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0/26 16:56:29
Name 이쥴레이
Subject [질문] 백신 부작용 사망자가 코로나 사망자 보다 더 많다면서.. 백신 거부 하는 경우..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9205

주장의 실체는 위에 링크한 곳이고,, 뉴스라고 하네요.
제 입장에서는 링크 뉴스와 댓글 보면 그냥 한숨만 나옵니다.

가족중 한분이 백신을 걱정하는 주장으로 위 링크랑 하루에 수십명이 백신부작용으로 죽어가고 있는데
정부에서 백신팔이를 하기 위해 은폐하고 있다.

[미디어선동]에 넘어가서 무조건 백신 맞게 하는게 문제다. 라고 하는데..
딱 이분 빼놓고 가족은 전부 백신 맞으셨습니다.

설득하고 질병청이나 여왕의 심복님 자료나 기타 세부적인 자료 정리해서 이야기 하고 보여줘도..
뭔가 정치 논리랑 결합되니 제대로 설득이 안되네요.  이제는 제가 저런 확인되지 않는 내용들이
카톡 짜리시 식으로 전파되고 그런걸 교차검증이나 팩트없이 무조건 믿는 행위에 대해서 뭔가 분노가
차곡차곡 적립되고 있습니다.

백신을 맞는 자유는 존중할수 있지만 그래도 어떻게 맞는것이 더 이득이다라고 판단이 되어
설득하고 싶은데, 혹시 가족중에 백신에 대한 신뢰도가 없기에 주저하는분이 있을 경우 설득을 어떻게 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1/10/26 17:40
수정 아이콘
못합니다. 끝.
베요네타
21/10/26 17:48
수정 아이콘
되게 애매한게,
지금은 백신 부작용이 우려되는 질병이나 기저질환이 무엇인지 에대한 정의조차 없는 것 같더라구요
예를 들어 두드러기성 혈관염 환자가 백신을 맞아도 되는지를 병원에 내원해서 물어보면
담당 의사 답변은 "모르겠다, 아직 연구된 자료가 없다. 본인 판단이다" 입니다..
그러다 보니, 전문가도 정리를 못하는걸 일반인이 정리할 수가 없어요..
21/10/26 18:10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973900
선동이 아니라 그냥 실제 통계 및 상황이 이렇습니다.
백신 부작용이 아닐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연구가 되어 있지 않아서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는 사례들이 실제로 너무 많습니다.

주변에 크게 문제된 사례를 접하면 진짜 겁나는게 사실입니다. 제 주위에도 지인 중 한분이 혈전으로 응급실가서 스텐트 네방박고 죽을 고비를 넘겼습니다.
21/10/27 01:42
수정 아이콘
'백신 부작용이 아닐 가능성이 거의 없는' 사례는 뭐가 있을까요?
반대로 백신이 아니더라도 해당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서 인과 입증이 어려운 것 아닐까요?
21/10/27 02:00
수정 아이콘
접종 이전에 없던, 그리고 접종 직후 갑자기 생길만한 이유가 없는 증상들이 다수 발생했을 때, 그 증상들이 왜 발생하는지 아직은 모른다고 해서 그것이 단순히 선후관계에 불과하다고 하기는 어려운게 아주 당연한것 같습니다.

인과입증이 어려운 것, 즉 아직은 모르는 것은 위의 베요네타님 말씀처럼 이제 막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근데 그걸가지고 그저 발생 시점이 접종 이후에 불과한 것이라고 하는건 이상하죠.
21/10/27 02:14
수정 아이콘
바꿔말하면 그만큼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인과 입증이 어려운 거죠.
본문에서 얘기하는 수준으로 부작용이 발생하면 당연히 케이스가 쌓여서 부작용이 인정되겠죠.
그리고 진짜로 '생길 이유가 백신밖에 없으면' AZ 혈전증처럼 부작용으로 쉽게 인정됐을 겁니다.

http://naver.me/xIhIw8cD
백신 부작용에 관한 최신 연구 기사입니다.
21/10/27 10:52
수정 아이콘
올해까지는 인과성이 없더라도 치료비 지원을 해주긴 했습니다.
그런데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내년 예산은 다 삭감했다고 하네요.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3977082

