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02/22 14:10:53
Name 달빛사냥꾼
Subject [질문] 산후조리원에서 산모와 아기가 코로나 확진됐습니다.
유령회원이 pgr의 도움을 구합니다.

부산의 모 산후조리원에서 산모와 아기가 생활하던 중에 1차로 아기가 코로나 확진, 2차로 산모도 확진됐습니다. 지난주에 일어난 일입니다. 저는 산모와 아기의 남편이자 아빠입니다.
현재 산모와 아기는 해당 조리원을 나와서 지정 병원에서 격리되어 치료받고 있습니다.

이 조리원과 보상 관련 이야기중이며, 보상보다 먼저 코로나 발병 후 조리원측의 행동이 저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조치 및 대책에 대해 물었으나 의료사고가 아니며 자기들이 최선을 다해서 방역했다는 점만 강조하네요. 그래서 저는 조리원의 관리 부분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습니다.
아울러 저는 조리원 자체적으로 원내 코로나 발생 사실을 홈페이지나 주변에 알려서 제 가족이 겪는 고통과 불편을 다른 이들이 겪지 않게 예방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두들 처음 겪는 코로나 사태에 우왕좌왕하고 있습니다. 저도 제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전에는 마스크 잘 쓰고 손 잘 씻고 사람 안 만나고 백신 잘 맞고..이러면서 그냥저냥 지냈지요. 그러나 막상 제게 사고가 닥치니 참으로 원통하고 원통합니다.
조리원에 들어가는 것. 이러한 좋지않은 일들을 경험하지 않기위해 들어가는 것 아닌가요?

1. 유사건에 대하여 자문을 구합니다.
2. 어찌됐든 저는 조리원의 책임을 묻고자 합니다. 이에 자문을 구합니다.

모바일 작성이라 두서없는 점 양해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2/02/22 14:31
수정 아이콘
정부 지침대로 방역, 격리 등 조치했으면 책임을 묻기 힘들 겁니다. 각종 요양시설은 그 특상상 어쩔 수 없이 감염에 노출될 수 밖에 없고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일입니다. 더 빡빡하게 방역하는 종합병원들도 요즘 허구헌날 뚫리는데 조리원이 별 수 있나요.

감염이 걱정이 되시고 그게 최우선순위라면 요양시설을 이용하시면 안되고 집에서 입주 산후조리사를 고용하셔야...
달빛사냥꾼
22/02/22 20:39
수정 아이콘
답변 및 걱정에 대하여 감사합니다.
이하 남겨주신 댓글에 공통되는 저의 답변이라 이 글 다음부터는 댓글 감사만 드릴게요.
피지알에 글을 별로 쓴 적이 없어서 이렇게 하는 방식이 좀 이상하지만 뭐, 이렇게 글을 남기겠습니다.

해당 조리원에서 방역지침을 잘 지켰는지 아닌지를 제가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 이로써 조리원측에 따질 수 없다는게 문제지요.
만약 조리원에서 방역지침을 어긴 것을 제가 알 수 있었다면 이곳에 질문을 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조리원과 상대하면 됐을 겁니다..
다만, 제 입장에서는 여러분들이 말씀하신대로 편하고자 들어간 조리원에서
-사실 본 조리원뿐만 아니라 다른 조리원에서 상담받을 때도 코로나 방역 점검, 위생관리에 철저하여 그런 점에서는 걱정하지 말라고 했습니다만-
아기와 산모가 코로나 걸려서 조리원에서 지정병원으로 앰뷸런스를 타고 이동을 했고
아기는 다행히 크게 열은 안 났지만 산모가 많이 아파서 자기 몸 간수하기도 힘든 상황에도 아기를 돌봐야해서 잠도 못자고 밥도 못먹고 그래서 더 아프고..아픈데도 혼자 도시락 먹고 아기 챙기고 아기가 울면 어찌할줄 몰라서 또 힘들어하고 이러했다는 것이 저는 굉장히 화가 나는 겁니다.

