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1 11:41:13
Name FreeRider
Subject [질문] 방송통신대 혹은 사이버 대학의 AI 학과 (수정됨)
안녕하세요.
50대 초반의 외국계 금융회사에서 회계일을 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대학 졸업한지도 20년이 넘었고 이제까지 직업에 관련된 일을 공부하느라 그냥저냥 지냈었는데 요즘들어 컴퓨터 쪽 특히 AI 분야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생기네요.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분야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면, 이제는 제 남은 인생의 대부분을 AI와 함께 해야 한다는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된 것 같습니다.

지금은 방통대 프라임칼리지에서 AI 전공을 하거나 사이버 대학교에서 인공지능학을 전공할 것을 고려 중입니다만, 커리큘럼을 제대로 따라갈 수 있을 지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는 학력고사를 보고 90년대 초 대학에 입학해 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했고, 지금은 회계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실제 컴퓨터와 관련된 일을 한 경험은 없고 관련된 깊은 지식이 있지는 않습니다. AI를 공부해보고 싶은 것은 분야에 대한 지적 호기심도 있지만, 퇴직 후 커리어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램도 있습니다.

혹 저에게 맞는 커리큘럼을 추천해 주시거나 진로에 대한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가 : 아래 두분이 급변하는 학문 추세를 지적해 주셨는데, 혼자 공부하는 것이 막막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잘 차여진 커리큘럼을 따라가거나 학기별 목표를 가지고 공부하는게 효율적일 것라는 판단을 했습니다.
커리큘럼을 확인해 봤는데 우선 오랜만에 수학 정석 책을 펴 봐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11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AI 기초를 배워서 써먹을만한 분야는 너무 한정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AI를 이용해서 상품화 할만한 지식들은
매주 업데이트 되는 수준이라 대학에서 가르칠만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별로 없을꺼에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이나 [LLM 활용법] 위주로 공부하시면 원래 가지고 계시던 지식과 결합되서
비지니스 찬스 같은게 좀 보이실수 있을겁니다.


저도 간단하게 기계학습 프로그램 정도는 짤수 있는데 기계학습에 드는 코스트나 데이터 확보를 생각하면
AI 만드는 법을 공부하는건 효율이 별로인거 같아요.
쓸만한 AI는 수십억 [달러] 수준으로 돈이 들어가서..
덴드로븀
24/06/11 12:24
수정 아이콘
교육기관에서 준비한 커리큘럼을 따라가면 AI 에 대한 기초지식이나 활용법은 어느정도 익힐수있긴 할겁니다.

