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2/27 10:32:31
Name 우주전쟁
File #1 six_fingers.jpg (196.6 KB), Download : 3
Link #1 인터넷
Subject [연예] [파묘]가 어쨌든 넘어선 것...


감독 전작 [사바하] 관객수...(2,398,626명)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는 것과는 달리 장재현 감독의 전작 [사바하]는 생각만큼 관객이 들지 않았네요. 생각 이상으로 호불호가 많이 갈렸던 것 같습니다. 이번 [파묘][사하바]정도 성적으로 마무리 되었으면 감독이 다음 작품 제작할 때 애로사항이 많이 꽃피었을 것 같은데 지금 기세라면 차기작은 제작사에서 무조건 "고~!"하겠네요. 역시 이쪽 동네는 운도 많이 따라줘야 되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르셀
24/02/27 10:36
수정 아이콘
무서운 오컬트 공포물 보러 갔다가 생각보다 너무 정형적인 스토리로 전개되서 개인적으로는 아쉽긴 했는데

그 부분이 대중에게는 역으로 잘 먹힌거 같습니다
인민 프로듀서
24/02/27 10:43
수정 아이콘
사실 제대로 각잡고 만든 호러, 오컬트는 대중적일 수 없죠 ㅠㅠ
역으로 대중적으로 호평받는 호러, 오컬트는 전개가 상식적이고 무섭지 않구요.
소독용 에탄올
24/02/27 14:37
수정 아이콘
미스트 영화가 한국에서 52만 이었던가 하니....
푸들은푸들푸들해
24/02/27 10:42
수정 아이콘
사바하가 재밌었는데 그때 볼당시에도 재밌었고 무섭고 3일동안 불키고잤고 나중에 오래도록 생각이났는데
파묘는 이정도 그정도는 아니였던데 말이죠 그래도 후반생각하면 대중성은 사바하보다 더 있는거 같긴해요
이정후MLB200안타
24/02/27 10:50
수정 아이콘
사바하 오프닝 초반부는 진짜 집에서 다시 보는데도 쫄보인 저에게는 쫄깃쫄깃 하더라구요 크크
이정후MLB200안타
24/02/27 1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장재현 감독이 사바하 관객수 보고 현타 비슷한게 왔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어제 파묘보고 왔는데 많은 pgr의 평들대로 초반부는 진짜 사바하보다도 몰입감이 더 좋았는데 후반부에....
영화 다 보고 나오면서 생각해보니 감독이 '그것'과 관련된 설정/배경 들을 모르는 머글(?)들이 그런 설정들로 인한 위화감보다는 오히려 그러한 것들을 통한 강력함/위압감 을 느끼게 하고 싶었던게 아닐까 싶고, 결국 흥행을 위해 어느 정도의 대중성과 타협한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김태연아
24/02/27 10:49
수정 아이콘
와이프가 재밌다더라 얘기하는거 보니 입소문이 난거같은데 더 흥행할거 같아요
스트렙실
24/02/27 10:50
수정 아이콘
파묘 보고 당황하고 실망한 포인트가 대중성이 먹히는 지점이었네요. 이왕 이렇게 된 거 흥행해서 좀 더 매니악한 작품도 많이 나오길 바랄 뿐입니다!
24/02/27 11:36
수정 아이콘
요즘은 대중성도 대중성인데 화제가 되면 이거 안보면 뭔가 시대에 뒤쳐진다는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아서 다들 우르르 몰려가서 그런게 아닌가 싶어요
샤르미에티미
24/02/27 10:51
수정 아이콘
궁금한 것이 파묘 같은 스타일도 공포 영화 카테고리에 들어가서 공포 영화 관객수 깬 걸로 인정 받나요? 검색하면 곡성 1위, 검은 사제들 2위, 장화홍련 3위 이렇더군요. 제 기준에선 장화홍련만 전형적인 공포 영화고 곡성-검은사제들은 스릴러-미스테리에 더 가까운 것 같은데요. 파묘하고 비교하면 곡성은 공포 영화 맞다고 해야 할 것 같고요.
파르셀
24/02/27 10:54
수정 아이콘
오컬트 공포물? 이 맞지 않나 싶긴 합니다
인민 프로듀서
24/02/27 11:35
수정 아이콘
공식적인 기준은 모르겠지만, 일반적 인식으로는 오멘이나 엑소시스트같은 오컬트도 호러로 받아들여지는 듯 합니다.
샤르미에티미
24/02/27 14:22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이게 제 생각엔 여고괴담, 일본식 링-주온-착신아리 이런 공포물들은 아무리 잘 만들어봤자 오컬트-스릴러-미스테리 이런 장르보다 흥행할 수 없어 보이거든요. 같은 선상에 놓고 관객수 비교를 하는 게 맞나 싶네요.
Karmotrine
24/02/27 11:01
수정 아이콘
이시기에 사바하 개봉했어도 추이는 파묘랑 비슷했을거라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 아니면 조금 더 떨어지거나.
덴드로븀
24/02/27 11:02
수정 아이콘
영화적으론 좋은 점수 주기 힘들지만 어차피 범죄도시3 도 천만 넘는 세상이니
파묘 정도면 천만 가도 된다고 봅니다 크크

