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30 23:48:36
Name 자가타이칸
Subject [질문] 5080 그래픽으로 견적 부탁 드립니다.
5080이 나오긴 나왔는데.. 구입이 잘 될지 모르겠지만... 견적 좀 부탁 드립니다.

게임용이고 약 350만원 정도 동원 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약간 무리하는 거라 장기간(10년 정도) 써야 하고요. 고장 없고 안정적이였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5/01/31 05:50
수정 아이콘
무리하는 거라 오래 썼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무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5080 쯤 되면 전기도 많이 먹고 그만큼 내뿜는 열도 많아서 오래 쓰기는 어렵거든요. 고장 없이 3년 쓰면 잘 쓰는 정도? CPU나 그래픽 카드 발전 추세도 꺾이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이 정도 속도면 혹여나 고장이 안 나더라도 10년 쓰기 전에 교체가 마려울 가능성도 높습니다.
그래도 이 정도면 내실 있는 5080 견적이 되리라 봅니다.
CPU: [AMD] 라이젠7 라파엘 7800X3D (8코어/16스레드/4.2GHz/쿨러미포함) 멀티팩 648,000원
게이밍 CPU 상왕 7800X3D입니다. 9800X3D가 있다면 이거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만, 아직 기존 수요를 공급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이 9800X3D의 차선책으로도 충분히 볼만합니다. 뭐, 가격도 이 정도면 물량 없을 때보다는 많이 내려오기도 했네요. 50만 중반대의 전설까지는 아니더라도요.
CPU 쿨러: [3RSYS] Socoool RC1900N 솔더링 (BLACK) [CPU쿨러] 76,500원
7800X3D, 9800X3D는 3~4만원 언저리 하는 듀얼타워 중하급 보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만, 빠방하게 듀얼타워 중상급 이상 하는 이거 보셔도 됩니다. 수랭 가시는 분도 계시긴 하나, 저 두 CPU에 수랭은 감성으로 가는 것에 가깝습니다.
메인보드: [ASRock] X870 Pro RS 디앤디컴 (AMD X870/ATX) 369,000원
5080 정도 되면 두꺼운 글카가 대부분이라 이를 쉽게 커버해줄 수 있는 ATX 보드를 찾게 되고, 이들 중 구성이 괜찮은 보드 중에 싼 거 보다보면 이게 눈에 띄네요. 전원부야 용량도 크고 방열판도 튼실해서 전기 그렇게 안 먹는 7800X3D 커버는 껌이고, PCIe 5.0을 지원해 5000번대 달아도 PCIe 버전으로 인한 성능 하락을 걱정 안 해도 되고, M.2 슬롯도 셋을 지원하고 전부 방열판이 있어 추가 SSD를 달아도 방열판 살 걱정까지 안 해도 되고, 랜도 호환성 이슈 덜한 리얼텍 랜에 사운드도 싸구려 897이 아닌 등, 가격 값을 하는 좋은 보드입니다.
메모리: [Team Group] 팀그룹 DDR5 PC5-38400 CL40 Elite 서린 [16GB] (4800) *2 113,400원
고사양 게임용 램은 DDR5의 시대가 된지도 좀 되었죠. DDR5에서는 여전히 팀그룹 제품이 고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라이젠 7000번대 멤컨 특성상 5600보다는 4800이 안정성이 조금이라도 좋아 클럭은 4800으로 정했습니다. 가격차도 거의 안 나네요.
용량은 16기가 2개, 32기가로 갔습니다. 같은 용량 2개를 단 것은 '듀얼 채널' 적용을 위해서인데, 쉽게 말해 4차선 노반을 깔았으면 4차선 도로를 깔라는 말입니다. 32기가 하나만 달아 2차선만 깔아버리면 성능이 낮아지겠죠.
그래픽카드: [ASUS] PRIME 지포스 RTX 5080 O16G 인텍앤컴퍼니 ★ 한정 판매 5개 ★ 1,859,000원
뭐, 5080 보는데 선택지는 없습니다. 80까지 물량을 적게 준 건 완전 예상 밖이었네요.
4K에서는 옵션 타협 생각해봐도 되고, QHD에서는 완전 빠방한, 4090과 4080 사이의 시장을 공략하는 그런 성능과 가격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 컴퓨존에서 볼 수 있는 글카는 mATX 보드로 가셔도 되는데 이것도 한정 판매 제품이라 다른 거 보실 수도 있게 ATX 보드로 잡아놓긴 했습니다.
