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12/05 04:51:32
Name 시인
Subject 스타에 꼭 감독이 필요합니까?
언젠가부터 경기가 끝난 뒤에는 선수들에 대한 칭찬과 격려와 함께 감독에 관련된 글들도 심심하지 않게 올라오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분명 팀리그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현상입니다(물론 그때도 이재균 감독님 등과 같은 스타(?) 감독님에 대한 많은 관심은 존재하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요즘 들어 가장 자주 이야기되는 감독님을 언급하자면 당연히 동양 팀의 주훈 감독님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무언가 강인해보이는 외모에(그 다부진 입술을 보십시오. :-)) 임요환 선수라는 초절정 스타 선수 뒤에 자리한 위치는 주훈 감독님의 높은 인기를 당연스럽게 만드는 요인이겠지요. 그런데 저는 사실 이러한 언급 속에서 조금 의아한 부분이 있습니다.

과연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에서 감독의 역할은 정녕 무엇일까요? 한때는 감독이라는 명칭이 없던,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지금의 각 팀의 감독님들 중 상당수는 그때 분명히 매니져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활동화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과거의 역할과 지금의 역할이 뚜렷이 달라진 것일까요?

'3 대 0'이라는 놀라운 스코어로 막을 내린 최근의 MSL 결승 이후 주훈 감독님에 대한 칭찬글을 많이 보았습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의문이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에서 감독이 경기를 좌우할(혹은 개입 될) 요소가 과연 얼마나 큰 것인지 저는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온게임넷 올림푸스배의 '임요환 선수 대 이재훈 선수'의 16강 경기에서 주훈 감독님은 초시계를 들고 빌드 타임을 연구했다고 합니다.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특히 초를 다투는 요즘의 게임에서도 그러한 초 단위의 집요한 연습은 분명 감탄할만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감독의 역할이 빌드타임의 시간을 기록하는 사람이라는 것일까요?  왜 많은 사람들은 '주훈 감독을 무섭다'고 혹은 '대단하다'고 이야기하는 걸까요? 경기의 예상 결과를 놀라울 정도로 적중시키는 예상을 보여줘서 일까요? 팀 리그 경기에서 엄청나게 승률 높은 오더를 작성하기 때문일까요?

경기 결과에 대한 예상은 경기에 임하는 두 선수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자료가 없다면 결국은 많은 부분이 요행에 불과한 것일테고 그러한 결과를 맞춘다고 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냥 자기편 선수에 대한 사기를 높여주고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하는 그것 이상은 아닐 것입니다(어느 팀 감독이든지 그렇게 인터뷰를 하겠지요). 또한 팀 리그 경기에서 선수의 오더를 짜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선수의 오더를 짜는 것이 의미가 있는 경우는 상대 팀 오더의 확률 분포가 알려진(혹은 미리 결정된) 경우에만 의미를 갖습니다. '가위 바위 보'를 생각해보신다면 그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상대가 임의로 셋 중의 하나를 낸다면 어떤 최선의 전략도 결국은 1/3의 확률로 승리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물론 팀 리그에서의 각 선수들의 오더는 맵과 종족 등을 고려한 선택이므로 단순하게 임의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하지만 캐스터와 해설자가 감탄하고 놀라워할 정도로 대단한 깜짝 오더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결국은 결과론적인 해석과 리그의 경기 방식을 조금 더 흥미진진하게 하고자 하는 캐스터와 해설진들의 열기(:-))가 그러한 감탄사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닌가하고 생각해 봅니다.

결국 '주훈 감독님을 무섭다' 혹은 '대단하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은 이러한 경기적인 요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타'라는 게임이 경기가 시작된 순간부터는 플레이어 외에는 그 어떤 삼자도 개입할 수 없기 때문에 감독의 역할은 당연히 경기 전까지의 활동으로 압축됩니다. 그렇다면 결국 맵의 분석, 상대와 맵에 따른 전략, 선수의 연습량 확보와 연습 상대 확보, 선수의 컨디션과 사기 혹은 건강 상태의 관리, 선수의 스케쥴 관리 등이 일차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경기 전까지의 주요 활동일 것입니다.

물론 저는 정확히 모르지만 적어도 '스타'라는 게임에서 맵을 분석하고 전략을 구상하는 작업은 적어도 감독 보다는 선수들이 주가 되어 연구하고 연습할 것 같다는 게 저의 막연한 추측입니다(사실 편견에 가깝습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활동 등이 주가 되는데 이러한 나머지 활동들은 사실 감독의 역할이라기보다는 (우리가 보편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매니져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 제 글에서 감독과 매니져, 혹은 코치의 정의를 상세히 나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언젠가부터 도입된 감독이라는 위치가 사실 팀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고 이러한 글을 통하여 표현해보고 싶었을 뿐입니다.