곡성(2016) : 6,879,908명

이것도 무난하게 넘지 않을까 싶기도?
24/02/27 12:08
수정 아이콘
곡성이 넘사벽으로 재밌긴했는데 곡성 걍 넘을 분위기..
24/02/27 11:04
수정 아이콘
둘 다 본 입장에서 잘 만든건 사바하가 더 잘 만든거 같은데 흥행은 파묘가 할만하긴 해요
동년배
24/02/27 11:13
수정 아이콘
저도 최민식이 일장연설하는 부분은 많이 별로 였지만 (차라리 김고은이 이도현 구할 방법은 그것 뿐이라는 식으로 접근하는게 낫지 않았을까?)
그래도 후반부 설정 자체도 꽤 흥미로와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그런데 이런건 오컬트 혹은 서브컬처 설정에 관심있는 저같은 사람에게나 재미있는거지 대중을 설득시키기 위하 단박에 이해되는 포인트가 더 중요하겠죠.
24/02/27 15:47
수정 아이콘
고장로가 그래서 민족 정기 어쩌고 측량용이 99퍼 어쩌고 하며 반대 입자을 쏟아내는 걸로 물을 타긴 하죠 김상덕이 화림을 참여시키기 위해 봉길이 살아날 수도 있지 않겠냐고 하기도 하고... 이 정도면 감독도 대중에게 이미 알려진 음모론이라고 의식했지만 본인이 생각한 이야기에 꼭 갖다 쓰고 싶은 소재였다고 봐야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김유라
24/02/27 11:25
수정 아이콘
사바하는 개인적으로 기생충 제외하고, 2019년 베스트 한국영화에 넣어도 될 수준이라고 보는데 관객수가 눈물났었군요.

참고로 2019년 개봉작으로는 극한직업, 엑시트 등과 같은 희망편이 있고 뻉반, 0.0MHz, 백두산, 나랏말싸미 등의 절망편이 있습니다.
바카스
24/02/27 11:29
수정 아이콘
혼자서 무서운거 영화관에서 볼 때 한쪽 귀에 아이돌 댄스 음악 끝날 때까지 트는데

