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5/21 14:23:28
Name 푸끆이
Subject [질문] 일상생활에 도움되는 기초학문 뭐가있을까요? (수정됨)
작년에 이직을 처음 했는데, 이번달에 종합소득세 처음 신고하면서 모르는게 너무 많더라구요.

어차피 평생 세금낼일 많을텐데 기본적인 세금에 관해서 공부해보자! 해서 1주일정도 공부했는데 너무 만족스러워서 혹시 더 있을까해서 여쭤봅니다.

전제는, 대학교 1학년1학기 전공생들이 듣는 개론학정도의 공부량입니다. 어느 학문이든 너무 깊숙히 들어가면 끝이 없으니까요

일단 1순위는 무조건 경제라고 보고.. 그외에 뭐가 있을까요?

제가 생각한걸로는

1. 부동산
2. 통계학
3. 해부학
4. 생리학
5. 건축학
6. 내연기관
7. 컴퓨터공학(코딩)
8. 행정학
9. 도시공학

혹시 더 있을까요?
굳이 일상생활에 도움 안되도되고, 지적허영심만 충족시켜줘도 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_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5/21 14:28
수정 아이콘
일상생활에는 도움이 안 되지만 근대철학이 최근에 가장 만족스러웠습니다.
해맑은 전사
23/05/22 10:27
수정 아이콘
저도 철학 추천.. 혹은 인문학 혹은 심리학.
어차피 우리는 사람으로 만들어진 관계속에 살아간다.
어센틱
23/05/24 18:01
수정 아이콘
책 추천가능하신가욥 1권으로 시작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
23/05/24 19:10
수정 아이콘
아예 처음이시면 서가명강 시리즈 중에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박찬국 추천합니다.

같은 시리즈에 왜 칸트인가 - 김상환 도 좋은데
칸트는 용어 자체가 특이해서 첨에 좀 버벅일 수도 있어요

둘다 도서관에 있을테니 대여해보세요
Valorant
23/05/21 14:34
수정 아이콘
행정학은 별로일 것 같습니다. 허허.
23/05/21 14:40
수정 아이콘
경제 금융 제외하고라면

