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1/09 13:01:28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한국의 전세제도는 다른 선진국에서 왜 하지 않나요?
찾아보니까 한국의 전세제도가 미국에도 유럽에도 중국에도 일본에도 없는 한국만의 부동산 제도라고 하는데

전세제도가 장점도 크다던데 미국이나 일본에서 한국의 전세제도를 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저나라 사람들의 한국의 전세제도에 대한 반응도 덧붙여주시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1/09 13:09
수정 아이콘
꺼라위키 참조한 외국인의 한국의 전세제도에 대한 반응 이라고 합니다.
(집주인 입장에선) "왜 남의 집에 얹혀 살다가 나가는데 돈을 다시 내주죠?"
(세입자 입장에선)"수 천에서 수 억이라는 큰 돈을 뭘 믿고 개인에게 맡길 수 있나요?"
덴드로븀
24/01/09 13:09
수정 아이콘
사람되고싶다
24/01/09 13:14
수정 아이콘
전세는 꾸준히 집값이 상승함 + 금융 미발달, 혹은 규제로 유지되는 제도입니다.
집주인 입장에서 집값 안오르면 전세를 줄 이유가 없어요. 책임(세금, 관리, 가격 변동성) 등 리스크는 다 지는데 얻는 이득이래봐야 월세보다 한참 낮은 수준의 전세금 이자 수준밖에 안되는 거니까요. 단지 집값이 오를 거 같으니까 대출 + 전세금 + 자기돈 풀로 땡겨서 집 사는 거죠.

다른 나라같으면 살기만 할 거면 월세 주면 되고, 안정적이면 그냥 대출 땡겨서 집 사면 되지 제도적으로 사금융인 전세를 만들 이유가 없습니다. 관리 안 돼서 리스크만 생기지...
24/01/09 13:23
수정 아이콘
일부 산업에 의존하여 급격하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생긴
부작용적 제도 입니다. 왜 다른 선진국에서 하지 않냐 보다는
왜 한국은 이런 이상한 제도가 유지되는가 라고 생각하는게 맞습니다.
24/01/09 13:34
수정 아이콘
전세가 최근에 왜 급격히 문제되었나요? -> 집값이 내려가서

그전엔 왜 문제가 안되었나요 -> 집값이 올라가서


전세는 근원적으로 집값이 안올라가면 단점이 엄청나게 많아지는 제도고
심지어 전세제도 자체가 집값을 올리는데 기여하는 제도라서..... 자리잡은게 문제라는 관점이 더 맞습니다..
24/01/09 17:00
수정 아이콘
심지어 전세대출은 진짜... 폰지사기에 가깝죠.
미메시스
24/01/09 13:35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전세제도는 집값이 계속 상승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가능한거라 ..
(집값 상승이 없다면 집주인도 전세를 줄 이유가 없긴 합니다)
과거 고속성장을 한 한국의 특이 케이스라 할수있죠.

반대로 외국은 집을 방마다 쪼개서 룸쉐어하는 케이스가 흔하지만
한국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죠.

그냥 임차인은 주거비용을 최대한 낮추길 원하고
임대인은 그에 맞추는 과정에서 나라 별 상황에 따라 여러 형태가 나타나는거라 보시면 될듯
일각여삼추
24/01/09 14:10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는 우리나라처럼 집 담보로 대출 받는데 과도한 제한(LTV 제한, 한 채만 대출 가능 등)이 없어 제도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Far Niente
24/01/09 17:04
수정 아이콘
유지비율 밑으로 집값 떨어지면 즉시 반대매매 덜덜
일각여삼추
24/01/09 18:37
수정 아이콘
그건 전세든 월세든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에서 월세상한제를 도입해 임대료 인상을 막아버리고 월세 < 유지비용이 되니 주인들은 그냥 집을 포기해버렸습니다.
Far Niente
24/01/09 19:18
수정 아이콘
전세냐 월세냐의 문제가 아니라 LTV를 포함한 상환능력 심사의 필요성을 얘기한 겁니다
일각여삼추
24/01/09 19:26
수정 아이콘
상환능력 심사는 DSR 하나로 충분합니다. 미국도 LTV는 95%도 나옵니다.
Far Niente
24/01/09 19:28
수정 아이콘
연착륙만 있지 폭락은 없을거라는 생각이시라면야 뭐..
일각여삼추
24/01/09 19:29
수정 아이콘
미국뿐 아니라 선진국 중 한국처럼 LTV 50% 이하로 제한하는 나라가 없습니다.
Far Niente
24/01/09 19:34
수정 아이콘
40%까지는 오바더라도 경제규모 대비 가계대출, 그리고 주담대가 거기서 차지하는 비율 생각하면
한국의 부동산 시장이 집약적이고 특수해서 타 국가보다 대출규제는 더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일각여삼추
24/01/09 19: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건 정부의 의도를 너무 선해해준거고요, 가계부채 비율 훨씬 낮던 2000년대 초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냥 집권기에는 안 오르면 좋겠다는 유아적인 정책 집행이 이 지경까지 오도록 만든거죠.

