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19 20:28:13
Name nexon
Subject [질문] 비싼 차는 오래 운전해도 덜 피곤한지요...?


안녕하세요..

오래 운전하면 차 안에서 거의 움직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곤해지는데요

혹시 외제차나 고급 국산차 같은 비싼 차를 타면 운전을 오래 해도 덜 피곤한지요...?

아니면 단순한 기분일 뿐 비싼 차/저렴한 차, 소형차/대형자 사이에 피로도는 거의 차이가 없는지요...?

만약 비싼 차가 저렴한 차에 비해 실제로 덜 피곤하다면

비싼 차에는 좌석에 고급 자재를 썼다든지 또는 오래 앉아도 덜 피곤한 좌석 각도를 적용했다든지 또는 바닥 충격을 차단해서 그렇다든지 하는 이유가 있어서 그런 것인지 궁금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3/19 20: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관용차량 3~4개 번갈아가며 운전할 당시 느꼈는데, 고속으로 달릴 때 몸으로 받는 진동 차이가 꽤 느껴지더라구요. 시내에서 달릴 때도 차이는 있겠지만 그 정도는 약간 취향 차이로 익스큐즈 가능한 느낌이고 고속주행은 확실히 급 차이가 납니다.
철판닭갈비
25/03/20 14:31
수정 아이콘
저도 똑같이 경험했습니다
제 차가 구형 K7이고 대표님 차가 G90인데 가끔 제가 몰 일 있는데 승차감이 하늘과 땅 차이..
가령 K7으로 150 밟으면 불안하고 무서운데, G90 150 밟으면 K7 100 밟는 느낌 정도? 들더라고요
25/03/19 20:36
수정 아이콘
승차감(주로 진동으로 인한 피로감 정도)과 배기량이 큰 영향을 줄 겁니다. 이건 두 바퀴 종류를 타보면 더 쉽게 체감이 가능합니다.
유료도로당
25/03/19 21:01
수정 아이콘
시트 차이가 은근 있습니다. 소형차는 아무래도 시트가 불편한 경우가 있고요.
소음/진동이 별거 아닌것같아도 장거리/장시간 누적되면 피로도에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전기차를 운전하면 그 부분에서 확실히 편안하다는게 느껴집니다.
말랑몰랑
25/03/19 21:04
수정 아이콘
편안한 승차감과 넉넉한 파워가 매우 중요하긴 합니다.

