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0 08:24:09
Name 하나
Subject [질문] 기타 입문하려 하는데 독학하는 팁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기린이입니다
우연히 헥스 q300이라는 일렉기타를 선물받아 이참에 육퇴후 취미로 삼으려 합니다.

학원 안가고 독학하려면 가장 좋은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서적도 좋고 유튜브 채널 추천도 좋습니다.

음악적 지식은 도레미파솔라시도 음 아는거랑 계이름 보는 정도이고 기타는 아예 모르는 수준입니다.

학습방법 추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johny=쿠마
24/05/20 08:59
수정 아이콘
원하시는 답변은 아니겠지만, 노베이스에 주변에 참고할 만한 사람도 없고 학원도 안 다니는데 기타류 독학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는 편입니다.

어떤 악기든 그렇지만 기타류도 자세가 굉장히 중요한데, 처음에 자세랑 기본기, 연습법을 코치해줄 만한 사람이 있는 게 좋습니다.
(저도 따로 학원은 다닌 적 없지만, 동아리에서 주변 선배들 치는 거 보면서 시작했거든요)

드문드문이라도 누군가 옆에서 기타 치는 걸 좀 봐주거나 코치해줄 사람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은 굉장히 다릅니다.

그런 의미에서, 주변에 도움 받을 사람이 없다면 한 달이라도 학원 다녀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jjohny=쿠마
24/05/20 09:03
수정 아이콘
헥스 Q300은 안 잡아봤지만 요즘 헥스 기타 평이 좋더라고요. 아마 기본 이상은 할 것 같네요.

Q300이면 세미할로우 일렉기타인데, 좀 특이한 종류입니다. 세미할로우는 기본적으로 일렉기타지만 어쿠스틱 기타처럼 통 자체에서도 소리가 좀 나고 해서, 취미 영역에서 이것저것 해보시기 좋을 수도 있겠네요. 선물로 받으셨다니 부럽습니다. 흐흐
24/05/20 09:10
수정 아이콘
아 아는 형이랑 오랜만에 연락하다가 제가 아이 셋을 키워서 집에서 기타연습하기가 어렵다니까.. 소리가 적당히 나는 기타가 있다면서 덜컥 선물해주더라구요. 흐흐

독학은 역시 어렵군요. ㅠㅠ 사실 저도 초딩때 피아노 바이올린같은건 레슨 붙어서 열심히 했었는데 그때 경험 생각해보면 확실히 옆에서 누가 붙어서 가르쳐주지 않으면 어려울 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4/05/20 09:15
수정 아이콘
1. 유튜브만 보고 독학하기엔 한계가 너무 많습니다.
2. 잡기 어렵긴 하지만 목표가 어디인지 잘 잡아둬야 합니다. 특정 일렉 연주곡의 솔로부분 흉내내기인지, 코드로 적당히 반주하는 정도인건지, 한곡 일렉기타 부분 그대로 연주인지 등등
3. 기본기가 아예 없는 상황이라 기타 학원 최소 1~2달은 다녀보셔야 합니다.
4. 학원에서 1~2시간 하는걸로는 실력 향상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집에 와서 좋아하는 곡이나 쉬운 곡을 1~2시간 이상 꾸준히 연습해야 느리게 계단식으로 실력이 향상됩니다.
24/05/20 10:2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역시 레슨이 답인가보네요..!
돔페리뇽
24/05/20 09:54
수정 아이콘
학원 안가고 독학하려면 가장 좋은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1. 좋아하는 노래를 하나 고른다 (너바나, 그린데이 등등 파워코드 몇개 안되는 노래)
2. 될때까지 계속 친다
3. 녹음해서 들어보고 비슷해지면 다음노래로 넘어간다
24/05/20 10:26
수정 아이콘
초딩 시절 피아노 혼자 연습할 때 이렇게 했던 기억이 나네요. 흐흐 감사합니다
24/05/20 0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렉 연주를 러프하게 나누면 코드진행과 솔로진행이 있습니다.
파워코드를 어떻게 잡는지를 알아보신 후(운지법은 똑같고 위치만 바뀝니다.),
좋아하는 음악을 검색하신 후 해당 음악을 파워코드로 연주하는 것을 연습하시면 됩니다.(유튜브에서 검색하시면 많이 나옵니다.)

이게 익숙해지면, 그때 솔로진행도 연습해보시면 됩니다.
다만 솔로진행은 메카닉적인 부분이 핵심인지라, '크로매틱'을 코드진행 연습할 때부터 하루 10분 꾸준히 해주시면 좋습니다.