어쨌든 여러 댓글들을 보니 마음이 가라앉는 것도 사실이네요.
다들 건강 조심하시고, 코로나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몽키매직
22/02/22 21:03
수정 아이콘
제 댓글 다시보니 어린 아이가 아파서 염려가 많으실텐데 헤아리지 못하고 드라이하게 말씀드린 것 같네요. 아이들은 훨씬 가볍게 앓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으니 큰 일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출산 축하드리고 완쾌해서 빨리 가족이 함께하기를 기원합니다.
달빛사냥꾼
22/02/23 09:41
수정 아이콘
얼른 함께해야지요. 감사합니다.
나이스후니
22/02/22 14:38
수정 아이콘
방역지침, 입실전 온도체크등을 잘했다면 책임에 대해 물을 수가 있을까요? 100% 완벽한 방역을 하려면, 출산후 산모,아기모두 단한명도 만나지 않은채 2주격리, 산후조리원직원들 2주 격리후 근무, 면회일체금지등을 해야 될까말까인데요.
조리원에 들어가는건 산모와아이가 편하게 쉬기 위한거지, 코로나를 피하기 위함이라면 집에 와서 타인과의 접촉을 끊는게 최선이죠.
달빛사냥꾼
22/02/22 20:4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리얼월드
22/02/22 14:46
수정 아이콘
정부지침의 방역 과정을 그대로 수행했다면 책임을 묻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일단 어디서 왔는지 알 방법도 없고...
출퇴근하는 직원이 그 과정에서 감염이 되었는데 무증상이라면 무슨 방법으로 예방을 하나요? ...
조리원에 들어가는 것. 이러한 좋지않은 일들을 경험하지 않기위해 들어가는 것 아닌가요? --> 엄밀히 말하면 조리원 들어가는건 산모가 편하려고 들어가는거죠...

빠른 회복 기원합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0
수정 아이콘
답변 및 기원 감사합니다.
슈퍼너구리
22/02/22 14:47
수정 아이콘
안타까운 이야기긴한데
조리원비 일정부분 환불 정도 빼고는 딱히 보상이 어려울듯 싶습니다.
코로나가 워낙 퍼져있어서 다들 어디서 걸린지도 모르는 상황이거든요..
달빛사냥꾼
22/02/22 20:4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2/02/22 14: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조리원의 중대한 과실, 예를 들어 정부 방역지침을 어겨 코로나 확진자를 조리원 내에 출입하게 만들었다든지, 산모와 아이가 코로나에 감염된 경로가 조리원에게 명백한 과실이 있는 사유라든지 등의 책임이 없다면 조리원에게 논리적으로 책임을 묻긴 어려울 겁니다.
그런데 요새 코로나 확진자 동선 조사도 간략하게 하는 판국에 산모와 아기가 어떻게 누구의 책임으로 감염되었는지 따지기는 거의 불가능하겠죠

만약 제가 달빛사냥꾼님의 입장이면 저도 화가 나고 조리원에 책임을 따져묻겠지만 거기에 어떤 법적 근거나 논리는...
달빛사냥꾼
22/02/22 20:4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목캔디
22/02/22 14:50
수정 아이콘
아이구 마음 아프시겠네요. 아이와 산모가 안아프게 잘 완쾌되시길 빕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1
수정 아이콘
기원 감사합니다.
이안페이지
22/02/22 14:59
수정 아이콘
확진자가 10만 씩이나 나오는 시국이라 조리원을 탓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런 시국엔 다 제껴두고 사람없는 곳으로 피신하는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와 산모 모두 건강하게 쾌유하시길 빕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답변 및 기원 감사합니다.
상한우유
22/02/22 15:01
수정 아이콘
전세계적으로 불가항력적인 전염병 시국입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티모대위
22/02/22 15:05
수정 아이콘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지금 감염경로도 추적이 안 되는 판이라, 조리원측의 방역지침 위반 사항이 없다면 책임을 묻기 어려워 보입니다..
두 분이 무탈하기를 기원합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1
수정 아이콘
답변 및 기원 감사합니다.
League of Legend
22/02/22 15:18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건강하게 돌아오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혹시라도 입원기간에 다툼으로 인해 제대로 된 서비스를 못받게 되는 불상사도 없었으면 합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2
수정 아이콘
기원 감사합니다.
22/02/22 15:31
수정 아이콘
방법이있나요...ㅠㅠㅠ 퇴실할때 차액환불이 전부일껍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2/02/22 15:41
수정 아이콘
지하철에서 감염된 사람이 지하철 공사에 책임을 묻기 어려운 것과 비슷할 듯..
조리원 자체가 컨트롤은 하지만 여러 사람이 쓰는 곳이라서..
달빛사냥꾼
22/02/22 20:4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냉이만세
22/02/22 15:47
수정 아이콘
다른건 다 떠나서 얼마나 가슴이 아플지 참...아이와 산모 모두 큰 문제없이 얼른 훌훌 털고 건강해지기를 바랍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2
수정 아이콘
기원 감사합니다.
둠피잡는바스
22/02/22 17:03
수정 아이콘
방역지침을 명백히 어긴 사항이 없다면 어떠한 책임도 묻기 어렵다고 봅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2/02/22 17:13
수정 아이콘
하루 10만명씩 나오는데. 노골적으로 방역지침 어긴게 없다면 책임 없다고 봅니다.