따라서 당연히 대형차가 장거리에 좋다는 의견이 많은편이며, 시트 착좌감 평가가 좋은 볼보 차량들이나 예전에 허리디스크도 낫게 해준다는 말리부가 평가가가 좋았죠.
25/03/20 01:03
수정 아이콘
아.. 말리부.. 그리 오래 탄 건 아니었지만, 시트가 딱히 고급진 것도 아닌데 착좌감이 너무 좋아서 신기했습니다.
스토리북
25/03/19 21:18
수정 아이콘
후륜에 에어서스펜션 있는 차와 노옵션 렌트 캐스퍼를 번갈아 타봤는데 차이가 극심합니다 크크
그말싫
25/03/19 21:21
수정 아이콘
전기차 원페달 드라이빙은 매우 직접적으로 피로도를 줄여줍니다.
일단 발이 왔다 갔다 할 필요가 없어서 진짜 편해요.
시무룩
25/03/20 08:44
수정 아이콘
전 반대로 발을 악셀에 계속 고정해야해서 피로도가 오르던데 이것도 사람마다 차이가 크네요
그말싫
25/03/20 10:43
수정 아이콘
왔다 갔다 발목 쓰는 것보다 피곤할리는 없을 거 같은데요,
물론 길게 쭉 갈 때 일정하게 밟고 있는 게 힘들 때가 있는데 그러면 오토파일럿을 키면 되고요.
시무룩
25/03/20 10:51
수정 아이콘
그럴리가 없다니요 써본 사람이 불편하다는데요;;
그냥 누구는 원페달이 편하고 누구는 원페달이 불편한거죠
그말싫
25/03/20 11:16
수정 아이콘
네 익숙함의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몇 달 이상 연습해보고 그러시다면 그런 걸로 하겠습니다
시무룩
25/03/20 11:28
수정 아이콘
아휴 그냥 원페달이 편한걸로 해드릴게요 축하드려요
그말싫
25/03/20 13:29
수정 아이콘
네 축하 감사합니다, 전기차 메인이 아니시면 익숙해질 필요도 없겠지만 메인이시면 수십시간은 해보세요
시무룩
25/03/20 13:39
수정 아이콘
모델y로 바꾸고 3만키로 지났네요
제발 혼자 멋대로 타인의 상황을 재단하지 말아주세요
그말싫
25/03/20 13:51
수정 아이콘
아휴 그럼 그냥 사람마다 차이가 큰 걸로 해드릴게요 축하드려요
DogSound-_-*
25/03/20 10:34
수정 아이콘
같이 탄 사람들은 멀미 우-욱
그말싫
25/03/20 10:42
수정 아이콘
그것도 실력의 차이더군요.
내연기관 하듯이 잔발로 툭툭 누르면서 브레이크도 밟는 기존 스타일을 섞어서 하면 백퍼 멀미죠
원페달에 맞는 부드러운 힘조절이 포인트입니다.
25/03/20 11:23
수정 아이콘
그건 진심으로 운전못해서 그런거에요
저 운전하면서 4년동안 한번도 멀미한 사람 못봤습니다.
25/03/20 13:53
수정 아이콘
말은 그런거없다고들 하지만 전기차를 접하는 사람들은 택시로 많이 접하는데 급가속 감속이 빈번한 택시특성상 멀미 우-욱 맞긴 하죠... 단순 실력차로 보기엔 가스택시 타면 덜한거 감안하면 이건 전기차 특성이 맞습니다. 물론 개인차를 그렇게 운전하진 않으니 나는 안그러는데? 이거도 맞고요..
25/03/20 16:45
수정 아이콘
참 같은 말도 남기신 분 무안하게 하는 재주가 있으신가봅니다...
그리움 그 뒤
25/03/21 10:37
수정 아이콘
나는 편하던데 다른 사람은 불편할 수도 있겠네요..

이 한마디면 좋지 않을까요?
돼지붕붕이
25/03/19 21:39
수정 아이콘
크고 비싼차가 당연히 승차감도 좋고 피로감도 적습니다.

큰 차체가 외부의 충격을 받아주고 좋은서스가 노면충격을 줄여주며 편안한 시트도 한목하지요.

똑같은 속도로 뛰어가도 우사인볼트가 훨씬 힘이 덜들겠죠?
차도 똑같습니다. 넉넉한 배기량으로 여유있는주행이 좋지요
25/03/19 21:40
수정 아이콘
고속도로 장거리 운전은 스마트크루즈만 되어도 신세계긴 하죠
소이밀크러버
25/03/19 21:54
수정 아이콘
윗 분들이 말씀하긴 것에 하나 더 보태면 소음도 적죠.
25/03/19 22:17
수정 아이콘
차이 많이 납니다. 3시간 고속도로 운전해도 내릴 때 아무렇지도 않은 차가 있고 중간에 1시간마다 휴게소 들려서 다리 풀고 기지개 풀고 해야 되는 차가 있구요.
tomsaeki
25/03/19 22:52
수정 아이콘
가격보다 차량크기가 중요합니다. 같은 급이라면 고급차(스포츠말고 승차감세팅된)가 훨신 좋지요. (포르쉐 박스터, 911보다 소나타가 훨씬 편하죠)
옛날에 코롤라, 아반떼급 타고 6시간 운전하던길을, 포드500 (대형세단)타고 가니까 피로도가 눈에띄게 확 줄었던게 느껴졌었습니다.
성야무인
25/03/19 23:26
수정 아이콘
집사람 이야기는 몸에 맞는 차에 따라 달랐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경차랑,SUV 그리고 큰 세단 몰아본 바로는

시야는 SUV가 좋고 운전 편의성은 세단이 좋다고 하는데

막상 운전하기는 경차가 편하다고 하네요.
리얼포스
25/03/19 23:49
수정 아이콘
차량 종류 못지않게 운전석 세팅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허리 굽지 않게 등 뒤 받치는거랑 목 뒤 헤드레스트요.
25/03/19 23:51
수정 아이콘
스마트 크루즈 있고 없고가 엄청컸어요
김유라
25/03/20 00:09
수정 아이콘
케바케인 것 같습니다.

