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6 23:16:57
Name 정공법
Subject [질문] 경제관념이 많이 없는데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나이는 37이고 사정상 빚이 있어서

작년에 다 갚고 현재는 현금2800있고

4000전세(제돈400)에 살고 있습니다

벌이는 연봉 7500전후
작년에 결혼했는데 국제결혼이고
아내는 월 200정도 수입이 있습니다

아내랑 대화로는 먼저 3600전세대출을 먼저갚고

그 후 와이프 월급으로 생활하면서
제 월급은 모두저축 그럼 적어도 1년에 5000은 모이니까 4년 2억모아서 아파트 들어가자

라고 두루뭉실하게 계획은 잡았는데

어떻게 저축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통장에 쌓아두는건 아닌것같고

S&p500같은 주식도 조금씩 넣어야하는지
적금이나 예금상품은 어디서 찾아봐야하는지
그 외에 그냥 통장에 모아놓는것보다 조금이라도 효율적으로 모을수 있는방법이 있는지 하나도 아는게 없네요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모으는게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꽃이나까잡숴
25/02/06 23:30
수정 아이콘
음... 사실 어려운 얘깁니다. 리스크를 얼마나 감내할수 있으신지 세세하게 따져볼 일이라서요.
그래도 좀 브로드하게?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1) 스스로 해당 지식이 너무없다고 판단되시면 만만한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추천드립니다.
상품별로 물론 차이도 있지만 그냥 주거래 은행에 적당한 상품 추천받으셔도 됩니다.
2) 정기예/적금에 넣기엔 너무 입출금이 잦으시면, 대형증권사 CMA 통장 추천드립니다.(미래에셋증권 등)

여기까지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사실상 없는 방법이고요.

여기서 더 나아가려면 원금 손실 위험을 감당하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S&P500 이런건 원금 손실 위험이 무조건 따라오는데요. 그래도 직접 해보는 편이
장단점을 배우는데 좋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안전성이 높고 간편한 방식부터 천천히 경험삼아 해보시는 건 나쁘지 않다고 봐요.
따라서 이쪽은 국내 상장 ETF(예: TIGER 미국S&P500)에 장기 분할 적립식으로 투자하시되
금액을 적게 하시면서 직접 한번 체험해 보셔요. 가령 월에 30만원. 뭐 이런식으로요.
Jedi Woon
25/02/06 23:45
수정 아이콘
사실 투자 경험이 없고 별 관심도 없었다면 예적금이 제일 무난합니다.
그리고 아파트 구매 예정이라면 청약저축도 넣으세요.
주식은 원금 손실 리스크가 크고 등락에 민감해질 수 있어서 추천하지는 않지만 적극적인 투자 없이는 돈 모으는건 속도가 많이 느릴겁니다.
S&P500 이나 나스닥 지수 추종하는 국내 ETF 들이 있는데 여기 매월 소액(월10만에서 30만 사이)으로 넣어 놓고 1년, 2년 뒤에 수익률을 평가해보세요.
그리고서 금액을 늘릴지, 그만할지 정하시면 됩니다.
덴드로븀
25/02/06 23:48
수정 아이콘
1. 1억 모을때까진 [예금/적금] 만 하세요.
2. 월급 받는 통장 은행 앱을 깔고, 거기에서 예금/적금 적당히 골라서 가입하면 됩니다.
3. 주식이 궁금하고 토스앱을 쓰신다면 토스증권 탭에 가서 가입하고 40만원 넣고 주식모으기로 [하루에 천원]씩만 [VOO] 라는걸 사도록 설정하세요.
- 금액 키우기는 절대 금지
25/02/07 00:00
수정 아이콘
원금손실 위험이 있어서 자신이없으시다면 예적금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남들이 이걸로 저걸로 투자성공했다는 말에 흔들리실 필요 없고 처음엔 예적금부터 천천히 시작하세요.
요새는 인터넷에서 검색해도 한번에 은행별 예적금상품 이율 다 확인 가능합니다. 다만 이것저것 우대금리가 포함되다보니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몇개의 은행 및 상품을 먼저 고르신 다음에 해당 은행어플 설치하셔서 실제 이율 확인/비교하셔서 가입하세요. 만약 이 방법도 어려우시다면 현재 사용중인 은행 (급여통장) 에서 가장 이융 높은 예적금상품으로 가입하셔도 차이가 아주 크진 않을거에요.
아르네트
25/02/07 00:14
수정 아이콘
그정도 근로소득이 있으시다면, 어설프게 재테크 하시는 것보다는 소비를 조절하는게 최고입니다.
아끼신만큼 큰 돈이 모이실거에요. 예금도 크게 신경쓰실 거 없고, 일단 목돈(1~2억)을 모으시고 생각하세요.
여의도더현대
25/02/07 08:04
수정 아이콘
적금이 최고에요. :)
iPhoneXX
25/02/07 08:46
수정 아이콘
모든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목표 금액 전까지는 그냥 적금 하시는게 맞아요. 일부 정말 5년 이내 안써도 되는 돈 있거나, 나는 손실 감수해도 돼라는 생각 아니시면 투자는 어설프게 들어갔다가 잃고 나옵니다.
몽키매직
25/02/07 08:46
수정 아이콘
위험자산은 집장만 하신 이후에 하시는 거고
지금은 예/적금만요.
엘브로
25/02/07 08:50
수정 아이콘
아직 지식과 공부가 안되어 있으시니
예적금 하시는게 맞습니다.
25/02/07 09:24
수정 아이콘
아내분 의견이 건실한데요?
그냥 시키는대로 하셔도 될 듯 크크
25/02/07 10:41
수정 아이콘
222 본인도 경제관념이 좀 부족한 거 같다고 인정하시니 아내분 결정에 힘을 실어 주면 좋을 거 같아요 지금 상태에서 굳이 선택지를 늘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及時雨
25/02/07 09:48
수정 아이콘
네이버에 예금이나 적금 검색하면 이율 순서대로 정렬시켜서 볼 수 있어용
슬래쉬
25/02/07 10:31
수정 아이콘
꼬딱지만한 금액으로 투자해봤자 벌어도 꼬딱지만큼 법니다 ㅜㅠ
처음에는 무조건 예.적금입니다.
시드를 일단 키우고 투자를 시작해서 수익이 나도 의미가 있지
쥐꼬리만한 돈으로 투자 시작하면 수익나도 체감이 안되서 결국 선물이나 원금손실의 위험성이 큰 것들 건들였다가 다 날립니다...
44년신혼2년
25/02/07 10:48
수정 아이콘
정기 예금/적금으로 4년 모으세요.
1년 5천 모을 수 있는 적금(여러개 나눠서 넣더라도 원금 보장되는 적금으로)
5천 모으면 정기 예금으로 전환 (이자율 보고 1년/3년 등 정하시고요.)
이렇게 5천씩 4년 모으면 2억 몇백 모일겁니다.
2억은 아파트 들어가는데 쓰시고,
이자로 나온 몇백은 그동안 고생하셨으니 여행 가시거나 좋은 가전 사는데 쓰세요.
25/02/07 11:15
수정 아이콘
혹시 주식을 하시더라도 우선 100만원 가지고
1억이다 생각하고 하고 싶은거 1년 정도 다해보시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줍기도 해보고 손절도
해보고 물타기도 해보고 개잡주도 사보고 등등..

