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11/06 22:51:48
Name 어빈
File #1 e9585e36620fc52d2cc4c22fc05eef37.jpeg (128.2 KB), Download : 11295
Subject [LOL]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수정됨)


이걸 자게에 써야 하나 겜게에 써야 하나 고민했지만
데프트와 연관이 있어서 겜게에 쓰려 합니다. 
아래부터는 반말체로 작성하려 합니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이런 소년만화 대사와 같은 말이 어디에서 내 마음에 울림을 주었을까?

작년부터 시작한 이직준비가 면접만 10번 넘게 탈락하면서 마음의 상처를 많이 입었던것 같다.
처음 몇번이야 경험이라고 생각했지만 탈락이 두자리수가 되어가고 느낌이 좋았던 가장 최근의 면접도 결국 최종탈이라는 결과를 받았다.
이정도 되니 이쯤했으면 되지 않았을까? 나는 나름 열심히 한것 같은데 이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이러한 마음을 먹고 이제 여기서 말뚝 박고 있는 회사에 충성하며 살아야겠다라고 마음 먹은게 당장 저번달이 었다.

DRX라는 팀이 있었다.
2020년도에 참 좋아했었는데 팀 멤버가 박살이 나버렸다.
그러고 잊고 있었는데... 데프트가 다시 돌아 와서 롤드컵에 갔단다.
요즘에는 잘하나?
죄다 역배당이다. 우승 확률 배당이 34.00 ... 이게 말이고 방구야. 조별리그는 올수 있나?
그리고 저런 기사를 보았다. 로그전에서 패배하고 였다.
'RGE전 패배는 괜찮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이걸 보고 나니 내마음에 어느 부분이 간질거리기 시작했다. 
모르겠다 기분이 이상했다. 
말이야 맞는 말이지 마음이 꺾이지 않는거 중요하지. 그게 되나? 당장 지면 짐싸고 집으로 가는데?
이걸 정말 보여줄수? 증명할수 있겠니?
경기를 챙겨보기 시작했다.

8강 2경기 그러한 상황에서도 너희는 마음이 꺾이지 않니?
다음 경기가 손에 잘 잡히니? 
패패승승승.
이떄도 너무 뭉클했다. 정말 여기서 마음을 다잡고 게임을 하는 것 자체가 너무 대단했으니까

4강. 올해 한번도 이겨보지 못한 젠지를 이길때 까지도
어어? 정말? 했었다.

오늘 결승.
좋았던 3경기를 넘겨주고 말아먹었을때...
나는 또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이정도면 충분히 대단하지 않나? 플레이인부터 와서 2등인데. 준우승인데 이정도만 해도 충분하지 않나?'
.....
4경기는 볼수 없었다. 여기서 끝인거 같았으니까.

30분정도 후에 게시판에 다시 들어왔다. 
T1우승 글이 올라왔나? 아직 없다.
그러면 5세트인데...
내가 안봐서 이긴거 같다. 무슨소리야... 그런거 아무 상관 없어.
이팀에 올해 마지막은 지켜보고 마무리하자. 그 끝이 어떠한 결과로 다가오더라도.
다시 경기를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왜 내가 눈물이 다 나는지 모르겠다. 나이가 들면 눈물이 많아져서 그런것 같다.

다시 이직준비를 하고 있다.
처음 준비했던 이유를 까먹고 있었던것 같다.
계속된 실패 혹은 패배에 마음이 꺾여있었던 것 같다.
그들이 고맙다. 증명해줘서. 물론 나는 안될수도 있겠지만 다시 시작해보려 한다.

나중에 데프트가 직접 그런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그게 뭐가 중요한가? 이미 내 마음에 울림을 주었는데...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게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6-18 11:3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라 안티포바
22/11/06 22:54
수정 아이콘
정말, 현실이 만화보다 더 만화같았습니다.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라는걸 완벽하게 증명했어요.
저는 데프트의 팬이긴 하지만, 그건 데프트 개인팬이 아니라, LCK팬으로서 LCK레전드에 대한 팬심같은 것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승전 내내 울고 웃고 하다가, 마지막 우승 확정되고 데프트 생각에 눈물 펑펑 쏟았습니다.
22/11/06 23:51
수정 아이콘
보는 저도 믿기 어려웠는데 당사자는 어땠을지.. 정말 대단합니다.
22/11/06 22:57
수정 아이콘
[나중에 데프트가 직접 그런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그게 뭐가 중요한가? 이미 내 마음에 울림을 주었는데...]