다른 팀의 감독들과는 달리 주훈 감독님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그저 궁금할 뿐입니다. 어쩌면 명문대학교에 스포츠심리학이라는 간판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스럽게 그 분을 엄청난 감독으로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임요환 선수의 감독이라는 사실 때문에 그 분이 더 뛰어나게 여겨지는 것은 아닐까요?

제 글은 주훈 감독님을 비판하는 글이 아닙니다. 다만 그 분이 자주 언급되고 관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그 분을 예로 들었을 뿐입니다. 사실 저는 '스타'라는 게임에서 감독의 역할을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이 글은 그저 제 추측으로 마구 써내려간 소설에 불과합니다.

다만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과연 '스타'라는 게임에서 '감독'이 반드시 필수적인 존재인지를 묻고 싶을 뿐입니다. '매니져'라는 명칭으로서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감독'이라는 명칭으로 불려져야 한다면 그건 이 사회에 혹은 우리 머리 속에 '감독'은 높고 '매니져'는 낮은 직업이라는 이상야릇한 인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은 혹시 아닐까요? 사실은 '매니져'라는 적절한 명칭으로도 충분히 표현 가능한 데도 말입니다.

여러분 저는 묻고 싶습니다. 스타에 꼭 '감독'이 필요합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크히어로
03/12/05 04:59
수정 아이콘
mbc팀리그에서 선수지명을 위해서 필요합니다.
오크히어로
03/12/05 05:00
수정 아이콘
캐스터 : 자 동양 오리온스 매니져께서 다음 선수로 홍진호 선수를 지명합니다.( 먼가 좀 이상해 보이지 않으세요?)
오크히어로
03/12/05 05:03
수정 아이콘
제 상식범위내에서는 매니져는 어떤 사람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사람을 뜻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감독은 머 지휘 머 그런거 겠죠?
팀리그에서 ㅡ.ㅡ;; 매니져가 지휘한다.. 이상하지 않아요?
모모시로 타케
03/12/05 05:11
수정 아이콘
매니저라면 단순히 뒤치닥거리 해주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너무 강해서..
이선영
03/12/05 05:13
수정 아이콘
스타에 감독은 필요치 않을거 같아요. 그러나 그들을 이끌어 줘야할 누군가는 있어야 할듯..좀 과장된게 있죠.그래야 엔터테이먼트 적인 요소가 있을듯 하구요.아무렴 어떻습니까.게이머도 선수로 불리우는데요.
미네랄은행
03/12/05 05:24
수정 아이콘
야구도 축구도...감독없이 할 수 있습니다.
감독과 매니저에 우열이 있는것이 아니고 둘은 다릅니다.
이런 질문은 한 1년 전에 나왔다면 모를까...지금은 글쎄요...
03/12/05 05:33
수정 아이콘
야구와 축구에서 '감독'이 차지하는 비중과 스타에서 '감독'이 차지하는 비중 혹은 역할은 제 생각에는 많이 다르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03/12/05 06:14
수정 아이콘
스타 초창기에 선수들 관리 하시던 분들은 대부분 매니저로 불렸습니다.
스타가 단순히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만 강했다면 그 분들은 매니저에 머물렀겠죠.
하지만 스타가 스포츠적인 면모가 점차 강해지고, 팀이라는 것이 중요해졌죠.
언젠가부터 그런 팀을 관리하는 분들이 감독님이라고 불리어지게 된 것이구요.

스타가 가진 특성 자체가 참 애매합니다.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졌지만 스포츠라고 할 수 있죠.
골프 같은 개인전 위주라기엔 분명 팀의 역할이 중요하고 팀리그도 존재합니다.
그런다고 야구나 축구 같은 완전 팀 단위의 스포츠라고 보기에는 개인전도 중요하구요.
무엇보다 매니저와 감독 역할을 분리하기에는 아직까지 스타의 판 자체가 너무나 작습니다.