이번엔 변화구 오고나서 아예 귀에서 뺐습니다.
24/02/27 11:52
수정 아이콘
이번에 파묘가 흥하면서 역으로 사바하 얘기도 다시 나오던데 이참에 제발 속편좀
바이바이배드맨
24/02/27 12:43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골고루 잘나왔다면 요즘엔 관객수 몰빵 느낌이라
24/02/27 13:09
수정 아이콘
다음 영화 또 순탄하게 투자 받을수 있어서 다행이네요
24/02/27 13:52
수정 아이콘
몇달 전만해도 한국영화 다 망해서 위기다~! 그런 분위기였는데 서울의 봄과 파묘로 그런 이야기는 이제 잘 안들리긴 합니다.
시린비
24/02/27 14:20
수정 아이콘
개봉시기, 경쟁작, 홍보, 그 외에 흐름등 정말 다양한 요소가 있기 때문에
삼각형
24/02/27 14:38
수정 아이콘
제발 사바하 속편좀 ㅜㅜ
군림천하
24/02/27 15:12
수정 아이콘
퇴마록 초치검의 비밀편 영화로 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606 [연예] ???:드디어 내일 출소하는구나..... .jpg [22] Myoi Mina 6040 24/03/19 6040 0
81605 [연예] 자신의 도플갱어를 만난 츄 [9] 강가딘5115 24/03/19 5115 0
81604 [연예] [르세라핌] 지난주 혼자 1위 트로피 수령한 홍은채 [2] Davi4ever4801 24/03/18 4801 0
81603 [연예] [오마이걸] 지난주 신곡 발표한 유아 'Rooftop' 퍼포먼스 영상 모음 [2] Davi4ever2512 24/03/18 2512 0
81601 [연예] SNL에서 아이돌이 되버린 장이수.mp3 [32] Starlord9113 24/03/18 9113 0
81599 [연예] 팝스타 브루노 마스, 도박빚만 660억 [26] 보리야밥먹자8645 24/03/18 8645 0
81597 [연예] [에이핑크] 김남주 'BAD' M/V (+미디어 쇼케이스 영상) [2] Davi4ever2311 24/03/18 2311 0
81594 [연예] 나홍진 신작 촬영 끝.jpg [3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8392 24/03/18 8392 0
81593 [연예] 혜리 인스타.txt [10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989 24/03/18 10989 0
81592 [연예] [파묘] 베트남 개봉 근황 [24] 우주전쟁10360 24/03/18 10360 0
81591 [연예] 4월 1일 아현이 합류한 완전체로 컴백하는 YG 베이비몬스터의 포토 및 미리듣기 등 [6] 아롱이다롱이3674 24/03/18 3674 0
81586 [연예] 4회차에서 시청률 급등한 드라마 "눈물의 여왕" + 전역을 하루 앞둔 섭섭남 [21] 아롱이다롱이6793 24/03/18 6793 0
81581 [연예] [(여자)아이들] 수록곡의 기적, '나는 아픈 건 딱 질색이니까' 멜론 1위 / 라이브 클립 [7] Davi4ever2783 24/03/18 2783 0
81580 [연예] 2024년 3월 3주 D-차트 : 비비 2주 연속 1위! (여자)아이들 7위로 상승 Davi4ever1906 24/03/17 1906 0
81578 [연예] 넷플릭스 [닭강정] IMDb 지수... [12] 우주전쟁6014 24/03/17 6014 0
81576 [연예] 넷플릭스 [닭강정] 3화까지 봤는데 묘한 드라마네요. [26] 우주전쟁7709 24/03/17 7709 0
81570 [연예] 메가박스 장국영 기획전 [13] SAS Tony Parker 5305 24/03/17 5305 0
81568 [연예] 군대에서 신곡 발표하는 아이도루 [2] 츠라빈스카야5915 24/03/17 5915 0
81567 [연예] 김수현, 김지원 주연 TvN 주말 드라마 "눈물의 여왕" 시청률 추이 [52] 아롱이다롱이10312 24/03/17 10312 0
81565 [연예] [아이유] 좀 늦은 콘서트 후기 [20] 요칼4878 24/03/16 4878 0
81564 [연예] [파묘] 900만 돌파! [11] 우주전쟁5708 24/03/16 5708 0
81560 [연예] 데뷔 후 처음으로 음방 1위를 차지한 비비 [11] Davi4ever6088 24/03/16 6088 0
81559 [연예] 시크릿 송지은 유튜버 박위와 결혼 [13] SAS Tony Parker 7364 24/03/16 73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