저는 운전이 편하다는 체감은 확 드는데, 솔직히 피곤함이 떨어지지는 않더라고요 크크크
에프케이
25/03/20 00:20
수정 아이콘
차량크기도 중요하긴 한데 고속도로 한정으로 하면 스마트크루즈 유무가 진짜 큽니다.
빼사스
25/03/20 00:30
수정 아이콘
스마트크루즈 스톱앤고가 운전 편의의 대부분인 거 같아요. 일단 발이 쉴 수 있고 자세가 편해지니까.
VictoryFood
25/03/20 02:42
수정 아이콘
스마트크루즈 짱짱
PARANDAL
25/03/20 06:20
수정 아이콘
앉은 자세가 불편하신거면 중대형차 시승해보고 고르시면 되고
정신적인 피로도가 높으신거면 스마트 크루즈 같은 주행보조 기능을 잘 활용해 보세요

저는 장거리 운전을 스트레스 없이 잘하는 편이라 테슬라 오토파일럿 써보기 전에는 오히려 더 신경쓰일거 같았었는데
막상 익숙해 지고나니 정신적 피로도가 훨씬 덜합니다
구치리
25/03/20 08:49
수정 아이콘
오래 운전하면 차 안에서 거의 움직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곤해지는데요
혹시 외제차나 고급 국산차 같은 비싼 차를 타면 운전을 오래 해도 덜 피곤한지요...?
-> 대부분 비싼차가 고급차가 더 편한데, 안그런 차도 있습니다. 벤츠 모 모델은 핸들이 정중앙이 아니라 고생스럽다는 말도 있습니다.
비싼차가 제로백등 성능을 지향하느냐(아반테N, 스팅어 등), 편안한 주행을 선호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제네시스 등)

아니면 단순한 기분일 뿐 비싼 차/저렴한 차, 소형차/대형자 사이에 피로도는 거의 차이가 없는지요...?
-> 피로도 차이 있습니다. 대부분 비싼차가, 대형차가 덜 피로합니다.

만약 비싼 차가 저렴한 차에 비해 실제로 덜 피곤하다면
비싼 차에는 좌석에 고급 자재를 썼다든지 또는 오래 앉아도 덜 피곤한 좌석 각도를 적용했다든지 또는 바닥 충격을 차단해서 그렇다든지 하는 이유가 있어서 그런 것인지 궁금합니다.. @@
-> 잘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승차감을 위한 비싼차일 수록 충격 흡수를 위한 부품의 재질과 성능이 다릅니다(서스펜션 세팅, 토션바/멀티링크 등)
거기에 흡음제와 흡진제를 더 많이 넣어 소음 진동이 덜 전달되고 차의 휠베이스가 길수록 차의 승차감이 상승한다고 합니다.
대신 부품 가격 상승과, 무게로 인한 연비 하락은 피할 수 없습니다.
뽕뽕이
25/03/20 09:02
수정 아이콘
1억까지는 가격과 성능이 비례한다 생각합니다.
25/03/20 14:36
수정 아이콘
17년식 쏘렌토 타다가 25년식 카니발 몰아봤는데 확실히 운전 피로도가 줄어드는게 체감이 되더군요
김꼬마곰돌고양
25/03/20 15:28
수정 아이콘
차종마다 달라요.

페라리는 승차감 자체는 먼거리 운전에 불리합니다. 하차감은 좋겠지만..
그래서 GT 계열을 따로 만드는거기도 하고
율리우스 카이사르
25/03/20 15:45
수정 아이콘
꼭 가격에 비례하는것은 아니지만..

자동주행 기능 / 오토홀드 / 기어여부 / 진동,소음 잡는거 / 급가속,급정거 여부 / 차의 무게 / 차체의 높이 / 차체의 길이 / 바퀴의 크기 / 타이어 품질... 마이바흐에 들어있는 MagicBodyControl / 에어서스,가변서스펜션 / 시트의 품질 / 시트 안마기능 / 시트 커스터마이제이션 옵션 .. 이런것들이 다 피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고.. 보통은 비싼게 비싼값을 하니.. 흐흐.. .. 그리고 운전자 세팅이냐 상석 세팅이냐 뭐 이런것도 있고..