이런 스타에 있어 매니저냐 감독이냐가 중요하진 않다고 봅니다.
분명 그 고유 역할이라는 것이 연예인 매니저랑과도 다르고 야구 감독과도 다르니까요.
뭐라고 불리우던지 그 역할이 감독에 가깝다 생각하여 누군가 감독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일테고-
이미 다들 "주훈 감독님"이란 말에 익숙해져 있어, 굳이 지금 와서 얘기를 꺼낼 필요가 있을까 싶네요.
Slayers jotang
03/12/05 07:04
수정 아이콘
감독의 역활을 잘 알지 못하신다고 하시면서...
감독이 꼭 필요하냐라고 말하는건...
모순이 아닐지..
그리고..글중에서..주훈감독님 얘기가 나오는데..
명문대학 스포츠심리학과 출신..황제가 속한 팀의 감독..
이러한 것들이 그가 지금 가장 주목받고 있는데 어떠한 도움도 주지 않았다고 생각됩니다..물론 초창기에는 그의 이름을 알리는데 도움을 주었다고는 생각됩니다만은..
동양팀의 성적을 생각해보십시오..
온게임넷 팀리그 우승. 마이큐브 우승.
엠비씨게임..msl우승..
그리고..온게임넷 인사이드 스터프에서 그의 인터뷰내용들..
혹시 못보셨다면..가서 보시면 아실겁니다..
왜 그가..주훈 감독님이..'무섭다, 대단하다'라는 소리를 들을 수 밖에 없는지 아실수 있을겁니다..그럼..GG/GL
Slayers jotang
03/12/05 07:18
수정 아이콘
이선영님// 스타는 이제 엔터테이먼트가 아닙니다.. E-sports죠...
메딕아빠
03/12/05 07:28
수정 아이콘
감독하고...매니져하고...뭐가 다른지...??
서재응 선수 인터뷰 장면 보면...감독을 매니져라고 부르더군요...
말의 차이일뿐...감독이라 불리우든...매니져라 불리우든...
그건 별 의미가 없을 듯 하네요...
그들이 존재가...선수들의 플레이에 많은 영향을 준다면...
그 존재의 의미는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주훈 파이팅~
BeAmbitious
03/12/05 07:37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라는 초절정 스타 선수 뒤에 자리한 위치는 주훈 감독님의 높은 인기를 당연스럽게 만드는 요인이겠지요 <- 단지 주훈 감독님께서 임요환 선수의 감독이라는 이유때문에 이렇게 많은 분들이 주훈 감독님을 대단하게 볼까요? 아닙니다. 성적을 보십시오. 주훈 감독님은 박용욱 대 강민 온게임넷 파이널에서 강민 선수의 리플레이들을 수십개를 넘게 보고 강민 선수의 버릇을 알아냈다고 합니다.

