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2/12/27 14:17:22
Name 모나크모나크
Subject [질문] 의료 민영화가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건가요??
의대 증원 글에 달린 의료민영화 댓글을 보고 갑자기 궁금해졌네요.

제 생각이 맞는지 체크해주시고 첨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간편하게 생각나는대로 적는거라 말이 좀 짧아지기도 하겠네요.

의료 수요자 입장에서는..
1. 고소득층에서는 별 차이가 없음. 이미 건강보험료를 많이 부담하고 있어서 그 돈으로 사보험(지금의 치과보험같은?)에 가입하면 됨. 돈이 진짜 많으면 보험가입 안하고 쌩돈 내고 치료받으면 될 것 같기도 함.
2. 보험료 부담이 커져 보험이 없는 저소득층은 병원 문턱이 높아짐. 특히 큰병 걸리거나 교통사고나면 치료 불가능함.
3. 고용자 의료보험 가입여부가 복지에 큰 영향... 작은 회사 운영하는 분들은 부담이 더 커짐?


의료 공급자 입장에서는...
4. 의료수가를 병원이 결정할 수 있음. 아니면 사보험사와 협의해서 결정되는 것일까요? 사소한 치료도 쓰는 재료 등등에 따라 의료비가 병원마다 달라짐.
5. 동네병원 운영이 힘들어짐?? 간단한 치료 환자가 많이 줄어들게 되지만 매출이 유지될 정도의 가격 상승은 기대가 힘들지 않을까요. 의료접근 편의 감소가 기대.
6. 대신 큰병원의 중증치료쪽은 비용을 올릴 수 있으니 운영이 수월해짐. 환자만 원하면(보험이 허락하면?) 좋은 재료 사용 가능.
7. 중규모 이상의 영리병원들이 생겨 5의 의사쌤들이 이쪽 봉직의로 취직?
8. 사보험 운영자 및 영리병원들은 돈을 벌어야되므로 전체적인 의료비가 지금보다 인상.

이렇게 되려나요??


이렇게 봐서는 고소득층나 보험이 있는 사람들은 좋은 의료를 받을 수 있어 오히려 좋아지는 것 같고.. 저소득층 입장에서는 그래도 지금 의사 수가 많이 늘어나야 감기치료 등등의 간단한 치료비가 좀 싸질 수 있는 것 아닐까 싶은데... 틀린 부분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27 14:20
수정 아이콘
'의료민영화'의 정의가 선행되어야 논의가 가능합니다
모나크모나크
22/12/27 14:21
수정 아이콘
건강보험 고갈에 따른 보험 민영화 말고 또 다른 민영화가 있나요?
리얼월드
22/12/27 14:54
수정 아이콘
심지어 의료민영화는 주장하는 사람들마다 단어만 같을뿐 내용을 들여다보면 다 다르죠
"국민건강보험" 을 없애고 사보험으로 전부 돌릴것인지
"의료수가" 를 국가주도가 아닌 개인의 선택으로 돌릴것인지
일단 크게 둘로 나누면 이렇게 되겠죠
모나크모나크
22/12/27 15: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의료수가만 병원이 마음대로 정하는 민영화도 있군요. 그럼 이 경우는 건강보험이 살아있다는건데.. 중증치료만 그렇게 하면 되지 않나요?? 의사쌤들이 말하는 수가도 수요에 맞춰서 정상화될텐데... 사실 건강보험의미가 좀 퇴색되는 느낌이 들긴하네요. 정작 중증질병을 나몰라라하는거니..
22/12/27 15:15
수정 아이콘
보통 흔하게 이야기 하기로는 미국이야기 하지 않나요.
의원도 잘되는데는 잘되고 안되는곳은 안되고...
국민들은 돈없으면 치료받기 힘들고... 부자면 사보험 쓸테고...
모나크모나크
22/12/27 15:33
수정 아이콘
병원에 치료 가격이 다 다르다는게 사실 상상이 잘 안가서;;; 거기는 다래끼 치료가 얼만가요? 이런게요. 정말 그렇게 되나 싶어서요.
리얼월드
22/12/27 16:04
수정 아이콘
다르게 생각하면 세계최고의 명의에게 치료받는 비용이랑
경력 1일차 첫 진료인 의사분에게 치료받는 비용이랑 똑같다는 거니
이것또한 보는 관점에 따라 문제가 있다고 느낄수는 있지요...
22/12/27 18:17
수정 아이콘
교수출신과 일반적인 전문의가 같은 가격받는게 더 이상하다 생각됩니다.
일반적인 기업도 연차에따라 연봉이 다르잖아요
22/12/27 22:17
수정 아이콘
와이프가 다래끼가 있어서 병원갔는데 치료 안 해줍니다. 미국에서 의사들은 인간의 자유 치유능력을 가장 우선시 합니다. 그리고 보험은 좋은거라 진찰료로 20불 냈습니다.
몽키매직
22/12/27 15:43
수정 아이콘
보통 사기업에서 타겟 계층 공략을 하듯이 병원들도 타겟 계층 정해서 장사하겠죠.
부자들 상대하는 병원은 퀄리티 상승
서민들 상대하는 병원은 퀄리티 하락
전체적인 평균 가격은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급여가 급여화 되거나 급여가 비급여화 되거나 어느 경우든 거의 항상 비급여일 때 비용이 더 비싸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은 그걸 원하는 것 같아요.
건보료 억제를 몸비틀기하면서 해도 부족한 마당에, 건보료 부담 올리는 정책들을 다방면으로 외치고 있어서...
22/12/27 15:47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이야기하는게 좀 다르긴 한데, 어쨌든 당연지정제 폐지가 핵심입니다
건보가 강제되지 않으면 사보험이나 다른 공적 보험이 건보와 경쟁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사보험에서는 수가를 다르게 매길 수 있습니다. 이른바 '시장 경쟁'이 가능해져서 수가가 현실화될 수도 있지만 물론 후려칠 수도 있습니다.
22/12/27 15:48
수정 아이콘
어.. 의료민영화라는 개념 자체가 포괄하는 영역이 너무 커서 정의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심지어 영리병원과 의료민영화도 완전히 같은 말은 아니라서요.. 그래도 러프하게 이야기하자면 수요자 입장에선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게 정보 비대칭 문제가 있음에도 국가에서 비용 통제를 하기 때문에 수요자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건데 수가 임의 지정이 가능해졌을 때 수요자가 비용 적정성을 평가하기 어려워지거든요.
22/12/27 16:03
수정 아이콘
고소득층도 별로 좋을거 없습니다.
가격이 비싸다고 좋은 의료행위가 나오는건 아니거든요.
마샬스피커
22/12/27 16:43
수정 아이콘
그렇죠. 가격은 경제학적으로 신호 보내기일 뿐, 퀄리티를 직접적으로 담보하는게 아니니까요.
22/12/27 17:06
수정 아이콘
보통 민영화를 하게 되면

