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7/18 22:43:08
Name 라니안
Subject [질문] 소득대비 월세 지출 비중이 어느 정도가 적정할까요?(자가X)
안녕하세요!

저 포함 4인 가족 꾸리고 살아가는 40대 청년? 입니다.
지금 아파트에 반전세 형태로 거주하고 있는데요,

만기가 도래하는 시점이 되어서.. 심각하게 고민을 좀 하고 있습니다.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 여러분들께 조언을 좀 구하고자 글을 남기며..
혹시나 답변 달아주시면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 현상황 >
- 맞벌이 / 자녀 2명 (초2/유딩)
- 지금은 25평 형 아파트에 4년째 거주 중 (연장청구권 신청)
- 월세 수준은 급등했다가 다시 폭락하여 현재 부담하고 있는 월세랑 시세가 비슷합니다.(25평)
- 아파트 매수시기 등 부동산 시장에 대한 본인 판단 : 한 2년 정도는 햐향 안정화 예상하고 있습니다.
물론 매수할 자금도 부족하지만 당분간 매수할 예정없음.

>> 지금 동일한 아파트내 35평 형으로 가고 싶습니다. 그런데 만약 지금 옮기면 대략 월 부담액이 150% 증가하네요.
그래서 가도 될지가 지금 심각하게 고민인데요..
대략 소득대비 지출 비중을 따져보면 현재 월세는 소득대비 20% 정도, 35평가면 소득대비 30%정도 됩니다.

그.. 자가 아니신 분들은 보통 소득대비 어느정도 부담하시나요?
30% 임차료 내는 것이 과한것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절대 금액이 중요할까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츠야
23/07/18 23:00
수정 아이콘
아이 크는 것 생각하면 고려하실 만 한데요.
역으로 10% 정도 증가하는 것만큼 다른 곳에서 줄일 만한 것이 뭐가 있나 부인분과 체크해보세요.
생각보다 줄일 수 있는 여지가 크면 10% 증가를 5% 증가로 줄이기만 해도 도움이 되니깐요.
라니안
23/07/18 23:37
수정 아이콘
매우 도움되는 말씀입니다.
줄이는 부분 생각하면 좀더 의사결정이 쉽겠네요!!
감사합니다
싸구려신사
23/07/18 23:32
수정 아이콘
절대금액을 알면좋겠지만 제기준 30퍼까지는 충분히 가능할것같네요. 지금 원리금 합계+저축 하면 30퍼는 훌쩍넘으니깐요.
라니안
23/07/18 23:40
수정 아이콘
넵 감사합니다
만약 매수자금이라면 더 되어도 되긴 할거같은데..
절대금액은 대략 변경 후 기준 500 중반대 될것같네요!
꿀깅이
23/07/19 10:53
수정 아이콘
선생님 그럼 세후소득이 1400이신건데 충분해 보입니다;;
라니안
23/07/19 12:08
수정 아이콘
좀더 되긴하는데 소득이 약간 불안정성이 있어서 힘드네요..!
23/07/19 11:26
수정 아이콘
무조건 가능합니다 크크크 세후소득이 덜덜...
라니안
23/07/19 12:09
수정 아이콘
불안정성이 있어서 고민입니다!!
이디야 콜드브루
23/07/19 01:45
수정 아이콘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93
예전에 궁금해서 찾아본적이 있는데 전국 평균은 16정도에 수도권은 20 정도이고, 30이면 많이 과한편입니다.
라니안
23/07/19 06:57
수정 아이콘
음 그렇군요
고민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무냐고
23/07/19 11:26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해당 지표는 (중위임대료/중위가구소득) * 100%인데, 임대료에 잡히는 주택들에 원 투룸 빌라 및 오피스텔이 많을 것을 감안하였을 땐
지표보단 좀 더 써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라니안
23/07/19 12:07
수정 아이콘
아 그런부분이 있겠군요!! 감사합니다!
해피팡팡
23/07/19 10:16
수정 아이콘
거주비가 자가소유로 인한 발생비용이라면 30%까지, 단순임차비용이라면 20%까진 감내 할것 같습니다. 근데 아이들이 아직 어리시기 때문에 나중 생각하시면 좀 더 보수적으로 잡으셔도 될 것 같네요.
라니안
23/07/19 12:07
수정 아이콘
넵 의견 감사합니다. 애들이 크면서 제 소득도 더 늘어야할텐데... 어렵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2344 [질문] 추석연휴에 영국여행을 갑니다. [4] 가이브러시5931 23/08/29 5931
172269 [질문] 중고 SUV 고민입니다(토레스? QM6? 서퍼티지?) [18] 사이시옷6511 23/08/24 6511
172193 [질문] 삿포로 징기스칸집 추천가능할까요 [8] 진공묘유5972 23/08/19 5972
172165 [질문] 제가 원하는 조건에 핸드폰을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9] 불독맨션5146 23/08/17 5146
172071 [질문] 코어장전 선수가 졸린 눈인지 궁금합니다. [18] 인생은아름다워6743 23/08/11 6743
171909 [질문] 11월 오사카 비행기 예매는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요? [4] 사다드4643 23/08/01 4643
171904 [질문] 스마트폰 변경 잘 하는법 [3] 최적화5332 23/08/01 5332
171854 [질문] 전동 킥보드 사고 [1] 엘리엇5423 23/07/29 5423
171846 [질문] 모기의 계절이 왔습니다. 홈메트 추천좀 부탁드려요 [10] SaNa5021 23/07/28 5021
171790 [질문] 컴퓨터, 전자기기 장비 구입 질문(컴맹) [7] 고드방4841 23/07/25 4841
171703 [질문] 아파트 전세 연장 질문드립니다!(조금 상황이 복잡...) [11] 총알인생6621 23/07/19 6621
171697 [질문] 소득대비 월세 지출 비중이 어느 정도가 적정할까요?(자가X) [14] 라니안6479 23/07/18 6479
171653 [질문] 교통사고 민사소송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요? [5] 유니꽃6322 23/07/16 6322
171606 [질문] 남매가 서로 친한게 가능한가요? [46] 황제의마린7492 23/07/12 7492
171605 [질문] 초등아이 둘과 부산여행 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수리부엉이6057 23/07/12 6057
171537 [질문] 부여 가족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9] 유니꽃5054 23/07/09 5054
171533 [질문] 여수 2박3일 여행 질문해요. [8] 보아남편5996 23/07/09 5996
171532 [삭제예정] 가족끼리 서울 결혼식 갈 때 자차 vs 전세버스? [21] will5976 23/07/09 5976
171525 [질문] 서울과 가까운 해수욕장 [4] 나나나5217 23/07/08 5217
171472 [삭제예정] 인생 노잼시기 or 우울 및 울적 시기 극복 관련 [16] 루체른6906 23/07/05 6906
171456 [질문] 국내에서 중국술 사기 좋은곳이 어디일까요? [14] Sebastian Vettel6880 23/07/04 6880
171439 [질문] 울릉도 여행 맛집 혹은 가볼곳 추천 부탁 드립니다. [2] 태바리5131 23/07/03 5131
171361 [질문] 가족들 보험문의 [1] 빠르6026 23/06/27 60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