그리고 우리나라는 대출규제가 전세계에서 제일 심한 나라라 일반적인 주택담보대출은 특히 우량차주로 구성되어 있고 디폴트 위험이 낮습니다. 오히려 신생아특례니 신혼부부 특례니 이런 특례대출이 조건을 완화해줘서 더 위험하죠.
Far Niente
24/01/09 19:52
수정 아이콘
딱히 특정 정부의 의도를 평가할 생각은 없고, 대출규제에 대한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겁니다. 제한이 느슨하면 조이자고 할 거구요
그럼 대출제한 완화가 가져다주는 장점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일각여삼추
24/01/09 19: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책신뢰성이죠. 지금은 정부에 따라 엿가락처럼 대출을 해줬다가 안 해줬다가 하니까 대출 나오면 무조건 받아두자는 풍조가 심한데 예상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정책을 운영하면 이연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지금보다 오히려 가격 등락폭이 줄어들 것으로 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1/09 20:45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조여있건 풀어주건 신뢰도는 둘 중 하나만 가기만 하면 성립하니까 굳이 풀어야한다면 다른 이유여야할거같은데...
Far Niente
24/01/09 19:5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안정적으로 규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봅니다.
인구도 점차 줄어서 핵심지역 말고는 죄다 담보가치가 하락할 게 자명한 상황에서 완화해봐야 연쇄 헬게이트 열릴 것 같은데
일각여삼추
24/01/09 20:02
수정 아이콘
안정적으로 규제를 유지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건 지난 20년으로 증명되었고요. 어떻게 한다손 치더라도 결국 모든 사람이 낡은 집에 살도록 강요하는 꼴밖에 안 됩니다. 그 미래를 엿보고 싶다면 자가보유율 90%가 넘는 루마니아를 케이스 스터디 하면 됩니다.
Far Niente
24/01/09 20: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규제 유지로 인한 거래절벽보다는 인구감소로 인한 수요자 실종이 루마니아로 가는 더 빠른 길일 것 같긴 하네요
인구감소라는 확정적 미래에 대비해서 버블 크기를 관리해나가는 게 완화로 버블을 키우는 것보단 더 나은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자가보유율이 높아져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수요를 정책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오만함과도 거리가 먼 사람입니다
루마니아 얘기 하시는 건 다른 방향으로 가신 것 같네요
24/01/09 18:26
수정 아이콘
전세가 있어서 과도한 제한이 생겼다고 봐야죠?
일각여삼추
24/01/09 18:33
수정 아이콘
전세가 있으면 주택담보대출을 못 받으니 그건 전혀 아닙니다.
24/01/09 21:39
수정 아이콘
하도 정부가 당연한 듯이 과도한 규제를 해대니까 사람들이 그게 일반적인줄 아는군요.
24/01/09 14:16
수정 아이콘
본질은 임대인과 임차인 간 사금융인데 이게 제도화된 게 특이사례죠
몽키매직
24/01/09 14:50
수정 아이콘
집값 요소 제외하면 전세제도가 있는 나라가 없는 나라에 비해서 월세도 더 싸기 때문에 집주인이 손해입니다.
(전세제도 있는 우리나라는 전세를 금리로 전환한 월세금, 없는 나라는 집값 총액을 금리로 전환한 월세금. 쉽게 말해 전세가율 만큼 주택임대료가 낮습니다)
전세제도가 유지되려면 집값 상승이 전제가 되어야되는 거죠.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세제도를 밀어내기 위해서는 집값 안정화, 주택담보대출 조건을 dsr dti 제외하고는 모두 완화해야 됩니다.
24/01/09 14:50
수정 아이콘
집주인: 남의돈 빌려 갭투자 오르면 개꿀따리 폭락하면 같이 죽자
세입자: 월세보다 싼 전세대출이자 내면서 남의집 공짜로 삼