그런데 AI 기술의 특성상 거의 매일 매시간 달라지고 있는게 현실이라
굳이 방통대 같은곳을 안가고 현재 나와있는 AI 관련 책이나 유튜브 영상만 꾸준히 찾아보고 연습해보면 AI 에 대한 적응은 크게 문제 없을겁니다.
안군시대
24/06/11 13:39
수정 아이콘
아직까진 AII 분야가 학문적으로 정립이 잘 된 상태가 아니라고 보여서, 관련 자료 등을 찾아보시면서 독학하시는 쪽이 더 낫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권해봅니다.
24/06/11 14:07
수정 아이콘
퇴직 후 커리어에 대한 고민을 먼저 생각하시고 대학이든 대학원이든 선택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몇 세에 퇴직하실지 모르겠지만 60대 전후에서 퇴직하신다면 퇴직 후 어떤 직종을 하던 필드에서 실무를 뛰기보다는 관리라든지 지식서비스쪽을 생각하셔야 할텐데 우선 그런 방향성부터 잡으셔야 합니다. 심지어 전문직도 그 정도 나이가 되면 실무에서 점점 벗어나거든요. 금융회사에서 회계쪽 일을 오래하셨다면 전문 CFO로 활동하시는 길도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이쪽으로 진로 방향을 잡는다면 그에 따른 적절한 코스들이 있습니다. 꼭 대학원 정규과정이 아니더라도 mini-MBA 라든지 관련 기관에서 운영하는 양성과정이라든지... 뭐가 되었든 일단 방향을 먼저 잡고 거기에 필요한 것을 덧붙여 나가는 방식이 더 좋습니다.
FreeRider
24/06/11 14:5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원 글에 자세히 설명은 안 드렸었지만, 지금 결산 담당 임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만 공부를 하다보니 더 놓은 포지션에 가기에는 영어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곧 있을 퇴직 후 커리어를 고민 중입니다.
회계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금융 인더스트리로 나온 지가 오래되어 다시 회계법인 생각은 안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실무 능력이 떨어지기도 하고, 뭔가 막연하게 플랫폼이나 시스템 구축을 통한 커리어를 고민하고 있던 중에 AI 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물론 회계 빅펌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계 시스템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지고 있긴 하지만 더 독립적인 아이템이 있을까 고민 중입니다.
AI 를 직접 개발하는 등의 욕심을 가지고 있다기 보다는 현재 AI가 어떻게 산업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AI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668 [질문] 서울 참치회 맛집 추천부탁드려요. [12] Labilio1420 24/06/14 1420
176667 [질문] 회사에서 장기 출장을 다녀오라는데.. [3] 비행기타고싶다2201 24/06/14 2201
176666 [질문] 파워포인트 붙여넣기시 위치고정이 안됩니다 [5] 니플1086 24/06/14 1086
176665 [질문] 경기광주의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39] 교자만두2388 24/06/14 2388
176664 [질문] 옛날 게임을 찾습니다 [8] 이선화1152 24/06/14 1152
176663 [질문] 유튜브 요약 ai가 아닌 유튜브 전문을 텍스트로 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3] 아싸라비아똥구멍942 24/06/14 942
176662 [질문] 중고차 질문입니다. 1인소유 차량인데, 렌트카 전환 이력 있음 [8] LG의심장박용택1771 24/06/13 1771
176661 [질문] 휴가철 전기차 충전 질문합니다. [11] 보아남편1683 24/06/13 1683
176660 [질문] 그래픽카드 풀로드 모니터 꺼짐현상 [11] 엘제나로1485 24/06/13 1485
176659 [질문] 롤 이벤트 패스 구매해두고 3주 안에 깨야하는 건가요? [2] 허느1451 24/06/13 1451
176658 [질문] 노트북도 가동시 미가동시 방 온도 습도 차이가 그렇게 많이 나나요? [1] Pika481334 24/06/13 1334
176657 [질문] 실거래 뜬 아파트의 강제경매개시결정 질문드립니다 기다리다857 24/06/13 857
176656 [질문] 미국 올랜도 치안 어떤가요? [2] 성야무인1180 24/06/13 1180
176655 [질문] 태블릿 비교부탁드리겠습니다. [18] 먼산바라기1170 24/06/13 1170
176654 [질문] 청약을 도전하고 싶은데 세대분리 해놓으면 좋나요? [3] bifrost1057 24/06/13 1057
176653 [질문] 삼성전자 데스크탑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16] BK_Zju1158 24/06/13 1158
176652 [질문] imgur 링크 이미지 로딩 속도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1] 이화392 24/06/13 392
176651 [질문] 교통 사고나면 어떻게 하는게 정석인가요? [4] 라리1017 24/06/13 1017
176650 [질문] 혹시 중국에서 정의(justice)에 대한 인식이 [8] 차라리꽉눌러붙을929 24/06/13 929
176649 [질문] 트렁크에 몇달 넣어놓은 와인 괜찮나요? [7] 호비브라운993 24/06/13 993
176648 [질문] 잇몸 안쪽에서 음식이 부패할수있나요? [5] Dunn1148 24/06/13 1148
176647 [질문] 정부부처 시상결과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2] 무냐고634 24/06/13 634
176646 [삭제예정] 1금융 신용대출 관련 문의입니다.(삭제 예정) [6] 삭제됨749 24/06/13 7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