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6/04/11 08:47:57
Name netgo
Subject 미국 실리콘 밸리 - 첫 이야기 - 정리해고, 퇴직
정리해고

정리해고. 섬찟한 이야기이지요. 자기가 원해서 회사를 퇴직하는것이 아니고, 어느날 갑자기 회사에서 '너 나가라 우리는 너 더 이상필요없다' 이런다면 섬찟하지요. 한국에서도 고용유연성이니 해서 말들이 많은데요. 그 고용유연성이 가장 잘 확보되어 있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정리해고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아침에 출근을 합니다. 매니저가 자리로 찾아오지요. 별일없니? 잘살어? 그러면서 자기 오피스에 가서 이야기좀 하자 그럽니다. 그래서 따라가보면 Human resource (인사과)에서 한명 나와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야기는 시작입니다. 불행하게도, 회사가 어려운 환경에 쳐했기 때문에 어쩌구 저쩌구. 그리고 너는 정리해고 되었다라고 통보합니다. 그리고 인사과가 서류한장 내놉니다. 그자리에서 싸인하라고요. 한국의 경우 해고나 퇴직시 퇴직금이란게 있읍니다. 그러나 미국 대부분의 회사는 한달치 월급, 혹은 두달치 월급을 해고시 지불합니다. 퇴직시에는 아무것도 없고요. 그 싸인하라는 종이쪽지는 그 한달치 월급을 받고 나는 이 회사 나간다 그런데, 나가서도 회사기밀을 지킬것이며 어쩌구 저쩌구 뭐 그런 종류입니다. 그거 싸인안해도 상관없지만, 그대신 한달치 월급을 못받게 되지요. 그럼 싸인합니다

싸인후 자리로 돌아옵니다. 매니저가 따라옵니다. 거기서 짐을 싸야합니다. 매니저는 무엇을 싸는지 감시합니다. 컴퓨터에 좋아하는 여자애가 보낸 편지나 사진같은게 있어도, 그거 가져나올수 없읍니다. 왜냐면 철저히 개인 사물 이외에는 다 회사 소유니까요. 컴퓨터 안의 내용도 회사소유 입니다. 짐 다싸고, 회사 뱃지 반납하고 나면, 매니저가 정문까지 안내합니다. 혹시 중간에 어디로 샐까 걱정하는거죠. 그리고 그정문을 나서면, 그 회사와는 빠이빠이가 된것입니다. 아침에 매니저가 자리로 찾아와서부터 정문나가기 까지 한시간정도 걸립니다.

정리해고 당한후 직장의료보험은 한달간 유효하며, 만약 팔수 있는 스탁옵션이 있을경우 한달안에 다 팔아야 합니다. 아니면 회사가 다시 가져갑니다.

퇴직

퇴직은 그래도 좀 나은편입니다. 보통 통상적으로 퇴직시 약 2주전에 매니저에게 알립니다. 그러면 면담을 하게되지요. 왜 그러니? 뭐가 문제니? 붙잡아야 될사람 같으면 그 면담이 좀 길어지기도 하지만, 나가겠다는 사람 붙잡는다고 안나가겠읍니까? 그러면 일에대해서 이야기 하게 되지요. 지금 하는일이 뭐고 뭐니까. 뭐는 어떻게 끝낼것인가? 어떤것은 어떻게 인수인계 할것인가  계획만듭니다. 그리고 나면 인사과에서 exit interview를 하게 됩니다. 한국의 소원수리라고나 할까요.  그리고 2주지나면 역시 빠이빠이 입니다.

퇴직후 퇴직금은 없고, 직장의료보험은 당장 정지되면, 스탁옵션은 정리해고의 경우와 같습니다.

환송회. 실리콘밸리에서 회식문화란건 없읍니다. 팀에서 그래도 인기 있었으면, fairwell lunch (안녕 점심)을 같이 먹지요. 보통 퇴직후 날짜가 잡히면 다 같이 점심먹으러 갑니다. 점심값은 퇴직자 제외하고 점심값 나누기 참가자 해서 부담합니다.

싸늘한 내용을 썼더니 문체도 싸늘해지는것 같네요. 댓글 보고 궁금해하시는 분이 계시면 실리콘밸리 다른것도 소개해 드릴게요.

오늘의 피지알러들을 위한 영어공부

lay off - 정리해고 - (I've got laid off : 나 정리해고 당했어)
resignation - 퇴직 - (letter of resignation : 퇴직서)
human resource - 인사과
welcome lunch - 신입사원 환영 점심
fairwell lunch - 환송 점심
stock option - 입사시 주게되는, 자회사 주식을 정해진 수와 가격에 그리고 정해진 시기에 살수 있는 권리
FTO - flexible time off - 휴가
severence - 정리해고시 주는 한달치나 두달치 월급을 뜻하는 말






* 천마도사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4-12 23:41)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06/04/11 09:21
수정 아이콘
실리콘 밸리에 계신가 보네요. 제 첫 직장이 실리콘 밸리 쪽에 본사가 있는 미국 회사라 저도 미국 본사 트랜스퍼를 생각했었지요.
처음에 트랜스퍼 할 경우 받는 연봉 듣고는 한 번 노려 봤는데 나중에 세금이랑 집세의 무시 무시무시 함을 알고 보니 빚 좋은 개살구인지라 포기해 버렸습니다.
연봉 7-8만불 받아도 텍사스에서 4만불 받는 것 보다 생활 수준이 못 하다고 하더군요.
물론 연봉이 10만 불이 넘으면 괜찮다고 하긴 하던데.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미국 회사가 사람 자르는 건 인정 사정 없지만 시스템을 제대로 갖춰주고 일 시키는 건 좋더군요.
아무튼 실리콘 밸리에 계시다니 한 편 부럽기도 하고 나름대로 힘든 일도 많으실 것 같기도 하네요. 건승하시길 빕니다.
06/04/11 09:47
수정 아이콘
어디 쪽에 있으시죠? 전 예전 Fremont 에 1년 정도 있었는데...