연주로 돈 벌 것도 아니고, 취미 직밴 수준까지도 솔직히 유튜브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악기는 어떻게 무엇을 배우냐보다 연습에 시간을 얼마나 투자하느냐가 먼저라서요.
24/05/20 10:28
수정 아이콘
파워코드.... 크로매틱.. 처음 듣는 용어가 많네요. 흐흐 감사합니다.
24/05/20 11:10
수정 아이콘
악기도 헬스PT개념으로 접근하세요.
처음에는 제대로 된 자세 잡는 게 중요하잖아요
24/05/20 11:25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도보 이용가능한 레슨학원 찾아보고있습니다..흐흐
요하네즈
24/05/20 11:38
수정 아이콘
인강&학원 둘다 병행해야 하는데 학원이 훨씬 낫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크로매틱 스케일이나 파워코드 파지 하는 법, 타브 악보 보는 법 등 가장 기초적인 부분도 인터넷 보면서 혼자 끙끙 앓는거 보다 강사에게 보여주고 바로 해결 받는게 여러모로 덜 스트레스 받으면서도 빨리 능숙해지는 길입니다.

당장 타브악보 던져놓고 유튜브에서 검색하면서 본다고 해도 여기에 있는 이 번호가 이게 손가락을 말하는건지 줄을 말하는건지, 오른손은 업 스트로크로 치는건지 다운스트로크로 치는건지 아니면 팜뮤트로 막아놓고 치는건지 등등은 초심자가 처음에 유튜브 보면서 익히기에는 솔직히 매우 혼란스러운 개념들입니다. 악기 배우는게 생각보다 처음에 외울것도 많고 이론도 많이 들어가거든요. 손에 익는건 또 별개로요. 물론 당연하게도 학원만 다닌다고 해서 느는것도 전혀 아니니 본인이 따로 그만큼 연습을 많이 하셔야겠지용.
24/05/20 13:1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흐흐 육퇴하고 갈 수 있는 학원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알아봐야겠네요
덴드로븀
24/05/20 13:20
수정 아이콘
기타학원의 경우 직장인 비중이 꽤 될거라 저녁 9시~10시까지 하는곳이 많아서 다니기 편한곳으로 잘 알아보시면 될겁니다.
24/05/20 13:21
수정 아이콘
흐흐 대전살아서 도시 사람이긴 한데 동네가 도심 속 오지에 가까운 수준이라 인프라가 처참하네요.ㅠ
차로 갈 수 있는데도 고려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507 [질문] 소소하지만 급을 올렸을 때 급격히 체감되는 물건? [29] 사람되고싶다1243 24/06/02 1243
176506 [질문] 천오백에서 이천만원 정도 적금들려면.. [6] 엔쏘1102 24/06/02 1102
176505 [질문] 디카페인 더치 원액 추천 해주세요. [3] 안철수1035 24/06/02 1035
176504 [질문] 기존 컴퓨터 켜지지 않는 문제 [9] 이혜리1273 24/06/02 1273
176503 [질문] 챗지피티나 클로드같은 ai 사이트 구독할만 할까요? [9] wersdfhr1622 24/06/02 1622
176502 [삭제예정] 준중형 이상 사겠다는 사람에게 경차 소형차만 추천하는건 무슨 심리일까요? [47] 삭제됨2805 24/06/02 2805
176501 [질문] 고량주 질문 입니다 [12] 플스51236 24/06/02 1236
176500 [질문] 아파트 창틀, 방충망 청소 방법 질문드립니다. [5] AsuRa1075 24/06/02 1075
176499 [질문] 매드맥스 퓨리오사 전작 안보고 봐도 괜찮나요? [6] dolce biblioteca2319 24/06/01 2319
176498 [질문] 부모님께서 운전하실 3천만원대 자동차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30] 세바준2898 24/06/01 2898
176497 [질문] 챔스결승 스포 안 당하고 하이라이트 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2] 콩돌이1807 24/06/01 1807
176495 [질문] 옛날 만화책 보려면 어디로 가야되나요? [13] Right2812 24/06/01 2812
176494 [질문] 멜라토닌 추천을 부탁 드립니다. [4] 유유할때유2165 24/06/01 2165
176493 [질문] PC를 종료할때 이런 에러가 뜨는데 해결방법 아시는분 계실까요? [6] Skyfall1837 24/06/01 1837
176492 [질문] 식기세척기에 타블렛 세제가 안녹아요 [8] 피지알볼로2130 24/05/31 2130
176491 [질문] 성심당은 과연 특혜일까요? [62] 키토3987 24/05/31 3987
176490 [삭제예정] 감사합니다. 예정대로 삭제하겠습니다. [6] 삭제됨2189 24/05/31 2189
176489 [질문] 직장인이나 자영업분들 맨탈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22] 칭찬합시다.2323 24/05/31 2323
176488 [질문] 우리나라가 지정학적으로 미국에게 중요한가요? [45] Garnett212617 24/05/31 2617
176487 [질문] USB 포맷하라는 팝업창 안 뜨게 할 수 있을까요? [4] 탄야912 24/05/31 912
176486 [질문] 발성을 제대로 배우려면 어느 학원을 가야할까요? [7] 사람되고싶다994 24/05/31 994
176485 [질문] [루팡] 뺨노트가 생긴다면 사람들은 얼마나 쓸까요? [12] 짐바르도922 24/05/31 922
176484 [질문] 흑인 스포츠스타 goat는 누구일까요? [37] rnsr1840 24/05/31 18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