이부분이 저도 진짜 마음을 울리더라구요. 저도 좀 더 힘내보려 합니다. 우리 힘내봐요.
22/11/06 23:52
수정 아이콘
우리 힘내봐요!
이경규
22/11/06 22:57
수정 아이콘
못보신분들도 의외로 많네요
22/11/06 23:53
수정 아이콘
안봐야 이기는 징크스 다들 있지 않으신가요? 전 그렇습니다. 흑.
Winterspring
22/11/06 23:03
수정 아이콘
[패배는 괜찮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제 카톡 알림말이랑 배경을 저렇게 바꿨습니다.
저도 인생의 힘든 시기를 지나는 중인데, 정말 큰 힘과 위로를 받았네요.
22/11/06 23:53
수정 아이콘
머랄까요. 저도 위로를 받았다는 말이 맞을것 같습니다.
튀김우동
22/11/06 23:03
수정 아이콘
저도 계속 도전하던 것에 부딪히고 최종에서 자꾸만 넘어질때마다
'이젠 그만하자. 고생했다. 그만할래. 이만하면 됐지.' 라고 스스로 자기위안을 삼았었습니다.
이런 제 나약한 마음에 오늘 DRX의 우승과 데프트의 인터뷰는 큰 울림을 주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22/11/06 23:55
수정 아이콘
이만하자.. 이생각을 정말 많이 했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도 한번 끝까지 가보고 싶네요. 되든.. 안되든..
데프트
22/11/06 23:06
수정 아이콘
오랜 솔랭1위의 인정받던 실력자
삼성블루의 EDG의 킹존의 1인군단
kt에서의 슈퍼팀 막내에서부터
DRX의 정신적 지주 맏형까지
항상 멋있었어요.. 팬이라서 행복합니다...
22/11/06 23:18
수정 아이콘
혁규형?
22/11/06 23:56
수정 아이콘
행복이라는 말이 참 좋네요. 오늘은 행복한날이네요.
Kubernetes
22/11/06 23:19
수정 아이콘
경기 못봤습니다, 볼때마다 지는 것 같아서..
DRX글,불판 모두 댓글을 달지 않았습니다, 설레발 같아서..
너무 기쁩니다..
역체원으로써 뱅을 넘었나? 커리어가 아래인걸 부정하지 않습니다.
한체원으로써 모두를 찍어눌렀나? 올 한해 퍼포먼스가 더 좋은 원딜이 많은걸 부정하지 않습니다.
전무후무한 기록인가? 앞으로 룰러,구마유시 등 더 젊고 치고올라오는 원딜들이 넘을 가능성 높은 커리어라는걸 부정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성실하고, 모범적인 선수가 최고의 보상을 받은 것 같아 너무나도 기쁘네요.
22/11/06 23:58
수정 아이콘
제일 잘하는 팀은 아닐지언정 2022 롤드컵 최고의팀이네요.
지켜보고있다
22/11/06 23:35
수정 아이콘
이 글 보고 기사를 찾아보니
원전이 있네요
쿠키뉴스의 문대찬 기자 인터뷰 였군요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210090010
본문에 유튜브 링크도 있네요.

저도 어빈님과 같은 감상입니다.
케리아와 페이커, 티원 선수들의 모습들
DRX선수들이 끊임없이 갈망한 결과 우승하는 모습
일개 직장인인 저에게도 큰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데프트 선수가 경기직후 인터뷰에서 이런 얘기를 하더라구요
“내가 잘하는 거라곤 이것 뿐인데, 정상에 설 수 없다면 다른 어떤 것을 잘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으로 임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최근에 비슷한 생각을 했다가 도전도 하기 전에 [난 안될거야 아마] 쪽으로 쉽게 포기했는데요.

살아오며 이런 도전적인 행위들을 피해왔던 것들이
위의 문대찬 기자가 가세한 데프트 스토리텔링에 크게 얻어맞고 곱씹게 되는 원인이 아닐까 합니다.

저도 lck 챙겨보지 않는 사람이고 조별리그부터 봐왔는데.. 스포츠라는 것이 그 경계를 넘어 보는 사람에게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라는 걸 깨닫게 해준 월즈였습니다.

