예전 코로나 전에는 양가부모님 그리고 형제자매 까지했습니다.

이제는 코로나 시즌이라 양가부모님 그리고 배우자 본인만 해도될것같아요
멍멍머멈엉멍
21/04/09 16:32
수정 아이콘
그게 좋겠네요. 답변감사합니다...!
21/04/09 16:45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전에 예비신랑신부, 양가 부모님 총 6명만 만났습니다.
이게 젤 깔끔합니다.
백년지기
21/04/09 17:01
수정 아이콘
부모님 포함 형제자매만. 형제자매가 여러명일땐 본인 제외 한명 대표 해서. 4대 4맞추는게 가장 깔끔합니다.
영유아 조카가 있고 맡길 곳이 없다면 어쩔수 없지만 상견례에 애들 오는건 왠만하면 비추드립니다.
21/04/09 17:11
수정 아이콘
양가 참석 인원수 어느정도 맞추는게 국룰같고 저도 처제 상견례에는 안나갈 예정입니다.
싸구려신사
21/04/09 18:41
수정 아이콘
저는 필요한인원은 다 갔었습니다.
저희쪽 7명 와이프쪽 3명 이었는데 뭐 상관없습니다.
플라타너스
21/04/09 18:57
수정 아이콘
4:3, 5:4 각각 참석해봤는데 큰 문제 없었습니다. 어차피 대화는 부모님들끼리 거의 하시고 형제자매들은 쩌리들이라..
멍멍머멈엉멍
21/04/10 22:54
수정 아이콘
모든분들 조언과 답변감사드립니다..!! 양가부모님들만 뵙기로 했습니다~
멍멍머멈엉멍
21/06/08 11:08
수정 아이콘
이후 검색하는 분들을 위해 후기를 남기자면 저희 누나가족 (매형, 누나)이 참석해서 5:3으로 참석했고 아이는 친가에 맡겨두고 왔었어요. 누나한테 신부 동생을 케어를 부탁해서 동생이 민망해하지 않아서 오히려 분위기가 좋았었습니다. 누나 가족이 대화 도움에도 많이 됐구요.

저희는 애초에 결혼날짜나 예물, 예단 같은걸 먼저 이야기하고 식사는 편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사전에 테이블에 이름명패 (a4로 만든것) 를 제가 깔아둬서 혼선없이 입장할 수 있었고, 디저트가 나올때 쯤 선물을 전달해달라고 말씀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422 [질문] 부산 1박 2일 부모님 모시고 여행. 코스 지적 부탁드립니다 [6] 테크노마트남친7125 21/05/26 7125
155411 [질문] 가족 및 지인이 쓰던 차 살때 필요한것 [7] 아라온9526 21/05/26 9526
155379 [질문] 동업 법률 자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8] 가치파괴자6624 21/05/25 6624
155370 [질문] 실손보험 쉽게 납부하는 방법... [2] 부기영화7840 21/05/24 7840
155358 [질문] (차알못) 차량 구매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라인하르트7659 21/05/24 7659
155026 [질문] 혼자 못 옮기는 가구 어떻게 버리나요? [21] CoMbI COLa9476 21/05/10 9476
154973 [질문] 이런경우 청약 신청시 위장전입으로 되나요? [8] 밥잘먹는남자10603 21/05/09 10603
154883 [질문] 기독교에서 심판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38] 인생은아름다워9086 21/05/04 9086
154832 [질문] 우울증 치료 혹은 약에대해 잘 아시는분 있으실까요? [5] Secundo9364 21/05/03 9364
154638 [질문] 자동차 고민입니다. [15] 해맑은 전사7812 21/04/25 7812
154615 [질문] 계약기간 남은 월세집 이사하기 [4] 오하이오10908 21/04/24 10908
154594 [질문] 치매 질문입니다. [4] 부처6390 21/04/23 6390
154566 [질문] 알뜰폰 요금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요한슨7631 21/04/22 7631
154489 [질문] 생후 50일 새끼 강아지 분양받았는데 밥을 안먹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3] 개념은?7601 21/04/18 7601
154445 [질문] 영유아 기부나 후원 가능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2] Mikopap9580 21/04/16 9580
154425 [질문] 제주도 대체할 만한 육지 여행지 있을까요? [23] 기술적트레이더8903 21/04/16 8903
154391 [질문] 2종 보통 면허 보신분있나요? [9] TranceDJ5300 21/04/14 5300
154287 [질문] 우울증 있는 사람이 가질만한 취미 있을가요? [20] 부질없는닉네임10020 21/04/11 10020
154252 [질문] 여아 돌잔치 선물 추천좀 해주세요. [5] 아오이소라카6192 21/04/10 6192
154237 [질문] 상견례 참석인원 어디까지 참석하셨었나요? [22] 멍멍머멈엉멍14208 21/04/09 14208
154184 [질문] 48cx 구매 고려 중인데 어떻게 사는 게 가장 저렴할까요? [6] 트와이스정연8225 21/04/07 8225
154139 [질문] 박수홍 폭로관련 궁금한점 [9] 알마7155 21/04/05 7155
154031 [질문] 제 택배가 아닌데 자꾸 택배가 도착했다고 문자가 옵니다 [17] 보리밥6995 21/04/01 69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