코로나 걸리면 치료비 대부분 지원, 코로나 백신 접종후 부작용이 의심되어도 치료비 지원 절차 복잡함.
저도 이 것때문에 접종할지 말지 고민하긴 했었습니다.
21/10/27 02: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백신 부작용으로 추정되는 어떤 증상이 질병 등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백신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판정을 받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요건이 필요합니다. 기저질환 없음, 접종 후 짧은 시간 내에 발생, 백신 외 다른 원인이 전혀 발견되지 않을 것 등입니다.
여기에서 판정이라는 것은 백신 때문이라는 판정이 아니라 백신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판정일 뿐인데, 그마저도 위의 요건을 충족하는 과정에서 실제 부작용 중 극히 일부만이 그 대상이 되기 쉽습니다.
게다가 현실에서는 위의 요건을 갖춤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여건상 그것이 누락되는 경우가 많을 수 있고, 상당수의 경우는 아무런 조치없이 그저 증상이 사라지기만 기다리며 일상생활을 지속합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21/10/26 18: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장 pgr에도 합리의 탈을 쓰고 우기는 분들이 많죠.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vaccines/safety/adverse-events.html
미국 자료인데 이마저도 못 믿으시면 방법이 없습니다.
21/10/26 18:51
수정 아이콘
백여만명이 매일 접종했는데 정말 그런 식이면 의료마비 왔겠죠.
척척석사
21/10/26 18:53
수정 아이콘
물먹은 다음 사망이 훨씬 많을걸요? 인과랑 선후도 구분 못 하면서 합리적 통계 어쩌고 하며 본인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답 없어요 설득 안 되니 그러려니 하세요. 기독교인한테 무신론 전파하는 거랑 똑같습니다.
21/10/26 19:01
수정 아이콘
결국 개인의 선택입니다
국가입장에서는 다수가 백신맞는게 우월한 전략인거고
혹시모를 부작용을 생각하면 사회와 최대한 격리하면서 살아가는 방법도 있고
저도 아마 인과가 인정안될 부작용이 생긴것 같은데 그렇다고 백신맞은걸 후회하진 않습니다
The)UnderTaker
21/10/26 20:28
수정 아이콘
본인 인생이나 생계에 영향을 줄수있는사람이 설득하는거 아닌이상 답없습니다
퀴즈노스
21/10/26 22:35
수정 아이콘
인과관계와 선후관계를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을 설득 할 방법이 없습니다.

수없이 많은 '불과 며칠전까지만 해도 건강하던' 사람들이 병에 걸리고 죽는지 알려고 하지 않거든요.

방법 없어요 이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9920 [질문] 착신전환 보이스 피싱 사례가 궁금합니다. 쥐세페 조씨6752 21/11/23 6752
159840 [질문] 따뜻하고 편안한 드라마 추천해주세요 [7] 아웃라이어8869 21/11/20 8869
159721 [질문] 수능 수험생 가족중에 밀접접촉자 있을 때 [3] 상어이빨7297 21/11/15 7297
159684 [질문] 알뜰폰 요금제 질문입니다. [14] 진산월(陳山月)9685 21/11/14 9685
159678 [질문] 윈도우 깔린 SSD를 새로운 SSD에 통째로 복사 가능한가요? [2] 엔쏘7070 21/11/13 7070
159668 [질문] 장례일 기준 문의 드립니다 [6] 힙합아부지7794 21/11/13 7794
159660 [질문] 디즈니 플러스 가족 계정 질문 있습니다 [3] 바카스7868 21/11/12 7868
159444 [질문] 대구, 경산쪽 부모님 모시고 식사하기 좋은 식당 [8] 봄잭8398 21/11/02 8398
159356 [질문] 기본적인 간단한 맞춤법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9] 애플댄스7588 21/10/30 7588
159267 [질문] 백신 부작용 사망자가 코로나 사망자 보다 더 많다면서.. 백신 거부 하는 경우.. [14] 이쥴레이11928 21/10/26 11928
159115 [질문] 냉장고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3] 그때가언제라도7367 21/10/21 7367
159074 [질문] 미국 여행지(라스베가스, 괌)에 계시는 분들, 요즘 동양인 여행객에 대한 느낌이 어느정도인지 여쭤봅니다. [5] 깐쇼새우7414 21/10/19 7414
158985 [질문] 액션캠(?)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헛스윙어6549 21/10/15 6549
158968 [질문] 병원 진료기록 복사 어떻게 하면 될까요? [7] 엄마 사랑해요9693 21/10/14 9693
158949 [질문] 드라마에서 나오는 이 행동... 실제 우리 사회에서도 이러나요?? 아님 과장된건가요?? [4] 잘가라장동건9182 21/10/13 9182
158890 [질문] 차를 기둥에 문질렀다는데 자가수리(?) 가능한가요? [19] 신촌로빈훗6858 21/10/12 6858
158887 [삭제예정] 층간소음관리위원회 참석을 요청 받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 Dr.박부장8645 21/10/11 8645
158860 [질문] 이야기를 솔직히 털어놓을 곳이 있을까요? [12] 4월8055 21/10/10 8055
158757 [질문] 김치냉장고 손잡이에서 전류가 흐릅니다. [13] 링크9412 21/10/07 9412
158572 [질문] 실비 및 종합 보험 가입관련 질문입니다. [9] The Normal One11411 21/09/29 11411
158506 [질문] [강스포] 오징어게임 질문 [21] 비밀친구9164 21/09/27 9164
158404 [질문] 명절에 가까운 가족이 민사소송 5000만원 등기를 받았다는데요 [16] 마오카이9131 21/09/23 9131
158311 [질문] 영화고수님들, 영화 하나만 찾아주십쇼. [4] 로랑보두앵7388 21/09/18 73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