장점은 '의료기술 발달 (기술의 발달과 평균 퀄리티의 발전은 별개) / 바이탈등, 비인기과에 인력부족 해소' 2가지를 말하고

단점은 그 외 모든것.. 이라고 하면 보통 맞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2/12/28 22: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위에 적어주신 다래끼 케이스를 보니 좀 무섭네요. 보험이 있어도 아무치료도 안 했는데 20불이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485 [질문] 바흐는 전공자들에게도 인기가 없나요? [51] 모나크모나크6559 23/09/06 6559
172243 [질문] 조기석(승) vs 이영호(패) 테테전 무슨 경기였는지 궁금하네요. [4] 모나크모나크5374 23/08/22 5374
171928 [질문] SRPG (턴제RPG)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잘생김용현6285 23/08/02 6285
171809 [질문] 디아블로4 릴리트 잡은 이후로 특별한 재미난 요소가 있을까요? [29] 모나크모나크6817 23/07/26 6817
171415 [질문] 부러진 철제다리 어떻게 수리할 수 있을까요?? [17] 모나크모나크5967 23/07/01 5967
171325 [질문] 모카포트 추출 실패입니다. 콸콸 넘쳐서 한강 에스프레소.. [22] 모나크모나크7105 23/06/26 7105
171279 [질문] 모카포트 어떤 걸 사야 될까요?? [20] 모나크모나크7599 23/06/22 7599
171203 [질문] 스파6 잡기 대응 등등 기초 질문입니다. [9] 모나크모나크6110 23/06/18 6110
170982 [질문] 공중파 나오는(비슷하게라도) OTT 하나만 고르라면 뭘 해야 될까요? [20] 모나크모나크7005 23/06/04 7005
170577 [질문] 디아블로4 되는 컴퓨터 한대 맞출까 싶습니다.. ㅠ.ㅠ 돈 들 일이 또 있네요. [29] 모나크모나크9091 23/05/11 9091
170085 [질문] 리디페이퍼4 원래 이렇게 느린건가요? + 화면 깨짐현상 [28] 모나크모나크7083 23/04/13 7083
169996 [질문] 노트북 이륙허가 + 간단한 질문 [4] 모나크모나크6957 23/04/08 6957
169942 [질문] 슬더스 이게 정상인가요(5판하면 1판 깸) [57] 모나크모나크9707 23/04/05 9707
169728 [질문] 노트북(예산 130 정도) 저렴하게 구매하는 시기가 있을까요?(+제품추천) [16] 모나크모나크9170 23/03/23 9170
169602 [질문] 볼륨키가 없는 키보드에 볼륨 조절 단축기를 할당하는 법이 있을까요? [10] 모나크모나크6416 23/03/17 6416
169443 [질문] S23 사은품인 워치5 30% 쿠폰 사용하는 방법이 뭘까요.. [13] 모나크모나크7290 23/03/08 7290
169075 [질문] 농구 GOAT 커리어에서 MVP가 유난히 중요한 이유가 있을까요? [18] 모나크모나크6167 23/02/17 6167
168773 [질문] 예시 중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PSN 무료게임들) [27] 모나크모나크7488 23/02/02 7488
168617 [질문] 바빴던 명절 하루. 집에 오는 길에 차에서 깊게 잠든 아기들. 아침까지 푹 자는 경우의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17] 모나크모나크7501 23/01/25 7501
168256 [질문] 연말 정산 질문입니다 - 자녀 교육비 [16] 모나크모나크7224 23/01/05 7224
168235 [질문] 건담 데스티니에 나오는 아카츠키 건담 스펙은 어느 정도인가요? [8] 모나크모나크6721 23/01/04 6721
168069 [질문] 의료 민영화가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건가요?? [16] 모나크모나크8053 22/12/27 8053
167396 [질문] 듣기 좋은 라디오 채널 있을까요? 접근이 쉬우면 좋으니 유튜브면 더 좋습나다 [5] 모나크모나크6005 22/11/21 60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