과연 연습 하기도 바쁜 박용욱 선수가 강민 선수의 세세한 플레이 버릇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요? 그게 바로 감독의 역할입니다. 상대방을 분석하고 상대방을 이길수 있도록 합니다. 야구를 예로 들어봅시다. 지금 님께서 주훈 감독님을 빌드 타임을 재는 사람으로 예를 들었는데 그럼 야구 감독들은 뭐하는 사람입니까? 똥폼 잡고 껌만 씹는 사람입니까? 아니지 않습니까? 야구 감독들은 선수들을 격려하고 때로는 야단도 치고 건강,정신상태를 점검하며 상대팀 선수들을 분석하고 어떻게 게임을 해야지 이길지를 항상 연구합니다. 스타크래프트라고 해서 이것이 다르지는 않다고 생각하는데요.
03/12/05 07:49
수정 아이콘
'역활' 이 아니라 '역할' 입니다. 그런데, '역할'도 일본에서 만든 한자로 왜정 전에는 전혀 쓰이지 않던 단어라고 합니다. '구실'이라는 우리말이 더 좋겠습니다. (예) 스타크래프트에서 감독의 구실은 무엇입니까?
조리조리
03/12/05 08:37
수정 아이콘
옆길로 새는 거 같지만 미국에서 야구팀의 감독을 Manager라고 부르죠. ^^;; 어떻게 보면 매니저란 말을 한자어로 바꾸면 감독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사실 우리나라 레스토랑이나 바 등에서의 매니저의 역할도 게임단들에서의 감독(혹은 매니저)의 역할과 비슷하다고 봅니다. 매니저가 뒷치닥거리 하는 사람으로 비치는건 너무 연예인들의 매니저(그것도 말단 매니저)란 개념에 치우쳐 생각하고 계신건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차피 같은 역할이라도 그에 대한 호칭이 분야, 사회, 시대상황 등에 의해 여러가지로 바뀔 수 있다고 봅니다. 결국 호칭 자체가 어떤 역할을 100% 반영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다만 게임단의 감독이 이러이러한 역할을 하는구나하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지 이러이러한 역할을 해야하니까 이 직책은 이렇게 불러야한다는 건 그리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soundofsilence
03/12/05 08:40
수정 아이콘
축구경기, 농구경기 등에서도 경기가 시작되면 실질적으로 감독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고 생각합니다. 작전지시하고, 선수교체하고 이러는 것이 영향은 줄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이전에 어떻게 연습을 시키고 어떻게 선수들 관리하고, 어떻게 오더를 짰는지 하는 것이 경기결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러한 일반 스포츠에서는 과연 감독이 모든 것을 알아서 할까요? 선수들은 단지 감독이 하라는대로 하는 수동적인 존재들일까요? 선수들은 단지 운동하는 것 밖에 몰라 작전같은 것은 감독, 코치진들이 맡는 걸까요? 아닙니다. 지금 축구, 농구 선수들 감독 없이도 충분히 해낼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단지 감독이 있으면 그들이 다른 것에 집중하지 않고 운동만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축구경기 전 경기분석을 한다고 해봅시다. 상대팀의 여러 경기장면들, 상대팀의 약점, 특정 선수들 등 여러 자료를 조사해야 겠죠. 그리고 선수들과 함께 그 사항들을 살펴보겠죠. 먼저 자료 조사하고 분석하고 하는 작업은 코치진들이 할 것입니다. 이런 작업은 분명 코치진의 중요한 작업 중에 하나입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겠죠. 스타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대선수 리플레이 구해서 분석하고 특징 알아내고 하는 일 하나하나 선수들이 하다가는 연습할 시간도 모자랄 것입니다. 감독이 먼저 그것을 연구하는 것이죠. 그리고 선수들과 같이 이야기 나누면서 정확하게 작전을 짜는 것이구요. 이런 역할이 매니저의 역할입니까? 아닙니다. 분명 감독의 역할입니다. 프로게이머라고 이야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게이머는 하나의 직업입니다. 전문성이 있어야 하구요. 동네에서 게임방에 동호회가 모여 친목다지는 게임이 아니란 겁니다. 선수 개인의 명예가 달려있고, 팀의 이미지가 달려 있습니다. 그만큼 체계적일 필요가 있고 그렇기 위해서 감독은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물론 감독이 스타에대한 해박한 지식과, 리플레이 분석능력, 게임계의 다양한 인맥 등 요소를 갖추어야 하겠죠. 그런 요소들을 갖추지 않고 선수관리만 하는 감독이라면 매니저와 별반 다를 것이 없을것입니다. 하지만 이제 스타리그가 체계를 잡아가면서 점점 감독들도 전문화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앞에서 많은 분들이 이야기하셨지만 주훈감독님~ 정말 진정 지금 스타계가 요구하는 감독의 모습인 것 같습니다. 스타는 스타고, 스포츠는 스포츠입니다. 스타감독이 꼭 스포츠 감독같은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겠죠. 스타는 스타만의 모습이 있고 스타에서의 감독도 그 독특한 모습이 있을 것입니다. 그 모습 자체를 인정해 주어야지 일방적 비교를 통해 필요있다 없다는 이야기하는 것은 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LikeAlways
03/12/05 10:42
수정 아이콘
사운드오브사일런스 - 님의 말씀에 동감합니다.
그리고
03/12/05 10:46
수정 아이콘
음... 사운드오브사일런스님은 왠지 CM을 많이 하시는 듯? ^^
박서의꿈
03/12/05 12:25
수정 아이콘
MSL 결승전 3경기때 주훈감독님의 모습을 비춰주는 카메라... 보셨나요?
