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8/23 08:02:51
Name 언니네 이발관
Subject [질문] 영업장에서 가정용 술
식당이나 주류 판매업장에서 가정용을 판매하면 안되잖아요?
근데 만약에 소비자가 외부에서 본인 돈으로 술을 구입하고 업소에 가지고 와서 술을 먹는건 위법일까요?
제 3자가 봤을때 가정용 술이 있으면 저게 업소에서 판매하고 있구나 오해할수도 있을거같아 피곤한 상황이 발생할수도 있을거같은데..
업소에서는 가정용술을 어떠한 경우에도 비치하고 있어도 안된다 뭐 그런게 있는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3/08/23 08: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외부 술을 가져다 먹으면 매장 술 매출이 줄어드니 콜키지를 받았고, 그거 안받는 곳이 콜키지 프리라고 붙인 곳이죠.

그리고 일반적으로 같은 물품(콜라처럼)이면 매장 공급용 제품이 가격이 더 싸서 반대로 일반 판매를 금지하기 위해 라벨에 업소용이라고 적어두죠. 업소용이 아닌 술을 매장에서 판다고 딱히 문제가 되진 않을 겁니다. 바 같은 데 가면 술만 해도 수십 수백가지가 있는데, 그게 다 업소용이라고 구분해서 나오는건 아닐 테니..
츠라빈스카야
23/08/23 08:20
수정 아이콘
https://www.dogdrip.net/379088317

찾아보니 이런 포스팅이 있긴 하네요.

---
만약 어떤 술집에 갔는데 업소용 주류대신 일반 대형매장용을 내놓는다, 혹은 어떤 슈퍼에 갔는데 가정용 대신 업소용 주류를 판다.... 원칙적으로는 아무 상관은 없는데, 보통 저런 식으로 정식 유통대상이 아닌 주류를 취급한다는 건, 어디선가 꼼수를 부리는 유통경로를 이용했다는 거고, 그런 경우 대개 탈세가 의심되기 때문이다.
물론, 나 음식점하는데, 이마트에서 파는 맥주가 싸서 현금주고 사왔어요.... 라고 할 때 세금계산서 등의 증빙서류가 모두 있다면 문제없을 수도 있지만, 도대체 몇 병을 얼마를 주고 사와서 얼마나 팔았는지 장난질치기 쉽기 때문에 인증된 정식 유통경로를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건 이마트 같은 대형매장이나 가정용을 취급하는 동네 슈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그 자체로 탈세의 증거는 아니지만, 충분히 탈세를 의심할 수 있다는 것.
---
23/08/23 11:51
수정 아이콘
법적으로 식당 등의 업소에서는 업소용 주류만 취급하도록 되어있는 걸로 압니다. 위반하면 과태료 부과될 거여요
http://kalia.or.kr/bbs/board.php?tbl=bbs18&mode=VIEW&num=816&category=&findType=&findWord=%EA%B0%80%EC%A0%95%EC%9A%A9&sort1=&sort2=&it_id=&shop_flag=&mobile_flag=ok&page=2
Cazellnu
23/08/23 09:35
수정 아이콘
별개의 이야기죠
가정용판매 술을 영업장에서 파는거랑
개인이 들고와서 먹는건 콜키지라 하는 일종의 서비스고

보통의 콜키지서비스의 의미는 손님이 마시고 싶어하지만 술의 종류가 오조오억만가지므로 영업장에서 팔지 않는 술을 가져와서 먹는다라는 의미에서
출발한거라
언니네 이발관
23/08/23 10:09
수정 아이콘
콜키지라는 서비스가 있군요. 지방 소도시에 살다 보니 그런게 있는지도 몰랐네요;;
술이라 칭했지만 소주입니다. 보통 식당이나 업소에 소주가 없는건 극히 드무니까 이게 양해를 구하지 않고 가정용을 가지고와서 먹는다면
법으로 문제가 되는지. 그냥 매너 혹은 진상의 범위인지 궁금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조메론
23/08/23 12:08
수정 아이콘
몰래 술 가져와서 마셨을 때 위법이냐?라는 질문인가요?
본문 내용만으로는 질문의 핵심 파악이 잘 안되네요

카페에 외부음식 가져와서 먹는 거랑 같은 개념 아닐까요
그냥 진상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183 [질문] 삼국지 읽어보고싶은데 전략 삼국지 괜찮나요? [17] 라리7044 23/10/22 7044
173138 [질문] HDD 중고판매하려는데 데이터 완전삭제 방법이 있을까요? [2] 보리밥5866 23/10/19 5866
173017 [질문] 아이패드 셀룰러 애캐플 후 판매중인데 대리점 가서 해지해야 하나요? [5] 궤변5380 23/10/10 5380
173002 [질문] 젠지 월즈 유니폼 구매 질문입니다. [2] 은빛사막5499 23/10/10 5499
172977 [질문] 가메만넨 같은 브랜드 안경은 어디서 사야하는 건가요? [4] 더존비즈온5879 23/10/09 5879
172805 [질문] 한국의 해외 진출 역량은 어느 정도일까요? [11] 사람되고싶다6221 23/09/25 6221
172773 [질문] 갤럭시 z플립 5g 수리 및 처분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림하하랑5328 23/09/23 5328
172767 [질문] [TV선택] 사진 중에 좀 골라주십시요 [5] Emas Parker5287 23/09/23 5287
172609 [질문] 카드기 결제 질문 [6] 교자만두4888 23/09/14 4888
172486 [질문] 그랜저가 소나타 판매량 넘은건 어느 시리즈 부터일까요? [15] Rays6089 23/09/06 6089
172288 [질문] 우리사주 문의 [13] 슬래셔6153 23/08/25 6153
172284 [질문] 중고 컴퓨터 판매 적정 가격 문의드립니다. [8] 용열이5669 23/08/25 5669
172256 [질문] 중고차 팔고 새차 구매시 보험 처리방법 궁금합니다. [5] 오렌지망고5468 23/08/23 5468
172249 [질문] 영업장에서 가정용 술 [6] 언니네 이발관5937 23/08/23 5937
172162 [질문] 민팃 거래 철회 및 반품 요청하자 동일 기종 타 제품으로 보낸다는게 말이 되나요? [2] 스파게티6095 23/08/17 6095
172161 [질문] 중고차 판매할때 수리해서 파는게 이득일까요? [5] 연필깍이5118 23/08/17 5118
172116 [질문] 미국에서 아이폰 구매시 한국 내 이용 관련 [3] 6158 23/08/15 6158
172013 [질문] 젤님버스25 운동화 인터넷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12] 개떵이다6779 23/08/07 6779
171850 [질문] 에어컨 반품 관련 질문입니다. [15] SG워너비6208 23/07/28 6208
171689 [질문] 미개봉 중고 폰을 사면 자급제처럼 쓸수있는건가요? [5] 아롱띠5216 23/07/18 5216
171551 [질문] 헝그리앱 게임 계정 거래시 주의사항 문의드립니다 [6] 595005248 23/07/10 5248
171534 [질문] 한국 기준 게임 goat 는 뭘까요? [34] 마르키아르7528 23/07/09 7528
171509 [질문] 노트북에 장착된 그래픽카드 시리즈는 자동차로 비유하면 어떤게 맞나요?? [4] 잘가라장동건6894 23/07/07 68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