SSD: [Western Digital] Black SN850X M.2 NVMe 2280 [1TB TLC] 122,000원
무난한 안정성에 무난한 속도의 SN850X입니다. SSD도 싼 거 마구 쏟아지고 있던데 싸구려 SSD는 심하면 둘 중에 하나는 불량이 나서 소중한 데이터를 날려버린다 그러고, 그러지 않더라도 용량 차면 활용하기 어려운 SLC 캐시 뻥에 속도를 크게 의존하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라, PM9a1이나 P44 Pro 이상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N850X는 이 둘보다 약간 비싼 대신 제조사 정품이라는 점에 메리트가 있습니다. 안정성에 신경을 더 쓰고 싶으시다면 P31 보셔도 됩니다.
파워: [SuperFlower] SF-850F14XG LEADEX VII GOLD ATX3.1 (ATX/850W) [블랙] 178,990원
7800X3D에 5080이면 850W로 충분할 것 같다는 계산이 나오더라고요.
이 용량대에서 내실 있는 파워는 시소닉 뉴 포커스 골드 V4, FSP HYDRO G Pro, 그리고 이 슈퍼플라워 리덱스 VII 이렇게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슈플은 예전에 타사 싸구려 파워를 국내에 도입했다 하드킬 이슈도 내고 그랬었는데, 리덱스는 자사 제조 파워라 그런 이슈 일으킬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케이스: [darkFlash] DLX21 RGB MESH 강화유리 [미들타워] [블랙] 88,700원
이 정도만 해도 고사양이라 할 수 있는 DLX21입니다. 글카나 쿨러 다는 것에도 문제 없고, 가격도 조금 내려왔네요.
좋은 케이스는 강판 두께가 두꺼워서 공진음 등 각종 잡음을 잡아주고, 잘 안 찌그러지며, 여러 번 업글할 시에도 나사산이 잘 안 무뎌지며, 팬 품질도 좋아서 고장 걱정 별로 없이 케이스 내부의 열기를 시원하게 밖으로 빼주며, 전면 단자 품질도 좋아집니다.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426380&mest=87784a3036a19c0015870b5d5a91800c
정리하면 이렇게 됩니다. 다른 분들 견적과 비교해보시고, 만족할만한 컴퓨터 구매가 되길 기원합니다.
자가타이칸
25/01/31 09:25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드립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배고픈유학생
25/01/31 10:57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 >>>>> 다른 모든부품
가격인 시대가 왔네요 덜덜
자가타이칸
25/01/31 17:40
수정 아이콘
답변 주셨는데 재차 질문 드립니다. 귀 찮게 해서 죄송합니다.

혹시 4070ti super나 4080으로 가면 좀 오래쓸 수 있나요? 안정적으로 오래쓸 수 있다면 40시리즈로도 견적 부탁드려도 될까요?
manymaster
25/01/31 18:07
수정 아이콘
역시 5080 못 구하셨나보네요.
그래픽카드만 4070 슈퍼 3팬 제품으로 바꾸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이 정도 되면 CPU를 13600K, 14600K로 낮추셔도 되는데, 그 인텔 철권 8발 이슈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CPU도 아니고 업글도 사실상 막혔기도 해서 오래 쓸 생각까지 하고 있다면 CPU는 안 바꾸시던지, 9600X 정도 보시는 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글카는 60급까지 내려오면 수명은 잘 쓰면 8~9년도 쓸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지금 FHD에 풀성능으로 쓸 수 있다 정도라 나중 가서는 성능이 많이 아쉬워 질 것으로 보입니다. 수명과 성능의 균형점을 찾자면 4070 슈퍼가 가장 나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QHD에서 옵션 타협 생각해야 하는 그 정도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5~6년 정도는 재수 없는 게 아닌 이상 잘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팬 제품보다는 3팬 제품이 열도 잘 배출시켜서 수명에 있어서 더 좋습니다. [Colorful] 지포스 RTX 4070 SUPER 토마호크 EX D6X 12GB 이게 가장 눈에 띄긴 한데, 상급 라인업으로 유명한 불칸도 가격이 꽤 내려왔네요.