페이커 선수 내년엔 꼭 우승하고 또 다른 전설을 써내려갔으면 좋겠습니다
22/11/07 00:01
수정 아이콘
마음이 꺾인다는게 참 힘든것 같습니다. 그것을 이겨내는 것은 더 힘들고요. 그래서 더 대단한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페이커 차례지요!
쿼터파운더치즈
22/11/06 23:54
수정 아이콘
진짜 22 DRX를 관통하는 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 말이 DRX를 더 극적이고 드라마틱하게 만들었어요
호랑호랑
22/11/07 02:32
수정 아이콘
이 말이 이번 월즈 그 자체 같아요. 그리고 인터뷰에서 진짜 언급함으로써 수미상관을 완성 크크
태정태세비욘세
22/11/07 05:44
수정 아이콘
키움 히어로즈 선수들에게 꼭 전달됐으면 하는 말이네요
송성문 보고있나?
김하성MLB20홈런
22/11/07 08:40
수정 아이콘
송가놈은 미친 멘탈이라 괜찮고 유리멘탈인 혜성이에게 해주고 싶은 얘깁니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고...
페스티
22/11/07 10:00
수정 아이콘
2경기였나 4경기였나... 경기 도중에 분명히 DRX가 위축된 순간이 있었습니다. 시야조차 잡지 못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기회를 잡고 해냈죠. 강타 싸움도 계속 지고 바론도 스틸당하고. 하늘이 DRX의 우승을 원하지 않는건가? 싶은 순간도 있었지만 굴하지 않고 끈질기게 버텼기에 결국 우승컵을 들어올렸죠. 저는 이제 리얼월드로 돌아오지만 그들이 저에게 준 영감을 허무하게 휘발시키지 않고 힘내서 또 일상을 살아보려고 합니다. 어빈님도 화이팅입니다!
22/11/07 11:14
수정 아이콘
[중꺾마]

많은 사람들에게 올해의 한 마디가 되겠네요. 저 포함.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22/11/07 12:18
수정 아이콘
마요한것은 중기지 않는 꺽음
영어로 언브로큰이 맞나 싶어 검색해보니
Indomitable Spirit, Indomitable Will 불굴의정신, 불굴의의지란 단어가 있네요. 영단어 하나 습득..
22/11/08 20:13
수정 아이콘
저랑 '꺾이지않는 마음'을 만났을때 처해있던 상황이 거의 같으시네요. 저도 이 말을 듣고 굉장히 힘을 얻었습니다. 전 작년에는 윤하의 오르트구름을 듣고 위로를 받았어요. 어빈님도 저도 꺾이지말고 끝내 이겨냈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24 르세라핌의 antifragile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14] 포졸작곡가3159 22/11/25 3159
3623 토끼춤과 셔플 [17] 맨발3097 22/11/24 3097
3622 [LOL] 데프트 기고문 나는 꿈을 계속 꾸고 싶다.txt [43] insane3269 22/11/21 3269
3621 나는 망했다. [20] 모찌피치모찌피치3157 22/11/19 3157
3620 마사지 기계의 시초는 바이브레이터?! / 안마기의 역사 [12] Fig.13068 22/11/18 3068
3619 세계 인구 80억 육박 소식을 듣고 [6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968 22/11/14 13968
3618 [테크 히스토리] K(imchi)-냉장고와 아파트의 상관관계 / 냉장고의 역사 [9] Fig.112203 22/11/08 12203
3617 [LOL]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25] 어빈12353 22/11/06 12353
3616 [LOL] 좌절감이 사나이를 키우는 것이다 [39] 마스터충달12151 22/11/06 12151
3615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6] 물맛이좋아요12899 22/11/05 12899
3614 사진다수) 1년간 만든 프라모델들 [27] 한국화약주식회사13231 22/11/05 13231
3613 야 너도 뛸 수 있어 [9] whoknows12603 22/11/05 12603
3612 [바둑] 최정 9단의 이번 삼성화재배 4강 진출이 여류기사 최고 업적인 이유 [104] 물맛이좋아요12985 22/11/04 12985
3611 이태원 참사를 조망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론장은 가능한가 [53] meson12192 22/11/02 12192
3610 글 쓰는 걸로 먹고살고 있지만, 글 좀 잘 쓰고 싶다 [33] Fig.112179 22/11/02 12179
3609 따거와 실수 [38] 이러다가는다죽어13052 22/11/02 13052
3608 안전에는 비용이 들고, 우리는 납부해야 합니다 [104] 상록일기13258 22/10/30 13258
3607 술 이야기 - 럼 [30] 얼우고싶다12190 22/10/27 12190
3606 [테크히스토리]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셋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은? [16] Fig.111999 22/10/19 11999
3605 어서오세요 , 마계인천에 . (인천여행 - 인트로) [116] 아스라이12260 22/10/21 12260
3604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59] 김은동13190 22/10/21 13190
3603 술 이야기 - 위스키 어쩌면 1편? [80] 얼우고싶다12421 22/10/18 12421
3602 [과학] 2022 니콘 작은세계 사진전 수상작 소개 Nikon Small World Competition [17] AraTa_PEACE12037 22/10/17 120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