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08/09 20:55:15
Name 빵pro점쟁이
Link #1 본인
Subject [연예] [골때녀] 싹~ 다! 발라 발라 드림!!!

PsNZZmr.jpg
중의적 의미를 담은 의도적인 팀명과
기분 나쁜 빨간 입술의 팀 엠블럼


IcqXBU9.jpg
싹~ 다! 발라 발라 드림!!! 도발적인 팀 구호와
☞움짤 5.94mb

nX1kGyu.jpg
대놓고 목 긋는 세레모니(하지만 귀여움)
☞움짤 2.81mb





발라드림은 시즌2 끝나고 탄생한 신생팀이었습니다


uw1i9lH.jpg
1BUl9bU.jpg
발라드림? 무슨.. 잼도 아니고


기존팀 팬들에게 반감을 살 요소들로 똘똘 뭉쳐 어그로를 끄는 바람에
발라드림은 창단 초기에 안티가 많았죠

발라드 가수가 아니라거나 너무 무명 가수(일반인) 아니냐도 좋은 먹잇감이었고요

그리고 이전 시즌엔 부상자가 나와도
교체 없이 시즌 끝날 때까지 안고 갔었는데

발라드림 팀은 흔히 '구멍'이라 불리는 잘 못하는 선수들을
부상이나 개인 일정 등의 사유로 시즌 중 차례차례 교체 해주어
제작진이 밀어주는 거 아니냐 의혹도 받았습니다


52MKjmO.jpg
부상이나 스케쥴로 시즌 중 자진 하차하는 전멤버들
- 실은 발라드림 특혜가 아니라 이때부터 모든 팀 공통으로
시즌 중에도 부상이나 스케쥴을 적극 반영해 교체해주기 시작



출발 여론이 좋지 못했던 발라드림이
여러 논란을 잠재우고 인기 팀으로 거듭난데에는
경서+서기 선수의 콤비 플레이 역할이 컸습니다


Vy4sM4P.gif
FqtMldN.gif
스피드와 공간침투 능력이 뛰어나고, 슛팅이 센 경서 선수와
볼 키핑과 드리블 테크닉이 뛰어나고, 절묘하며 기막힌 패싱력을 갖춘 서기 선수가
호흡을 맞춰 원 투 리턴을 주고 받는
속칭 '경서기 콤비 플레이'로 리그를 폭격해버리면서
골때녀에 패스의 중요성을 알리고 새로운 바람이 불게 됩니다


발라드림은 단 몇경기만에 골때녀 수준을 뛰어넘는 콤비 플레이를 완성해
기존 팀들을 누르고 슈퍼리그(상위리그)에 입성했으며
시즌3는 발라드림 우승을 점치는 사람이 많을 만큼 기대를 모았죠



하지만...
발라드림에게는 큰 약점이 있었습니다

너무 쉽고 간단히 득점을 내는 한편
너무 쉽게 많이 실점을 한다는 것이죠

화려하고 강력한 공격으로 득점을 내지만
기막히고 어이없게 실점을 해서 결국 동점 무승부

평가전 3:3 스코어를 시작으로 리그 내내 무만 캐다가
8경기만에 국대패밀리 상대로 첫 필드승을 올릴 정도로
승복이 없었습니다(그동안은 전부 승차승)


골 폭격하며 성큼 성큼 앞서가지만 어? 어? 하다 따라잡히거나
크게 지고 있다가 악착같이 따라잡아
결국 무승부가 나오는 경기 패턴은 발라드림의 팀 칼라가 되었고

매 경기마다 골도 많이 나는데 쫄깃쫄깃 진행되다 보니까
팬이나 안티 모두 꿀잼을 인정할만큼 발라 경기는 인기 많았습니다


창단하자마자 기세 좋게 챌린지리그를 뚫고 승격해
높이 올라갈 거란 예상과 달리
발라드림은 약점을 극복 못하고 슈퍼리그에서 혹독한 패배를 거듭하며
결국 다시 챌린지 리그로 강등당하게 됩니다

발라드림이 다시 내려오게 되면서 챌리그는 비상이 걸렸고
"아니? 발라가 내려오면 너무 양학 하는 거 아니냐?"
우려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나왔죠


D1hsWMM.jpg
발라드림의 대승 10:0을 예측하는 감독, 선수들



wrBm62R.jpg
하지만 지난 시즌 탑걸을 우승으로 이끈 명장 최진철 감독은
철저히 분석하고 맞춤 저격을 준비해
신생팀으로 발라드림을 꺾는 개막전 대이변을 만들어 냅니다

k9joLti.jpg
창단한지 한달 된 생초보팀에게 완패당하는 발라드림



지도 경력이 없는 열정만땅 신임 감독 부임
골키퍼 부상으로 인한 잦은 포지션 변경
핵심 주전 수비수의 하차
경서 서기 선수의 부상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챌리그 우승 후보로 꼽히던 발라드림은 탈락 위기에 빠지고

