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2/26 17:38:20
Name v.Serum
Subject [일반] [책후기] 작은땅의 야수들,
해가 넘어가기 전에 , 사두고 읽지 못한 책들을 한권이라도 끝내보자는 맘으로 시작해서

어렵게 .. 어쩃거나 한권을 마무리 했기에

짧은 후기를 남겨봅니다

===================================================================

작은땅의 야수들 , 김주혜 작가의 소설입니다. 원서는 영어이며  무려 한글 번역 발매입니다

김주혜 작가는 아주 어릴떄 가족과 미국으로 이주하여 미국인으로 자랐으나 조부께서 독립운동가이시고

자신의 가족과 본인의 삶을 통해 이 책을 쓰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 책은

구한말부터 6.25 이후의 이야기를 단 600페이지에 녹아내린 책입니다.

다양한 상황에 처한 입체적인 인물들과 그들의 얽힘, 시시각각 변하는 그들이 살아가는 작은땅의 모습에 대한 묘사로

지워지지 않는 뼈시린  우리의 역사를 이야기 합니다.

굵직 굵직한 시대의 변곡점을 마치 그자리에서  지켜본듯 한 작가의 글에서 정말 많은 노력을 하셨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고

많은 영화와 소설의 장면들이 스쳐가는듯 한 기분을 받았습니다.


날씨나 환경, 캐릭터가 처한 상황에대한 묘사가 조금은 과하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어 조금 담백한 맛은 떨어지는 글이었지만

그로인해 글 전체가 상당히 입체적으로 와닿는점은 매우 좋았습니다.


너무나 많은 이야기들을 단 한권에 담았다보니

책이 좀 얕게 느껴져서 저에게는 조금 아쉬운 책이긴 했습니다만

조정래 선생님의 아리랑부터 한강까지의 그 어마어마한 대하소설을

"전부 다 합쳐  단 한권에 짜부시켜봐" 라고 한다면

이 책이 정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잘 쓰여진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다 보니 한국사를 잘 이해하는 우리들에겐 어쩌면 책이 좀 얕게 느껴지는 아쉬움이 드는 것 은 당연한지도 모르겠네요


김주혜 작가님의 에필로그나 책에대한 이야기를 보면

너무나 아프고 쓰라리지만, 그 시대속의 독립운동가들과 격변의 시대를 버텨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널리 전하고 싶었다고 하는데

참 멋지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떤 외국인에게 아리랑, 한강, 태백산맥과 같은 대하소설을 선뜻 추천할 수 있을까요?

이미 전세계에 널리 알려져 상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더욱 많이많이 읽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당신이 한국인이라면,  단 한권의 책은 아쉬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아프고 시린 우리민족의 이야기를 , 한번 더 읽어보기에 참 좋은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영미권과 러시아 사회에 이 책을 선택해 널리 출판해준 출판인들에게  한사람의 한국인으로써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싶고

이토록 멋진 한글 번역본을 출간한 출판사에 박수를 보냅니다

원서로 한권 사서 읽고, 주변 외국인 친구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른한우주인
24/12/26 17:52
수정 아이콘
올해 톨스토이 문학상을 받았다는 그 책이군요.
24/12/26 17:5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시대와 삶에대한 이야기라는 측면에서 톨스토이상과 잘 어울리는 책임에 분명합니다
김태연아
24/12/26 22:12
수정 아이콘
동네 서점갔다가 주인아저씨가 못찾아 그냥 왔는데 다시 가봐야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450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5. 곳집 창(倉)에서 파생된 한자들 [7] 계층방정2198 25/01/07 2198 2
103449 [일반] 월스트리트저널 11.14. 기사 해석 (중남미에 확대되는 중국의 영향력) [2] 오후2시3367 25/01/07 3367 11
103447 [일반] [역사] 바퀴는 쓸모 없었다 | 바퀴의 역사 [6] Fig.13396 25/01/07 3396 25
103445 [일반] 오늘 미국에서 최초로 조류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15] 독서상품권7972 25/01/07 7972 0
103444 [일반] 한강 작가 소설 세 편을 읽어봤습니다. [17] a-ha6196 25/01/07 6196 19
103443 [일반] 인플루엔자 및 타 호흡기 감염병 유행 조심하세요. [77] 여왕의심복9955 25/01/07 9955 58
103442 [일반] 점점 우리 주변에 스며드는 중국 자동차 [76] 깃털달린뱀11148 25/01/06 11148 12
103441 [일반]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18] 간옹손건미축6355 25/01/06 6355 25
103440 [일반] 정보의 과잉이 갈등을 부추긴다. [37] 푸끆이6853 25/01/06 6853 14
103439 [일반] 친부살해 무기수 재심 '무죄'…김신혜 "이렇게 오래 걸릴일인가 [53] 덴드로븀11196 25/01/06 11196 3
103436 [일반] 이노3D RTX 5090 사진 유출, 32GB 메모리,3.5슬롯 쿨러 [40] SAS Tony Parker 3651 25/01/06 3651 0
103430 [일반] 강철의 연금술사전을 보고 왔습니다. [18] 及時雨4816 25/01/05 4816 6
103429 [일반] [2024년 결산] 2024 환희와 환멸 혼돈2679 25/01/05 2679 5
103428 [일반] [2024년 결산] 2024년 PGR21 자게에 제가 남긴 발자취 [7] 계층방정2911 25/01/05 2911 10
103426 [일반] 한국은 현재 저신뢰 사회를 만든 대가를 치루고 있습니다 [91] 멜로13658 25/01/05 13658 48
103423 [일반] [팝송] 카일리 미노그 새 앨범 "Tension II" [5] 김치찌개2602 25/01/05 2602 1
103416 [일반] 앎, 이해라는 허상과 권력 [3] 다크드래곤2438 25/01/04 2438 0
103401 [일반] 섀넌의 척수 : 정보이론과 인공지능 [7] 번개맞은씨앗2824 25/01/03 2824 2
103400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4. 재주 예(埶)에서 파생된 한자들 [4] 계층방정1656 25/01/03 1656 2
103395 [일반] 무기력과 무감각했던 휴일의 개인적 단상. [6] aDayInTheLife3758 25/01/02 3758 11
103393 [일반] 용산역사박물관의 "접속, 용산전자상가" 특별전을 보고 왔습니다. [14] 及時雨4122 25/01/02 4122 4
103392 [일반] 새해 첫날 새옷을 입어본 결과 [24] LA이글스4161 25/01/02 4161 2
103389 [일반] 아니 시내 한복판에서 170을 밟으시면.. [47] Lord Be Goja9218 25/01/02 9218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