결국 투자공부보다 중요한 건 자기 자신의 성향을
정확히 아는거라고 봐요. 10프로 올랐을때
팔고 싶어 안달이 나는지 30프로 내려갔을때
화가나서 일에 지장이 있다던지 하루종일 MTS를
보고 일희일비 한다거나 그런거요.
25/02/07 1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적권 예적금+파킹통장 그냥 통장에만 두셔도 됩니다. 통합 자산 관리 어플 잘 나와있으니 이용하세요. 원화채굴 잘 하시는 분인이 일단 주담대로 레버리지 땡기시고 그 이후에 투자 고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월급 여윳돈의 절반 정도는 적금. 절반 정도는 파킹통장으로 모으다가 3천만원 모이면 신협에 비과세 3천 혜택 보고. 그 이상은 금리 좋은 저축은행에 분산예치 하시면 됩니다.
성야무인
25/02/07 15:25
수정 아이콘
2억정도를 모으실거라면 무조건 예금, 적금입니다.

주식은 큰돈으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괜시리 주식 신경쓰시면 본업도 소홀해 집니다.
정공법
25/02/07 19:41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00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0858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952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2684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4142
180129 [질문] 신용카드에서 2%할인이면 엄청 큰건가요? [17] 라리937 25/03/24 937
180128 [질문] 윈터 타이어 언제 교체해야 할까요? [7] 카페알파612 25/03/24 612
180127 [질문] 비트코인 콜드월렛에 옮기는 법 [2] 구급킹507 25/03/24 507
180126 [삭제예정] 잘 모르는 단어나 내용 질문입니다. [7] 해피시티738 25/03/24 738
180124 [질문] 물고기를 주웠는데 이게 구피 맞나요? [8] BK_Zju936 25/03/24 936
180123 [질문] 부산 피자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일월마가518 25/03/24 518
180122 [질문] 저보다 늦은 나이나 비슷한 시기에 아이 낳으신 피지알러분 계실까요? [12] 아롬956 25/03/24 956
180121 [질문] DANBLE 추천인 코드 요청해요 어센틱218 25/03/24 218
180120 [질문] 컴견적 질문입니다. [6] 원장417 25/03/24 417
180119 [질문] AI를 활용한 코딩 뭐가 제일 좋나요? [5] 김카리1016 25/03/24 1016
180118 [질문] 아이와 같이 할 스포츠 게임 (스팀) [2] #341010 25/03/24 1010
180117 [질문] 책이나 논문 교정용 AI 추천 [2] 마리아 호아키나1173 25/03/24 1173
180116 [질문] SF소설 찾고 있습니다. [6] 최애의AI1389 25/03/23 1389
180115 [질문] 퇴마록에 나온 도혜스님의 동자승에 대한 질문입니다 [5] 틀림과 다름1359 25/03/23 1359
180114 [질문] 스트라이프의 가입이 완료가 안 되네요. 미키맨틀898 25/03/23 898
180113 [질문] 일상 대화 수준의 영어 리스닝 능력 향상 방법 [5] Fly1110 25/03/23 1110
180112 [질문] 베이징 여행 갑니다 꿀팁 전수 부탁 드려요 [9] Alfine1106 25/03/23 1106
180111 [질문] 일본 가수 정규 앨범에 드라마/애니 주제가가 들어가는 일이 잦은가요? [16] 경착륙1154 25/03/23 11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