"설마? 설마 발라가 탈락한다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lt5L38D.jpg
말.잇.못.
불과 얼마 전까지 우승후보로 거론되던 발라드림은 결국
리그 꼴지로 차기 시즌 아웃 당하는 두번째 팀이 되는 수모를 겪습니다

지난 시즌 아웃 당했던 팀은 충분히 탈락할 만한 전력이었지만
화려한 공격 축구를 구사해 리그를 휩쓸었던 발라드림의 탈락은
골수팬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죠


이번에 다행히 다음 시즌 시작 전에 SBS컵(FA) 대회가 열리면서
발라드림은 일단 공백없이 이어서 나올 수 있게 되었고
마침 골때녀 최고 명장으로 꼽히는 최성용 감독이 부임하면서
발라드림에게 명예회복의 기회가 열렸습니다

과연 이번 컵에서는 좋은 활약을 보여주어
발라드림이 탈락의 아쉬움을 달랠 수 있을지 기대해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가톤맨
23/08/09 21:20
수정 아이콘
서문탁은 투잡 뛰느라 정말 힘들었을텐데....
마이더스
23/08/09 21:24
수정 아이콘
경서기와 나머지간에 편차가 너무 큰게 문제인거 같아요.. 둘이 막히거나 부상이면 경기력이 그야말로....
탑걸 우승시즌처럼 모든 선수가 골고루 잘하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

사실 첨엔 민서선수가 좀 성장해주길 바랬는데.. 좀 더딘거 같은게 아쉽다고 할까요..
빵pro점쟁이
23/08/09 23:15
수정 아이콘
경서기가 팀 초창기부터 너무 크게 치고 나가느라 다른 멤버들 성장할 기회가 없었다고 봐야죠
민서 선수는 저도 기대 많이 했는데 골키퍼 땜방까지 하느라ㅠㅠ
23/08/09 22:01
수정 아이콘
이 글로 배운 사전 지식 덕분에 지금 방송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빵pro점쟁이
23/08/09 23:16
수정 아이콘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ㅠㅠ
23/08/09 23:22
수정 아이콘
발라드림 골 보면서
저절로 고함 질렀습니다 크크크
저게 된다고? 저 사이로 패스를 넣어?!

근데 좀 심하게 말해서
필드 플레이어가 4명이라기보다는
2+1 팀이네요.
한 분은 비중이 너무 없다시피... ㅠㅠ
본문 글이 무슨 뜻인지 바로 알겠더라고요.

사전 지식 갖고 보니 훨씬 꿀잼이었습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빵pro점쟁이
23/08/09 23:32
수정 아이콘
멋지고 화려한 득점과 어이없고 쉽게 내주는 실점은 발라드림 고유의 고질적인 꿀잼 패턴이죠 크크
아무리 그래도 오늘마저 무승부 낼 줄은 몰랐습니다
김오월
23/08/09 22:08
수정 아이콘
축구가 원래 좋은 경기력과 좋은 결과의 연관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종목인데, 골때녀의 미니축구 룰과 경기장 규격이 그 간극을 더 크게하는 측면이 있죠.
공간이 없어서 제대로 된 플레이를 이어가려면 상대보다 월등한 기량이 필요하고, 또 월등한 기량으로 좋은 빌드업을 완성해도 작은 골대 때문에 골로 이어지는데는 또 상당한 운이 필요합니다.
결국 절대적인 실력차이가 아니라면 우당탕탕 혼전 속에 터지는 눈먼 골이 승부에 너무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발라드림의 수비가 아쉬웠던 것도 있지만 저기까지 떨어진데는 운의 영향이 너무 컸던 것 같아요.
마이더스
23/08/09 22:17
수정 아이콘
골운이 없는 것도 사실이긴 한데.. 어찌보면 서기가 발라에 오버스펙이 아닐까 싶기도...
경서빼면 사실 서기의 패스를 받을만한 선수가 안보이는 것도 공격이 단조로와지는 경향이 있고..
서기가 올스타전에서는 얼마나 날라다니는지 보면 아쉽긴 하죠..

그렇다고 서기가 구척의 허경희처럼 태크니션이면서도 혼자 원맨쇼를 할 수 있을만한 수준도 아니고...
빵pro점쟁이
23/08/09 23:24
수정 아이콘
아 예리하신 분석이네요 무릎을 탁 치고 감탄했습니다
저는 경서 서기 선수가 번갈아 부상 입었던게 컸다고 생각했는데 운도 정말 없었던 것 같네요
Emas Parker
23/08/10 00:57
수정 아이콘
저도 골때녀 거의 다 봤고 확실히 성장하는 맛에 보는데.. 오늘 경기보니 발라드림은 경기 내적으로 언급할게 단 한가지도 없음. 서기가 개인기가 조금 된다고 해도 패스 받아줄 사람이 없음. 아무튼 전혀 성장하지 않음. 감독 문제도 큰거 같음.