저 개인적으로는 위에 말씀드린 마이바흐 뒷자리 얻어탄거랑.. 신혼여행에서 리무진 뒷자리 탔던게 제일 좋았고.. 제가 몰아본 차중에는 .. 에쿠스 V500이 좋았었네요... 그이상은 잘 못몰아봐서.... SUV는 기본적으로는 저는 승차감이나 피로도 면에서는 세단에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지바겐 렌트해봤는데.. 가변서스(자동 서스) 기능이 있는 차였는데도 승차감이 좀 힘들더라고요 저는..)
25/03/20 16:47
수정 아이콘
비썬 차도 좋긴 하지만 경험상 잔진동이 거의 없고 소음이 많이 줄어드는 전기차가 피로도는 더 줄어드는 거 같습니다. 고작(?) 3천만원대 전기차 타고 있습니다만...
25/03/20 22:06
수정 아이콘
헛 드드드 감사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154 [질문] 영어 실력 향상시키는 방법 [4] 싸구려신사1439 25/03/27 1439
180153 [질문] 삼성페이용 갤럭시중고폰을 하나 쓰려고 합니다. (알뜰폰관련) [12] 휴울1448 25/03/27 1448
180152 [질문] 제목이 도저히 기억이 안나서 질문합니다.(드라마? 웹툰?) [1] 목민심서2529 25/03/26 2529
180151 [질문] 현장뛰시는분들 혹시 공구청소기(디월트 보쉬 등등) 성능좀 알수 있을까요? [3] backtoback2252 25/03/26 2252
180150 [질문] 샤넬 장지갑이 진품일까요? [4] 큐알론2943 25/03/26 2943
180149 [질문] 이번 PSN 할인게임 구매 고민입니다 [7] RED2649 25/03/26 2649
180148 [질문] 와우 유저가 데피아즈단을 모르는것을 스타1이나 롤로 비유하면 뭘까요? [63] 아리아4174 25/03/26 4174
180147 [질문] 이번 산불이 동해안 원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나요? [8] 독서상품권3062 25/03/26 3062
180146 [질문] 손톱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이 있을지요...? [11] nexon2946 25/03/25 2946
180145 [질문] 스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영혼2396 25/03/25 2396
180144 [질문] 쿠팡광고 납치 막는방법있나요? [9] 방구차야2500 25/03/25 2500
180143 [질문] 옛날 오락실 고전게임 트윈 코브라 질문입니다. [3] 해피시티1881 25/03/25 1881
180142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1] 팀쿡1534 25/03/25 1534
180141 [질문] 다음 중 가장 꾸진(?) 컴퓨터를 골라주세요! [12] bifrost1559 25/03/25 1559
180140 [질문] 격투게임을 배워보려면? [8] 카오루1179 25/03/25 1179
180139 [질문] 컴터 새로사고 블루스크린이 자꾸 뜹니다 (이벤트 로그 첨부) 추가 오류화면 [6] BK_Zju1101 25/03/25 1101
180138 [질문] 그로우 위드 구글(Grow with Google) 강의 들어보신 분 계신가요? 세이밥누님888 25/03/25 888
180137 [질문] 구글맵에서 네비 원래 안 되었나요? [7] 나를찾아서1370 25/03/25 1370
180136 [질문] 홍역 예방접종 질문드립니다 [3] 불쌍한오빠1528 25/03/25 1528
180134 [질문] 오사카 여행 일정 + 유니버설 스튜디오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에이치블루1941 25/03/25 1941
180133 [질문] 모바일 유튜브 광고가 어떤폰에선 뜨고 어떤폰은 안뜨네요 [3] 데비루쥐1878 25/03/25 1878
180132 [질문] 스타크래프트 방제에 붙는 전화모양 아이콘은 무슨뜻인가요? [2] 모아2657 25/03/24 2657
180131 [질문] 베트남 다낭 여행 문의 드립니다 [6] PENTAX2001 25/03/24 20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