역사나 기초과학이 아닐까 합니다
사람되고싶다
23/05/21 15:07
수정 아이콘
공법 아닐까요 이건. 행정학은 현실에서 정말 쓸모가 없습니다...
Meridian
23/05/21 15:14
수정 아이콘
해부학은 너무너무 재미없는 학문이라 비추드립니다... 걍 암기만 하면 되는거라 크크
푸끆이
23/05/21 15:19
수정 아이콘
전공책이 아니라, 만화책처럼 중고등학생들 보라고 나온 해부학책은 개인적으로 재밌게 읽었습니다 크크 암기,시험공부가 목적이 아니니..
Meridian
23/05/21 15:20
수정 아이콘
하긴 해부학의 진정한 공포는 떙시죠 크크크크
23/05/21 15:21
수정 아이콘
수학 통계학 코딩이요
23/05/21 15:23
수정 아이콘
수학이죠
미적분학까지만 해도 꽤 유용함
푸끆이
23/05/21 15:25
수정 아이콘
제가 수학과학과 전혀 관련없는 계열에 있는데, 혹시 어떻게 유용하게 작용할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23/05/21 15:49
수정 아이콘
법학이죠
푸끆이
23/05/21 15:50
수정 아이콘
법은 너무 광범위해서 뺐습니다
법쪽에서도 세분화한다면 어떤 법이 도움이 될까요?
23/05/21 15: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반적으로는 생활법률이나 사례집 같은게 아닐까요? 세금에 대해 공부하셨다는 것도 결국 세법을 공부하신거잖아요?
뭐 예를들어 만약 부동산쪽을 알아보고 싶다하시면 부동산법을 공부하셔야 하는거고... 공공기관과 많이 일하신다면 행정법이 유용할테구요.
키스 리차드
23/05/23 10:44
수정 아이콘
굳이 고르자면 민법, 그 중에서도 계약법 파트를 추천합니다.
일상생활에 은근히 도움이 됩니다.
부동산 관련해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연계하면 더 좋습니다.
페로몬아돌
23/05/21 15:49
수정 아이콘
코딩은 전공자로써 비추 드립니다 크크크 가성비가 좋은 학문은 아닌 듯
안할란다
23/05/21 16:57
수정 아이콘
민법
23/05/21 17:01
수정 아이콘
경제보다 1순위는 영양학이죠
Riffrain
23/05/21 17:03
수정 아이콘
컴퓨터공학은 괜찮은데 코딩은 비추입니다.
에이치블루
23/05/21 17:12
수정 아이콘
행정학은 행정부서에 있으면 도움이 되는데 일상생활에는 도움이 안 됩니다
장헌이도
23/05/21 21:45
수정 아이콘
답은 아니지만.. 적어 주신 것 중에 '정의상' 기초학문은 없습니다..보통 '기초학문'이라 함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일컫습니다..
몬테레이
23/05/22 09:43
수정 아이콘
예시된 학문은 모두 응용과학입니다. 추천드리자면 화학을 추천합니다. 화학은 물질의 원자와 분자 수준에서 구조와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죠. 기초 원소는 공부하셔야 하겠지요. 화학을 알면 우리 생활의 모든 제품 재료의 물질 특성을 아시게 되고, 제품의 생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0788 [질문] 디아블로4 관련질문입니다.(호환관련) [7] 골든해피8328 23/05/24 8328
170783 [질문] (컴알못주의) 본체 얼마 정도 받을 수 있을까요 [4] 정유미6412 23/05/23 6412
170771 [질문] 모니터 2대를 연결하면 윈도우 화면이 안 나오네요. 뭐가 문제죠? [2] will7468 23/05/23 7468
170770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2600 사용중) [6] 류크6542 23/05/23 6542
170767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 드립니다! [8] 달달한고양이7512 23/05/22 7512
170738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4] VTI6486 23/05/21 6486
170731 [질문] 일상생활에 도움되는 기초학문 뭐가있을까요? [24] 푸끆이7535 23/05/21 7535
170718 [질문] MSI 오늘 경기 오프라인에사 볼 곳이 있을까요? [7] 이수민6505 23/05/20 6505
170663 [질문] 홈 네트워크 구성에 조언을 구하려고 합니다. [9] 클란심8057 23/05/17 8057
170636 [질문] 컴퓨터 견적 봐주실 수 있을까요? [7] Asterios5755 23/05/15 5755
170581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3] 저스틴벌렌더6598 23/05/11 6598
170577 [질문] 디아블로4 되는 컴퓨터 한대 맞출까 싶습니다.. ㅠ.ㅠ 돈 들 일이 또 있네요. [29] 모나크모나크9384 23/05/11 9384
170572 [질문] PC 견적 요청 드립니다 [15] 크로플8885 23/05/10 8885
170568 [질문] 빅스 완본체 구매 고민... [2] 뻐꾸기둘6316 23/05/10 6316
170533 [질문] 데탑곤볼 램, 파워, 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사람되고싶다6204 23/05/09 6204
170528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문의합니다 [6] 데몬헌터6609 23/05/09 6609
170520 [질문] 빅스 PC 완본체 구입해도 되나요? [8] 슈퍼디럭스피자7261 23/05/08 7261
170518 [질문] 120만원 이하 컴퓨터 견적 부탁드립니다. [9] originalcola9230 23/05/08 9230
170498 [질문] 컴퓨터 본체 견적 문의드립니다...(디아4 QHD 풀옵) [20] 깐부치킨8321 23/05/07 8321
170484 [질문] sata ssd(c드라이브)를 nvme ssd로 마이그레이션 해봤는데 nvme ssd로 부팅이 안됩니다. [2] 그때가언제라도6852 23/05/06 6852
170469 [질문] ssd sata에 윈도우 있는데 m2로 옮겨야할까요? [4] 그때가언제라도6859 23/05/05 6859
170466 [질문]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4] 아리에타7696 23/05/05 7696
170438 [질문] 컴퓨터 본체 사양 문의드립니다. [11] 기세파7667 23/05/03 76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