아나콘다 조직력도 평가할게 없는데 윤태진 너무 안쓰럽게 뜀. 오정연도 실력 많이 늘었고. 이 팀은 기본기가 너무 없는데 윤태진 깡 주력 킥력 원툴임.

그리고 발라 민서랑 서문탁 기본기 제로임. 민서가 제일 문제임 볼 뺏겨도 둬에서 쳐다보며 어슬렁. 자기 방어하는 수비 아무도 없는데 냅다 아무데나 지르는 얘들은 축구 그만 해야함.
빵pro점쟁이
23/08/10 09:46
수정 아이콘
발라가 그래도 이정도는 아니었는데, 리그 탈락하고 연습 몇달 안하더니 심각하게 퇴보했네요ㅜㅜ
Emas Parker
23/08/10 01:01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에서 발라 밑천드러남. 이영표 감독이 지역 수비하니까 전혀 대응못함. 오프더볼 움직임도 없고 슈팅할 사람도 없으니 사이드에 있는 경서 서기한테 볼 줌. 못 뚫음. 그 패턴 계속 반복.
오징어개임
23/08/10 01:38
수정 아이콘
저는 계속 응 주작 둠칫둠칫 생각만 들더군요.
재밌게 보세요 전 그지같이 못하는 여축 월드컵 보렵니다.
(예능과 스포츠 차이 알고 하는 소리 맞음)
빵pro점쟁이
23/08/10 09:48
수정 아이콘
ㅠㅠ 죄송합니다
The)UnderTaker
23/08/10 17:50
수정 아이콘
근거가 뭔가요
댓글자제해
23/08/10 03:49
수정 아이콘
정대세감독이 경서를 몇달을 못뛰게 담궜어요 진짜 최악의 감독입니다
이제야 그나마 뛸만한가보더군요
그리고 서문탁 오늘경기 멘탈 아예 나갔던데요 눈이 흐리멍텅했습니다
경서말고는 다 발전이 너무 없어서 안타까운 팀입니다 피지컬도 너무나 딸리는데 말이죠
아나는.... 아나는 진짜 윤태진만 불쌍합니다
12년째도피중
23/08/10 04:5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정대세 감독은... 울면 다냐라는 생각이 안들 수가 없었어요. 그 경기는.
20분짜리 경기니까 속공속공 계속해도 될거라고 생각한건가? 그 결과가 주력들 줄부상이었죠.
빵pro점쟁이
23/08/10 09:55
수정 아이콘
경서 마저도 부상 때문에 훈련 못해서 퇴보했더라고요... 리그 탈락할 때는 충격이었는데 이제는 탈락할만 했다 수긍이 가는..
퀵소희
23/08/10 04:29
수정 아이콘
서기가 메시처럼 결정력 있는게 아니라는것이 큰듯. 결국 피지컬약한 패싱러인대 걍 피지컬좋은선수. 전담 시키면 마킹 끝이죠. 서기 아무것도 못하면 발라누구라도 바름
빵pro점쟁이
23/08/10 10:03
수정 아이콘
서기 선수가 골때녀에서 제일 체격 작은 사람 1, 2위 급이라 항상 피지컬에서 밀리는데
그래도 드리블이랑 킾이 좋아서 볼 지켜내다 수비 틈사이로 킬패스 날려주는 것보면 감탄나옵니다
윤니에스타
23/08/10 12:50
수정 아이콘
어제 아나콘다전 보니 왜 방출됐는지 알겠더라고요. 경서기만 잘 마크하면 할 수 있는 게 많이 없는 팀입니다. 서문탁, 케이시는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수준에, 리사는 아나콘다가 슈팅을 골대 안으로 많이 못때려서 킵 실력이 어떤진 모르겠더라는. 골때녀는 5명이 1인분씩만 하면 강팀, 그게 안 되는 팀은 어렵다 봅니다.
빵pro점쟁이
23/08/11 10:33
수정 아이콘
지금은 둘다 부상의 여파로 예전만 못해서 전력이 심각하게 떨어졌는데 경서기 막기가 쉬운 건 아닙니다
천하의 적토마 김혜선 선수도 경기 끝나고 힘들었다고 울만큼 고생시켰어요
긴 하루의 끝에서
23/08/10 23:34
수정 아이콘
발라드림이 수비와 골키퍼상의 문제가 본래 고질적이긴 한데 강등을 넘어 방출에까지 이른 건 손승연의 부재가 컸다고 생각합니다. 손승연도 볼 컨트롤상의 약점 때문에 아쉬움이 없는 건 아니었으나 힘과 활동량을 바탕으로 발라드림 입장으로서는 수비상에 꽤나 안정감을 제공하는 선수였거든요. 킥력이 나름 있다는 점에서 공격 옵션으로도 어느 정도는 활용이 가능했고, 킥인 시에 경서와 서기 모두 공격에 집중할 수 있게끔도 하였고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와중이었다는 점 역시 아쉬움을 남게 하는 요소예요. 그리고 그러한 손승연의 하차로 인해 사실상의 전력 외 자원인 케이시가 들어오고, 본래 벤치 멤버였던 리사가 주전으로 자리매김하는 연쇄 작용이 일어났죠. 발라드림의 신임 감독인 최성용이 이번 SBS컵에 들어 민서를 다시 필드 플레이어로, 리사를 다시 골키퍼로 기용한 선택이 발라드림의 현 선수 구성상으로는 옳은 일이라고 보고, 마침 리사가 골키퍼로서 기량이 조금이나마 발전을 한 거 같다는 게 참 다행스러울 따름입니다.