부대 단위로 쌓여있는 레이스로 적진을 누비고 다니는 최연성 선수를 보며 '음~ 계획대로 잘 하고 있군~'하고 생각하고 있는 듯한 그분의 모습. ^^; 그동안도 여러번 주훈감독님에 대해 놀라움을 느꼈지만(OSL 인사이드 스터프에서도.. =_=) 정말 무서운 사람이 아닐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프로리그 우승, 양대 개인 리그 동시 우승.. 이 모든게 우연으로 가능할 수 있다고 보시는지? 물론 선수들의 역량이 첫번째긴 하지만 승자예상에서 다소 약세였던 동양팀, 그리고 선수들이 당당히, 그리고 압도적으로(이부분엔 논란이 될수도 있겠지만; 결승전 치곤 꽤 원사이드한 경기였죠 모두..) 이길 수 있었던 바탕에 감독의 힘이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Diffwind
03/12/05 12:50
수정 아이콘
사운드오브사일런스님이 제대로 잘 말씀하셨네요.
우선적으로 영어로 매니저는 우리말로 감독입니다. 뭐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연예인의 매니저는 그야말로 그 연예인 1명만 담당하는 것이지만, 팀의 매니저는 바로 감독인것입니다. 호칭의 문제에서 먼저 약간 오해를 하신것 같고, 또한 감독의 역할을 살펴보면 상대의 전략과 장,단점을 부석해서 그에 맞게 자신의 선수들에게 알려주고 훈련시키는 역할이라고 봅니다. 물론 야구나 농구처럼 스타에서의 감독이 게임도중에 지시를 내릴순 없습니다만, 축구의 경우를 살펴보면, 그래도 스타에 좀 근접해있죠. 작전타임이란것이 없으니..(물론 소리치거나,선수교체나, 전반점 끝나고 하프타임때 지시를 할순 있어도..) 즉, 스타라는 전략시뮬레이션게임에서 정보는 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게임도중에도 정보가 중요하지만, 게임외의 정보도 중요합니다. 그것을 선수가 일일이 찾아서 분석하고 자신이 스스로 분석하는 것은 시간낭비이죠. 막말로 연예인들이 매니저 없이도 충분히 활동이 가능합니다만, (실제 그런사람들도 많고), 그래도 매니저를 두는것은 자신은 연기나, 노래 등등만 하고 다른것엔 신경쓰고 싶지 않아서입니다. 또한 팀리그에서 과연 감독이 없이 어떻게 오더를 짤수 있을것인지... 선수들이 모여서 서로 협의가 가능할까요? 아마 불만을 많이 가질겁니다. 출전못하는 선수는.. (물론 감독이 있어도 불만인 있겠지만, 선수들 자신이 뽑는것보다는 적을겁니다.) 그리고 팀에서 선수들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것들도 (예로 구단에 무엇을 요청한다던가) 하는 것에서도 감독이 하는게 좋지, 선수가 직접 해야한다면.. 그 시간낭비는.... 뭐, 아뭏든 감독의 역할이 없다고는 말을 못하겠네요.
03/12/05 13:18
수정 아이콘
다들 말씀하신대로.. 감독=매니저인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매니저라는 개념때문에 사용하기를 주저하는 것 뿐입니다.
또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매니저(감독)과 코치는 또 다른 역할입니다.
이 글쓰신분의 의도는 "매니져(감독)"이 아닌 "코치"가 불필요하다는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그 말씀이 맞는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시장이 커지고 많은 변화가 생겨서.. 프로게임구단의 시스템이 "감독-콘트롤코치, 유닛생산코치, 맵분석코치-선수들"로 구성될지도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프로게임 시스템은 이제 처음 생겨나서 정착되어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기존의 "프로스포츠 시스템", "연예 시스템", "프로바둑 시스템" 등을 그대로 대입해서 생각할려다 보니 많은 의문과 의견충돌이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요.
레디삐~*
03/12/05 16:41
수정 아이콘
막군님// 이창훈선수를 빼놓으시다니 -_-; MVP를..
03/12/05 16: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주훈감독님, 정말 대단한 감독님이라고 생각듭니다.
그걸 결정적으로 알수있는 사례가 '수많은 우승'이죠.
동양의 선수층, 따지고보면 AMD만큼 얇다고 할수 있을정도입니다. 얼마전 연습생 2명을 영입했다고 하나, 따지고 보면 실제로 현재 활동중인 선수들은 6명 - 요환, 연성, 용욱, 창훈, 현진, 성제 선수들 - 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리그와 프로리그, 그리고 개인전까지 휩쓰는 이유는 뭔가 - 바로 주훈감독님의 스포츠 심리학을 게임에 응용한 것입니다. 이것이 동양팀의 우승비결이고, 우리들이 '주훈 감독님 대단해요!' 라고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 두가지만 들어볼까요?
우선 KTF EVER배 대 한빛과의 결승전에서의 라인업을 지켜보죠.
당시 동양은 '최연성' 이라는 걸출한 신예와 '임요환' 이라는 백전노장이 주축이 되어서 결승을 이끌것이다 라고 수많은 사람들이 추측했고, 한빛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런데, 그날의 주인공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이창훈 선수였죠. 임요환-최연성 선수는 각각 1,7차전에 배치하고, 이창훈 선수가 가장 많은 3경기(팀플 2, 개인전 1)에 참가하게 됩니다. 이것이 허를 찌른거죠. 이 라인업을 보고 추측한건데 동양팀은 이미 4:1의 상황을 예상하면서 라인업을 짠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마이큐브배 결승전. 강민선수와 박용욱선수의 대결이죠. 뭐, 실력을 놓고 봤을때는 5:5라고 예측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만, 이미 강민선수는 결승에 서본 경험이 있고, 박 선수는 첫 메이져대회 결승이였죠. 게다가 가장 최근 경기에서 다크에 그냥 썰려서 진 박 선수여서 주훈 감독님이 아니면 심리적 부담은 꽤나 컸을듯 싶습니다. 주 감독님이 그러셨죠. '스포츠 심리학에서 최고의 효과를 내기 위해선 적당량의 긴장을 필요로합니다. 저는 박용욱선수가 그 정도의 긴장량을 맞춰주는데 최선을 다했습니다.' 라고요. 사실 저는 이 한마디로 '게임계에 감독이 필요한 이유'를 압축시킬수 있다고 봅니다. 더이상 말이 필요한가요?