전세제도의 핵심은 저금리 전세대출이라고 봅니다.
은행돈으로 집주인이랑 세입자가 잔치벌이는거죠.

일단 수백만 전세입자 가구들이 집값 하방을 탄탄하게 받쳐주고 있으니
집값이 잘 잡히지도 않고 어쩌다 폭락장오면 깡통전세 쓸어담아서 돈벌죠.
이민들레
24/01/09 14:55
수정 아이콘
집을 담보물로 한 사적금융인데. 부동산이 우상향한다는 믿음이 없으면 쉽지 않죠. 특히 집이 감가상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나라에선 더욱더
NoGainNoPain
24/01/09 15:1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만 집값이 상승한 것도 아니고 해외의 대도시들은 거의 대부분 집값이 우상향했죠.
그래서 단순 집값 상승만이 전세제도의 원인이라고 볼수가 없구요.
전세재도가 들어온 주요 원인은 70~80년대의 고금리로 인해서 집주인과 세입자의 이해관계가 일치했기 때문이라고 보는게 맞을 겁니다.

https://m.ppomppu.co.kr/new/bbs_view.php?id=freeboard&no=7180635
70~80년대 금리 보면 20%가 수두룩합니다.
그러면 집주인들이 집을 매수할때 은행에서 대출받을 엄두를 낼 수가 없죠.
당연 목돈을 다른 곳에서 융통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이때 전세금이 좋은 역할을 했을 겁니다.
하아아아암
24/01/10 02:03
수정 아이콘
고금리는 집주인의 입장이지 세입자의 입장은 아닌거 같습니다.
세입자는 전세 들어가면 고금리 예금의 기회비용을 포기하고 들어가는 거니까요.

고금리로만 설명하긴 어려운거 같고,
1. 당시의 월세 또한 전세 이상으로 높았으며
2. 대출은 금리를 불문하고 어려웠거나 대출금리 - 예금금리의 차이가 매우 컸다
고 보면 대략 설명이 될 거 같습니다. 둘 다 참인지는 검증 못해봤네요.
MurghMakhani
24/01/09 15:28
수정 아이콘
전세는 한국같이 미친듯이 성장한 나라의 특수성 때문에 생긴 거라 외국에서 따라할 수도 없고 반대로 외국에서 전세가 없다고 당장 전세를 없애기도 매우 어려운 이유 역시 거기에 있습니다. 전세가 있다가 없어진 나라 역시 없을 거거든요
24/01/09 16:40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에서는 왜 한국식 나이세기를 하지 않는가' 같은 느낌이군요. 굳이 도입할 이유가 없는 기형적 시스템이죠.
반응은 간단합니다. 그런 게 있다는 거 자체를 아예 모릅니다…
부르즈할리파
24/01/09 18:10
수정 아이콘
내가 돈 빌려주고 집 들어가 살고, 거기에 대해 차용증 받으면 그게 전세제도죠. 사금융...