이게 몇년전처럼 하루에 10명, 30명 나오던 때가 아니에요...


확진자가 하루 10만명이라는건, '검사를 안받아서 걸린줄 모르는 사람' 까지 하면 엄청나다는건데..
단순 계산으로도 일주일에 70만명 이상입니다.... 이정도 페이스에서 수칙을 크게 어긴게 없다면 과실을 묻는다는건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보상 수준에 대해서 상식적인건 코로나로 인해 이용못한 기간에 대한 환불을 받는 정도가 맞는거 아닌가 싶네요.
달빛사냥꾼
22/02/22 20:4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신류진
22/02/22 17:31
수정 아이콘
하.. 저도 올해 7월 예정인데 남일같지 않아서 불안해죽겠네요...
달빛사냥꾼
22/02/22 20:44
수정 아이콘
순산 기원하며 정말 조심하세요. 7월에는 마스크 안 쓰는 세상이 되기를..
신류진
22/02/22 20:46
수정 아이콘
아이는 괜찮은가요??? 어후... ㅠㅠㅠ
달빛사냥꾼
22/02/23 09:40
수정 아이콘
다행스럽게도 아이는 잘 먹고 잘 싸고 있다고합니다.
22/02/22 20:11
수정 아이콘
그냥 요즘 감기는 전부다 오미크론이고 전염력이 엄청납니다. 저도 속상한건 이해가갑니다만 책임을 묻기는 힘들겁니다.
달빛사냥꾼
22/02/22 20:4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도시의미학
22/02/23 01:34
수정 아이콘
다른 것보다 아기와 산모가 무탈하길 바랍니다. 산모님이 아마 멘탈이 많이 무너지실수도 있는데 꼭 잘 다독여 주시길 바래요.
달빛사냥꾼
22/02/23 09:39
수정 아이콘
예, 아내에게 더 잘해야지요. 너무 고생하고 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2134 [질문] 코로나 자가격리 문의(엄마,아빠 양성 / 아이 음성 ) [5] sangbung25206 22/03/05 5206
162091 [질문] 와인 입문을 위한 좋은 콘텐츠가 있을까요? [9] 세연4071 22/03/03 4071
162063 [질문] 가족이 코로나 걸리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 55만루홈런4425 22/03/02 4425
162046 [질문] 코로나 겪으신 분들 증상관련 질문있습니다. [8] 세인트4037 22/03/01 4037
161946 [질문] 온 가족 확진 시 집안에서 마스크 착용해야하나요? [8] 김치와라면10499 22/02/23 10499
161910 [질문] 산후조리원에서 산모와 아기가 코로나 확진됐습니다. [40] 달빛사냥꾼6356 22/02/22 6356
161903 [질문] 아이들이 코로나 확진입니다. [10] 엄마 사랑해요4546 22/02/22 4546
161866 [질문] 초기사업자에게 팁을 좀 주실 수 있을까요? [4] 고요5046 22/02/20 5046
161835 [삭제예정] 코로나 자가격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2] 멋진신세계5845 22/02/18 5845
161791 [질문] 다른 나라에선 젓가락질 못하면 어떤가요? [6] liten3993 22/02/16 3993
161788 [삭제예정] 가족끼리 같이 살 때 세대분리 가능한가요? [8] 삭제됨5162 22/02/16 5162
161722 [질문] 알뜰 요금제 보통 얼마짜리쓰시나요? [22] 본좌5173 22/02/12 5173
161676 [질문] 생일만 되면 갑자기 우울해집니다 [12] 제니5960 22/02/10 5960
161673 [질문] 격리자 격려 아이디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8] 투토끼헌터4564 22/02/10 4564
161608 [질문] 확진자 및 가족 격리는 어디서 하나요? [7] teragram5155 22/02/08 5155
161366 [질문] 오늘 개정된 밀접접촉자의 수동감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 심해8304 22/01/26 8304
161279 [질문] 스마트 폴더폰은 선택지가 아예 없나요? [7] 바람의바람5595 22/01/23 5595
161250 [질문] 결혼해라, 애 낳아라 해주세요 [19] 노익장7364 22/01/21 7364
161124 [질문] 부산 여행시 어디어디 가는게 좋을까욧 [15] 4707 22/01/15 4707
161120 [질문] 부동산 매매잔금시 가족계좌로 이체해도 되나요? [8] 별빛다넬5392 22/01/15 5392
161039 [질문] 백신패스 문의드려요! [2] 일정4408 22/01/11 4408
161032 [질문] 제주 가족여행(세 가족) 숙소 문의드립니다. [3] 光海5484 22/01/11 5484
161016 [삭제예정] 가사 도우미 써보신분들께 질문 [6] Gwangya5794 22/01/10 57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