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27 17:58:15
Name 종종종그그미
Subject [질문]수학 공부에 대한 질문 입니다
이번에 재검으로 인한 공익 떨어 지면서 수능 공부를 할생각 입니다
영어와 수학 공부를 중심으로 하려고 합니다...
(둘다 기초가 떨어 져서요..)
영어는 단어 책과 몇몇 기초 강좌를 들으면서 하면 되겠다 싶은데....

문제는 수학입니다 ....
중학교 이후 수학은 포기하여 기초가 전혀 없습니다
(물론 중학교 때 배운 수학들도 모두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
어떻게 시작 해야 하며
문제집이나 강좌 공부법 등을 알려 주세요 ...
시간은 적게는 1년 길게는 3년까지 보고 있습니다
(공익 하면서 시험은 항상 볼수 있으니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aMuGatzz
07/10/27 18:28
수정 아이콘
중학교 수학은 교과서랑 서점나가서 참고서 조금만 둘러보시면 괜찮은거 많구요
10-가,나 부터는 역시 정석책이 좋더군요. 고3 수험생인 저로서는 수학은 개념잡고 양치기하는게 왕도인듯 싶어요
웨인루구니
07/10/27 19:06
수정 아이콘
길게보지마시고 다음해에 꼭 이루겠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길 바랍니다.
지금 안하는 사람은 나중에도 절대 안합니다.
펠릭스~
07/10/27 20:37
수정 아이콘
아예 기초가 없다면 차라리 다행입니다...
다만 조금 쉬운 책을 풀수 있는 만큼만 풀라고 이야기 해 드리고 싶네요...
그래도 수학은 차근차근 단계를 밟으면 실력이 점점 오릅니다..
새로운별
07/10/28 14:12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 경우시군여... 전 실업계나와서 전문대갔다가 자퇴를하고 재수를 하는중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실업계 전문 학원을 다니고있는데 역시 기초가 부족한 실고생들에 가장 어려운 난적은 수학입니다...

님도 비슷한 입장같으신데 저로서는 수학을 독학하는건 엄두가 안나지만 학원에서 하는 방식을 말해드리자면

일단 수학에 수업난이도는 수능난이도입니다 수능시험에 범위를 공부하는거죠 그리고 그 안에서 기초가없으니 막히는것들이 있죠

그것은 수학선생님이 하나하나 설명해주시면서 천천히 나아가는 중입니다 독학을 하신다면 일단 수능난이도에 기본서랑 문제풀이집

사신다음에 기본서보시면서 풀어가다가

풀다보면 막히는게 있을겁니다 설명이 안되있는... 그런거는 다 전에 끝냈어야할 기초과정인거져 어쩔수없이 그럴때마다 그 부분에 공부

를 따로 하셔야할거같군요... 함수라던지 이차방정식 근의공식 삼각함수 연립방정식 등등 저도 하나도 몰랐는데 점점 배워가는 중이에요..
The_CyberSrar
07/10/28 17:45
수정 아이콘
중학수학부터 다시 차근차근 밟아 나가면 될겁니다. 우선 4칙연산이 제대로 되어야겠죠. 가끔 중학생 과외를 하다보면 일반적인 숫자
계산은 잘하는데 다항식 연산이라던지 괄호가 있는 것에서 분배법칙,교환법칙,결합법칙등등을 모르는 학생들이 많거든요.
중학수학에서는 기본적인 4칙연산과 간단한 방정식을 세우는 방법, 기본 도형의 이해, 인수분해 등을 학습목표로 삼고 공부하시고
고등수학부터는 정석이나 개념원리책을 벗삼아 차근차근 유제 풀어가면서 개념을 이해해 가시길 바랍니다.
기본서를 3번 정도 돌려가면서 반복학습하다보면 전체적인 수학의 윤곽이 보일것이고 그 이후부터 수능식 문제집을 풀면서
몰랐던 풀이방법이나 문제유형을 익혀가면 좋은 성적 받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답지를 보는데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되지만 후에는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답지를 되도록이면 보지 않는쪽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인 즉슨 답지를 보면 이해가 간다 할지라도 그것이 기억에 남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틀리는 문제는 다시 틀리게 된다고나
할까요? 아무튼 제가 경험한 바로는 그렇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019 케텝의 문제는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19] Again6108 07/11/29 6108 0
33018 가속하는 플저전, 쾌검 난무 [30] 김연우9216 07/11/29 9216 49
33017 테테전, 두뇌 싸움의 미학 [10] 소현4615 07/11/29 4615 1
33016 [제안] 프로게이머 합숙제도는 꼭 필요한가? [87] Geni7722 07/11/28 7722 1
33014 올드의 부진과 KTF [15] 김연우7779 07/11/28 7779 0
33010 프로리그 최초 통산 80승 선수의 탄생을 축하합니다. [41] The xian8057 07/11/27 8057 2
33008 프로토스 투신 윤용태 [24] Timeless7007 07/11/27 7007 0
33007 아.. 김택용의 포스. (네타인가..) [17] TaCuro7218 07/11/27 7218 0
33006 선수들이 팀플을 원하지 않는다? [20] skyk4292 07/11/27 4292 0
33004 팀플리그를 만들면 어떨까요? [39] 태엽시계불태4771 07/11/27 4771 2
33003 팀플에 대한 선수들의 생각 [27] 가을의전설4233 07/11/27 4233 1
33001 경기력? 운? 컨디션? 실망? 단순한 판단은 접어라!!! [18] 료상위해4293 07/11/27 4293 0
33000 박정석 선수... 화이팅!! [8] 가을이횽의4101 07/11/27 4101 1
32999 리그가 양분되면 어떨까요? [8] Just4273 07/11/27 4273 0
32998 황량한 벌판위에 버티고 서있을수 있는 고목이 되길 바라며 [7] Made.in.Korea5168 07/11/27 5168 1
32997 게임단 운영 및 신인 드래프트 개혁. [7] BuyLoanFeelBride4946 07/11/27 4946 3
32994 스타팬은 느긋함을 가져야 한다. [14] 가을의전설4358 07/11/26 4358 0
32993 공군이 드디어....... [12] SKY925914 07/11/26 5914 0
32992 도재욱의 시원한 스타일 [11] 마법사scv4984 07/11/26 4984 0
32991 박정석 전략은 투팩을 노린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53] 고지를향하여7953 07/11/26 7953 5
32990 헉...... 이게 뭐죠;; [53] SKY928382 07/11/26 8382 0
32989 스타 뒷담화의 위력...!!^^ [2] Pride-fc N0-15863 07/11/26 5863 0
32988 스타 프로리그판에 과연 정답이 있습니까? [10] TaCuro4264 07/11/26 42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