빵pro점쟁이
23/08/11 10:49
수정 아이콘
맞아요 발라 선수들이 작거나 마른 사람들이라 뒤에서 때려줄 수 있는 형같은 존재가 버티고 있는게 중요하죠
지금은 서문탁 선수가 이어받았지만 아무래도 날라다니는 젊은 친구들 따라다닐 수 없는 나이인지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968 [연예] 시네이드 오코너를 기억하는 영상 [9] 똥진국5007 23/08/15 5007 0
77958 [연예] 터보(Turbo) 최고의 곡은? [71] 손금불산입6883 23/08/14 6883 0
77911 [연예] 잼버리 콘서트 걸그룹 직캠 모음 [23] Davi4ever7753 23/08/12 7753 0
77904 [연예] 코요태 최고의 곡은? [54] 손금불산입6191 23/08/11 6191 0
77879 [연예] 이 시국에 생각나는 성시경 발언 [18] 인민 프로듀서11419 23/08/10 11419 0
77872 [연예] [골때녀] 싹~ 다! 발라 발라 드림!!! [25] 빵pro점쟁이8483 23/08/09 8483 0
77867 [연예] 내맘대로 쓰는 민대표 에세이 vol(2) [6] 문인더스카이7700 23/08/09 7700 0
77838 [연예] god(지오디) 최고의 곡은? [76] 손금불산입6692 23/08/07 6692 0
77824 [연예] '잼버리 K팝' 6일→11일 긴급 연기, '뮤뱅' 대체편성 꼼수? [31] 강가딘7642 23/08/07 7642 0
77817 [연예] 빅마마(Big mama) 최고의 곡은? [18] 손금불산입5091 23/08/06 5091 0
77812 [연예] 최근에 컴백한 중소회사의 걸그룹들 이야기 [9] 망이군11249 23/08/06 11249 0
77790 [연예] 쥬얼리 이지현, 솔로곡 '게리롱 푸리롱' 발매…18년 만의 가수 컴백 [15] Myoi Mina 8436 23/08/04 8436 0
77709 [연예] 쥬얼리(Jewelry) 최고의 곡은? [33] 손금불산입5946 23/07/30 5946 0
77704 [연예] 오늘 인기가요에서 내한공연 가진 빌보드 1위 가수 (+앵콜직캠 추가) [13] Davi4ever9817 23/07/30 9817 0
77669 [연예] 수지 향한 악플, 8년 만에 결론…'국민호텔녀'만 모욕 인정 [84] 로즈마리13603 23/07/28 13603 0
77666 [연예] 안성일과 교보문고 안성일이 저작권에 손댄이유? [16] 총알이모자라210740 23/07/27 10740 0
77622 [연예] 브라운아이드걸스(Brown Eyed Girls) 최고의 곡은? [62] 손금불산입5000 23/07/25 5000 0
77617 [연예] 피프티 피프티 관련 + 피프티 사태로 뒤늦게 주목받은 손승연 소식 [32] 아롱이다롱이10597 23/07/25 10597 0
77579 [연예] 이번 주 빌보드핫100 차트 치열한 1위 싸움... [18] 우주전쟁8537 23/07/23 8537 0
77571 [연예] 이거 실화냐? 업데이트된 스포티파이 US차트 top50 순위 (뉴진스 사고치다) [19] 아롱이다롱이9839 23/07/22 9839 0
77564 [연예] [트와이스] 모모의 사-땅 모음집, 사진들 (데이터주의) [6] 그10번6011 23/07/22 6011 0
77562 [연예] 롤링스톤지 선정 한국 대중음악 역대 100곡 [85] 그냥켑스10542 23/07/22 10542 0
77503 [연예] SM에서 남자아이돌로 데뷔한다는 윤상 아들 사진.jpg [23] insane7370 23/07/18 73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