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05/10/20 12:53:49 |
Name |
sylent |
Subject |
[sylent의 B급칼럼] 박지호와 오영종, 프로토스 쌍생아의 탄생 |
[sylent의 B급칼럼]은 월드컵보다 스타리그를 좋아하며, 지루하기 짝이 없는 물량전 보다는 깜짝 아이디어가 녹아있는 ‘올인’ 전략에 환호하는 sylent(박종화)와 그에 못지않게 스타리그를 사랑하지만, 안정적인 그리고 정석적인 플레이 스타일이 정착되는 그날을 꿈꾸며 맵과 종족의 밸런스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강조하는 왕일(김현준)이 나눈 스타리그에 대한 솔직담백한 대화를 가공해 포장한 B급 담론이다.
[sylent의 B급칼럼] 박지호와 오영종, 프로토스 쌍생아의 탄생
테란의 ‘FD' 전략과 프로토스의 ’수비형 프로토스‘, <815>와 <알포인트> 그리고 ’투신‘ 박성준 선수의 부진이 복잡하게 맞물린 <SO1 2005 스타리그>는 결국 ’임요환 vs 박지호‘, ’최연성 vs 오영종‘이라는 테란과 프로토스의 대결로 4강을 맞이하게 되었다. 전승 우승의 가능성을 한껏 뽐내며 왕의 귀환을 시도하고 있는 임요환 선수의 기세도, 주춤했던 발걸음에 속도를 붙여 정점을 향해 내달리는 최연성 선수의 질주도 쉽게 멈출것 같지 않은 분위기 속에, ’물량 그 이상의 물량‘으로 이병민 선수와 서지훈 선수를 끌어내린 박지호, 오영종 선수에게서 희망의 단서를 찾아내려는 프로토스 팬들의 마음을 읽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이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박지호 선수와 오영종 선수가 소환한 수많은 질럿, 드래군들이 달려드는 것처럼.
문제의 FD, 운영이 아닌 빌드
‘투신’ 박성준 선수가 홍진호 선수보다 더 얇고 깊은 날카로움으로, ‘운영의 마술사’ 박태민 선수가 조용호 선수보다 더 두텁고 넓은 여유로움으로 저그의 르네상스를 꽃피웠을 때, ‘몽상가’ 강민 선수가 맵과 자원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지우고 수비형 프로토스로 저그 플레이어들을 극한의 상황을 몰아갔을 때 우리는 대안으로서의 ‘운영’이 각 종족의 현재를 더 나은 미래로 개선시킬 것이라 믿었다. 하지만 박성준 선수와 박태민 선수의 급격한 체력 저하와 동시에 FD의 유입이 본격화 되면서, 다시 한 번 맞게 될 테란의 전성시대에 대한 마음의 준비가 요구되고 있다.
FD라는 전략 하나로 스타리그의 판도가 크게 영향을 받는 이유는 FD가 ’빌드‘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모든 저그 혹은 프로토스 플레이어가 박성준 선수와 박태민 선수 그리고 강민 선수의 ’운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체화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한 반면, FD는 더욱 강력한 건담러시 그리고 더욱 안전한 1팩 멀티 가운데 즈음에 존재하는 ’빌드‘이기에 대부분의 테란 플레이어들이 어려움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프로토스 쌍생아의 탄생
저그가 멸종한 오늘, 야성과 지성이 공존하는 프로토스의 쌍생아가 테란의 독점을 향해 반기를 들었다. 경기를 보다 보면 저절로 정신착란 증세에 도달하게 되는, 향정신성 물량의 진수를 아낌없이 펼치고 있는 박지호 선수와 오영종 선수는 프로토스의 미래를 기대하게 만드는 힘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자꾸만 과거를 복기하게 만드는 힘 또한 갖고 있다. 더 빠른 타이밍에 더 많은 물량으로 더 자주 몰아치면 승리할 수 있다고 믿는 두 선수는, 새로움을 포용하면서도 늘 탄탄한 베이스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2002 SKY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주인공, ‘영웅’ 박정석 선수를 떠오르게 한다.
박지호 선수와 오영종 선수의 등장 이전에, 2게이트로 시작해 테란과 동시에 멀티를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대등한 혹은 우세한 지상전을 펼칠 수 있다는 생각을 한 사람은 없다. 그동안은 테란의 FD가 프로토스의 2게이트를 강제하였지만, 이제는 오히려 프로토스의 2게이트가 테란의 첫 타이밍을 제압하는(실제로는 탱크의 수를 줄이는) 이상하고 신기한 만화경의 세계를 우리는 바라보고 있다. 그렇게 고정관념을 파괴하고 비상식적으로 프로토스의 본질을 빗겨간 운영에 접근하는 박지호 선수와 오영종 선수의 스토리는 팬들로 하여금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만든다.
물량 지상주의로 무장한 두 선수가 동시에 <SO1 2005 스타리그> 4강에 안착했다는 것은 프로토스의 패러다임이 다시 한 번 ‘물량’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모든 흘러가는 것들은 다시 되돌아오고, 되돌아온 모든 것들은 다시 흘러간다. 전략도, 운영도 마찬가지 이다. 박정석 선수가 걷잡을 수 없는 물량 공세로 프로토스를 왕좌에 올린 것처럼, 측면 시야를 가린 말처럼 앞만 보고 내달리는 박지호, 오영종 선수의 내일도 정상에서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815>와 <알포인트>를 극복해야
<네오포비든존>에 비해 <815>가 프로토스에게 더욱 불편한 이유는 가스 자원이 모조리 섬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테란은 자원을 섬맵처럼 수급하고, 전투는 수송선 겨루기와 지상 힘 싸움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프로토스가 다수의 드랍십으로부터 멀티를 안전히 지켜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템플러가 필요하고, 이는 캐리어 생산의 지연을 의미한다. 늦은 캐리어 운용은 업그레이드에 충실한 골리앗의 지상 장악 앞에서 무력할 수 밖에 없다. <알포인트>도 테란에게 우호적이기는 마찬가지이다. 맵을 아우르는 구조물들이 복잡한데다 넓지 않아서 프로토스의 지상전을 방해함과 동시에 캐리어의 운용을 원천봉쇄하고 있다.
각각 <815>와 <알포인트>에서 두 경기를 치러야 하는 박지호, 오영종 선수에게 임요환 선수와 최연성 선수의 이름이 갖는 무게는 남다르다. 우연히도, 비교적 유사한 스타일의 두 프로토스 플레이어가 비교적 다른 스타일의 두 테란 플레이어를, 비교적 불리한 맵 앞에서 마주하고 있다. <SO1 2005 스타리그>를 지켜보고 있는 모든 프로토스 팬들은 이 우연이 주술적인 힘을 발휘하기를 바라고 있다.
by sylent, e-sports 저널리즘.
* homy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10-24 17:46)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