그런데 여기에 국가가 보증하는 전세대출과 보증보험이 얹어지면...
interconnect
24/01/09 18:26
수정 아이콘
급격한 인구 증가 및 도시화로 인구 집중으로 인한 수요 창출.
경제 발전으로 인해 오랜 시간 고금리 유지.
오랜 군부 독재 정권동안 금융 산업의 정권 종속화로 인한 사금융 발전.
24/01/09 19:19
수정 아이콘
진짜 외국인들한테 설명하기 어렵긴 하죠
24/01/09 19:23
수정 아이콘
그냥 생기기도 엄청 어렵고, 만일 생기면 없애기도 무척이나 어려운 제도죠.
24/01/10 00:49
수정 아이콘
일단 개인한테 그만한돈을 맡긴다고? 의 두려움 때문에라도 전세제도의 순기능 역기능을 떠나서 아무나라에서나 정착하긴 어려운 제도죠. 우리나라도 요즘 갭투자때문에 그 피해가 나오고 있고요.
하아아아암
24/01/10 02:07
수정 아이콘
일단 전 전세가 "처음" 생긴 원인은 집을 짓거나 사는데 있어 공적 금융의 도움을 받기 어려웠던 시기가 있었어서 사금융(전세)이 활성화되었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Bellingham
24/01/10 23:00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대로 집값이 우상향한다는 가정 하에 합리적일 수 있는 제도인데, 인구 감소기에도 이전만큼 성행할지는 의문이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383 [질문] 한국의 전세제도는 다른 선진국에서 왜 하지 않나요? [40] 보리야밥먹자8528 24/01/09 8528
174382 [질문] 파이썬 패키지 구동을 위한 그래픽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해바라기6007 24/01/09 6007
174381 [질문] 첫 만남에 외모가 끌리지 않다가 두번째에 끌릴 수도 있을까요? [47] 철판닭갈비8583 24/01/09 8583
174380 [질문] 태영건설 부도시 태영그룹 회장이 입는 손해가 궁금하네요 [10] flowater7451 24/01/09 7451
174379 [질문] 아는 형님이 이렇게 말하면 어떨 것 같은가요? [27] 짐바르도7712 24/01/09 7712
174378 [질문] 동네의원 해당과목 전문의 여부가 얼마나 중요한가요? [19] 앗흥6654 24/01/09 6654
174377 [질문] 알뜰폰 자주 갈아타면 신용점수를 못올리나요? 쏘쏘쏘5921 24/01/08 5921
174376 [질문] 2월말 3월초 제주도 여행 질문 입니다! [5] 원스6504 24/01/08 6504
174375 [질문] 체코, 헝가리, 오스트리아 여행에서 신용카드 사용? [10] 호비브라운6458 24/01/08 6458
174374 [질문] 유모차나 카시트는 어떤브랜드를 쓰고계시나요? [85] 천우희7290 24/01/08 7290
174371 [질문] 게임하실 때 패드 진동, 중요하게 생각하시나요? [27] 평양냉면8273 24/01/08 8273
174370 [질문] 여자친구 생일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유유할때유6927 24/01/08 6927
174369 [질문] 카드번호를 잘못 입력해서 다른사람 카드로 결제되는게 가능한가요? [7] 쌍둥이아빠6633 24/01/08 6633
174368 [질문] 게임용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4] 하임5956 24/01/08 5956
174367 [질문] 스탠바이미 쓰시는분? (스탠바이미고x) [14] Grundia6397 24/01/08 6397
174366 [질문] 개발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6] 황신강림6769 24/01/08 6769
174364 [질문] 소개팅 하는 분과 당일치기로 목요일 근교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39] 의문의남자7768 24/01/08 7768
174363 [질문] 종이신문 보고 싶은데요 [9] 이리세5834 24/01/08 5834
174362 [질문] 다리뼈가 갑자기 아파요ㅠㅠ [11] 하리네6089 24/01/08 6089
174361 [질문] 대출 질문 입니다. [9] 하이킹베어6001 24/01/08 6001
174360 [질문] EA play pro 이용하시는분 계신가요? [3] BlueSKY--5938 24/01/07 5938
174359 [질문] SSD NVME 2230 PC에 연결하는데 연결이 안되요 [8] 어센틱7737 24/01/07 7737
174358 [질문] 스픽 어플 해보신 분들 후기 부탁 드립니다 [3] Alfine8032 24/01/07 80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