그 당시 그쪽 경기가... 바닥을 치고 있었죠...
06/04/11 10:09
수정 아이콘
실리콘밸리 출장가서 들은 현지 한국 엔지니어의 얘기와 똑 같네요.
몇번 출장가다보니 미국 엔지니어 연봉과 생활수준에 막연한 동경이 있었는데, 현지의 적나라한 얘기를 들으니 제 취향이 아니라는 판단이 딱 들더군요. 생활 수준, 연봉(세금떼고)은 한국과 비슷하고, 업무 강도는 타이트하고, 대신 개인 생활이 자유롭고, 확실한 장단점이 있죠.
전 장점으로 좋은 주거환경(현지 사람들은 기후가 좋다고 하더군여), 자녀 교육문제(영어~!)를 들고 단점으론 너무 삭막하다는 겁니다.
가족하고만 타국에서 버틸 자신 있으면 도전해볼만하다고 합니다.
The Drizzle
06/04/11 11:04
수정 아이콘
아, 영단어 상당히 도움되었습니다.^^
The xian
06/04/11 11:28
수정 아이콘
정리해고... 꽤 많이 봤습니다.-_-;;

한번에 50명이 - 그것도 제가 가르치다시피 한 직원들이 - 잘려나가는 것도 봤던 저로서는 정말 저 이야기 와닿는군요.
(문제는 그때 50명들은 위 사례에서 주어지는 한두달치 월급도 받지도 못하고 퇴직했다는 거지만...)
IntiFadA
06/04/11 11:56
수정 아이콘
음....

실리콘 밸리와는 별 상관없지만... 그래도 일종의 IT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흥미진진하네요.
가끔 실리콘벨리 이야기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래봐야 보답해드릴건 없겠지만...

"netgo의 실리콘밸리 통신" GoGo~!! ^^
항즐이
06/04/11 12:31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0+
실리콘밸리 통신 고고~
06/04/11 12:39
수정 아이콘
정말 유용한 글이었습니다. ^^
제 지인 중 한 분도 실리콘 밸리에 있는데.. 저런 식이라더군요;;
06/04/11 12:5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
06/04/11 14:55
수정 아이콘
용용님, 고맙습니다.
lovehis님, 저는 MountainView 살다가 작년에 San Jose로 이사했답니다

아 그리고 여러분들 댓글 고맙습니다. 생각나는대로 실리콘밸리 통신 고고 하겠읍니다. 다음번에는 채용에 대해서 한번 써볼라구요
김치원
06/04/22 20:54
수정 아이콘
Apple社에서 인턴을 했었습니다.
제 생각으로 제가 일할 때보다 한 4배 정도 몸집이 커진 것 같습니다.
저 같으면 지금 직장(삼성전자)에서 계속 일하는 것이 더 나은 것
같습니다. 솔직히. 키 디바이스 없이 CEO의 창의성만으로 혁신 기업이
되었습니만, 미래는 불투명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조직 분위기 자체가 한국인은 '절대' 안 맞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28 스갤에서 가져온 어떤 꾸준글. [51] 폭풍검12663 06/04/30 12663
727 YANG..의 맵 시리즈 (7) - Keeper [14] Yang5866 06/05/05 5866
726 예전에 올렸지만 새로운 맵발상 [31] 1a2a3a4a5a6757 06/05/02 6757
725 테란 계보 VS 한국 바둑의 계보 [126] 주먹들어가는 13471 06/04/30 13471
724 벨런스 붕괴 2대 요인 [61] 김연우9916 06/04/30 9916
723 8153 테란도 가스가 필요하다 [50] 체념토스7076 06/04/30 7076
722 공격이 최선의 방어다.. (염보성 선수 응원글) [35] Den_Zang5256 06/04/30 5256
721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63편 [22] unipolar5689 06/04/29 5689
720 정말 멋진 스승과 제자, 그리고 나 [8] Timeless7163 06/04/29 7163
719 나의 프로리그 예상도. (3)변수와 기세는 영웅의 종족 프로토스로부터. [12] 시퐁6000 06/04/28 6000
718 나의 프로리그 예상도. (2)저그의 시대, 높은 승률을 위해선 그들이 필요하다. [19] 시퐁7514 06/04/26 7514
717 e스포츠에도 경영철학이 필요하다! [7] 외로운할요걸5059 06/04/26 5059
716 칭찬합시다 [14] Timeless5954 06/04/26 5954
715 나의 프로리그 예상도. (1) 우승, 강력한 테란을 보유하라. [31] 시퐁8053 06/04/26 8053
714 YANG..의 맵 시리즈 (6) - Holy Wars [20] Yang6327 06/04/25 6327
713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62편 [22] unipolar6011 06/04/23 6011
712 [숙명의 사슬] 프로토스의 대저그전 [31] Zera_6806 06/04/23 6806
711 815 3 7시 지역 입구의 문제점입니다. [35] 정지연8216 06/04/22 8216
710 내맘속의 해태 - 최연성 [25] 글레디에이터6729 06/04/22 6729
709 舊4대토스, 新4대토스 비교하기 [17] ROSSA8641 06/04/21 8641
708 프로토스의 한(恨), 그리고 Nal_ra [35] Zera_8792 06/04/21 8792
707 이영표선수 이야기... [14] 이의용6792 06/04/21 6792
706 조금 늦은 관전기] 제우스의 벼락과 아이기스는 아직 부러지지 않았다... [20] Wayak6757 06/04/19 67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