저는 단지 주훈감독님을 예로 들었을뿐, 스타에는 수많은 명장이 있습니다. 최고의 한해를 이끈 슈마 GO의 조규남 감독님도 그 대표적인 케이스죠. 팀리그 원년에서는 힘을 제대로 발휘못한 KOR팀이 요즘 상승세를 타는 이유도 이명근 감독님 덕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하고싶은말은 스타에서 감독은 필요합니다. 어쩌면 프로스포츠에서 필요한것 그 이상으로 필요하다고도 보여집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

레디삐님의 글 보고 수정합니다 ^^;; 즐거운 하루되세요~
03/12/05 23:17
수정 아이콘
감독의 역할은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을 보면서 정말 실감했었죠..^^;;
03/12/06 04:15
수정 아이콘
연극에서 연출자가 가진 위치와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막상 막이 오르면 지켜볼 수 밖에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75 나더러 뽑으라고 한다면-지명식관련 [14] 캐터필러13097 03/12/06 13097
15574 [정보]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전 조추첨을 Live로! [26] 막군10473 03/12/06 10473
15572 [잡담] 조지명식 재미있었나요? [29] 서쪽으로 gogo~10063 03/12/06 10063
15571 인간으로서 매력만점인 이윤열 [30] 이훈석13392 03/12/06 13392
15569 [개인 잡담]여러분 응원해 주세요~ [8] 고영6727 03/12/06 6727
15568 한빛스타즈 어리버리브라더스결성! [21] eritz11935 03/12/05 11935
15567 배울게 없다 [7] Ace of Base9008 03/12/05 9008
15564 남자이야기에서의 테란상대 [33] MoreThanAir10730 03/12/05 10730
15563 [그림&문자중계]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조 지명식 [228] 막군13931 03/12/05 13931
15561 [잡담] 애니 종영의 후유증... [19] 세레네이8425 03/12/05 8425
15560 프테전에서의 가스의 추억=_= [13] 낭만다크8229 03/12/05 8229
15558 [잡담]임요환선수....에대해서.. [3] foreversunny10223 03/12/05 10223
15556 운명의 상대(1)........(갈라놓기 모드...입니다...;;;) Asianlife7426 03/12/05 7426
15555 2002년 전에 운전면허 따신분들 보세요.. [14] 이상8222 03/12/05 8222
15553 저기 테란 랭킹 젤마지막 자락에 최연성선수가 보이네요.. [10] [GhOsT]No.19690 03/12/05 9690
15552 저그, 그 새로운 전설을 기다리며... [14] Nabi8362 03/12/05 8362
15550 은하영웅전설에 관한 소식 하나 [12] optical_mouse7857 03/12/05 7857
15549 아~ 드뎌 오늘이군요. [7] GiveMeAHellYeah7046 03/12/05 7046
15547 저그가 우승하기 힘든 이유.. [4] People's elbow8582 03/12/05 8582
15546 대 테란전 스타게이트 출발 [22] 다린토8511 03/12/05 8511
15543 스타에 꼭 감독이 필요합니까? [24] 시인11459 03/12/05 11459
15542 공격하는 임정호, 방어하는 이재훈 [15] 루저9649 03/12/05 9649
15540 잡생각... [1] 거위의꿈6302 03/12/05 63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