나머지는 굳이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9600X로 바꾼다 할지라도 소켓은 7800X3D와 똑같은지라 보드도 바꿀 필요 없습니다.
manymaster
25/01/31 18:12
수정 아이콘
아, 글카 수명에 있어 오해를 살만한 부분이 있어 정정이라기 보다 보충설명을 하자면, 대부분의 글카는 3년 정도는 보증을 해줍니다. 5080도 그렇긴 할텐데, 그래도 오래 쓰고 싶은 입장에서 보증 기간 3년이 끝나고 몇달 안 지나서 고장나는 사태는 피하고 싶을 것이라 보입니다.
자가타이칸
25/01/31 19:28
수정 아이콘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진짜 복 받으실 거에요.
자가타이칸
25/02/03 10:50
수정 아이콘
한가지 더 의문이 있어서 그러는데요.

4070 super랑 4070 ti super와 성능 및 내구성이 차이가 어떤가요? 전기는 Ti가 약간 많이 먹는거 같기는 한데.. 개인적으로 돈을 좀 더 쓰더라도 ti를 가고 싶은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manymaster
25/02/03 13:33
수정 아이콘
크게 많이 안 먹긴 한데, 성능 차이도 크게 안 납니다. 옵션 타협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과, 굳이 생각 안해도 되겠다, 그 정도? 돈 더 들이는 것에 비해서는 성능이 안 올라서 추천하기 어렵다 그 정도입니다. 이번 달에 나올 5070도 생각해봐야되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672 [질문] 게임 멀미에 대한질문입니다 [4] 개가좋아요2023 25/02/11 2023
179671 [질문] 서울에 룸있는 일식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유유할때유2434 25/02/11 2434
179669 [질문] 한국영화 포스터인데요 도저히 무슨영화인지 생각이... [6] 골드쉽2696 25/02/11 2696
179668 [질문] 지금 시점에 S23 중고 구매 어떤가요? [24] 탄야3495 25/02/11 3495
179667 [질문] 예적금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8] 월터화이트3103 25/02/11 3103
179666 [질문] 아파트 인테리어 올공사 요즘 어느정도 할까요? [12] 마이스타일3160 25/02/11 3160
179665 [질문] 위스키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14] 장마의이름2900 25/02/11 2900
179664 [질문] 엘리베이터에서 안내렸는데 먼저 타는 심리가 궁금해요 [30] 인민 프로듀서3498 25/02/11 3498
179663 [질문] 시계 브랜드 추천/초보적인 4K 영상편집에 권장되는 PC사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nearby2281 25/02/11 2281
179662 [질문] 부산 엘시티 호캉스 문의드립니다. [5] 유니꽃3045 25/02/11 3045
179661 [질문] 초등자녀들에게 어벤져스를 보여주는 순서? [7] 오타니3493 25/02/10 3493
179660 [질문] 아이와 볼만한 만화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34] Secundo3666 25/02/10 3666
179659 [질문] 중고차 구매 자문 구해봅니다 [17] EagleRare3571 25/02/10 3571
179658 [질문] 컴퓨터 멈춤(프리징)현상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7] 은신혜평3893 25/02/10 3893
179657 [질문] 어렷을때 이혼한 친모를 찾고 싶습니다. [13] 가치파괴자4893 25/02/10 4893
179656 [질문] 우유니 소금사막을 가보려고하는데요 질문있습니다 [14] 욱쓰2790 25/02/10 2790
179655 [질문] 교통사고(피해자) 관련 법적으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3] KID A2265 25/02/10 2265
179654 [질문] 휴대폰 연결용 DAC + 유선이어폰 쓰시는분? [22] egoWrappin'2866 25/02/10 2866
179653 [질문] 아이폰12미니 처분 질문.. [9] 속보3084 25/02/10 3084
179652 [질문] 게임용 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5] Chrollo Lucilfer3144 25/02/10 3144
179650 [질문] 고프로 여행 영상 편집을 위한 소프트웨어 [1] 맑국수2723 25/02/10 2723
179649 [질문] (더러움주의) 월세 임대차 관련 결로로 인한 곰팡이 등 임대인 수선의무 [3] 소꿉3767 25/02/10 3767
179648 [질문] 중고로 올린 물품에 팔렸나고 물어보기만 하는 이유? [12] 윌슨 블레이드3922 25/02/09 39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