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05 17:04:17
Name SAS Tony Parker
File #1 60fdeb781cda0ad5c2ea40bdbce82d37.jpg (130.2 KB), Download : 544
File #2 bd4676006e63dca3569a1d5dc3e71d6c.jpg (138.8 KB), Download : 509
Subject [일반] 아수스, 그래픽카드별 파워서플라이 용량 안내






ASUS는 그래픽카드와 CPU 조합시 권장 파워 서플라이 용량을 안내중, 권장 파워 안내 자료에 새로운 RTX 4080과 RX 7천 시리즈 그래픽카드 자료가 추가됨

RTX 4080의 경우 최소 750W에서 최고 1000W의 용량을 권장하였으며, RX 7900 시리즈는 최소 700W에서 최고 1200W의 파워를 사용할 것을 ASUS는 권장했음

MSI 발표도 있지만 아수스 발표가 조금이라도 더 일반적이라 아수스 자료를 가져옵니다

물론 이마저도 여유있는 용량 발표긴 합니다 (제 견적 구성 성향과도 비슷하고, 글 쓰는 김에 스타일을 조금 밝히면 전 일단 파워는 넉넉하게 박아두고 출발합니다

제가 500W 쓰는 경우는 딱 2갠데 단순 사무용이거나
돈 없어서 짜내야 될땝니다 소음이나 몇년뒤를 생각하면 딱 맞추는거 보단 여유로운게 낫습니다 파워서플라이가 무지막지 비싼 부품도 아니구요

위 2가지 경우를 제외하면 600,750,850W를 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rd Be Goja
22/12/05 17:20
수정 아이콘
저는 파워만큼 헛돈쓸때 체감못하는 부품없다고 봐서(파워 불량난것들보면 용량 간당간당한거 들어가서 쓰다 콘덴서 노화로 용량줄어서 터지는놈보다 멀쩡한 스펙 들어갔는데 그냥 급사하는 경우가 훨 많습니다) 적당한 가격선에서 쓰는편인데

139k+4090은 음.. 그렇게 하기 굉장히 어렵지 않을까.. 싶더군요.
하드웨어벤치사이트들 처럼 브가 따로 시피유따로 or 게임중 최대값 이런식으로 안걸고 (이러면 6백와트 중반 나옵니다)

cpu로드걸면서 ai그림 돌리니까 인스펙터에 피크치 830~840w찍히더라구요.
https://gfycat.com/keenwellinformedirishwolfhound
SAS Tony Parker
22/12/05 17:22
수정 아이콘
얘넨 그냥 1000W 골드이상 쓰는게 속 편하죠 크크
22/12/05 17:42
수정 아이콘
5950x+6900xt 조립 준비하면서 850w급으로 파워 찾아보는데 추천받으면 시소닉 안텍 fsp... 얘네들 쓰기도 이제 질려서 다른 회사거 사려고요. 뭐 알고보면 같은 공장 같은 제품인게 비일비재하지만요
SAS Tony Parker
22/12/05 17:59
수정 아이콘
델타, 에너맥스,EVGA 정도 남습니다
manymaster
22/12/05 19:03
수정 아이콘
델타는 A/S 담당자가 어 이게 고장날 때도 있구나 하면서 신기해한다는 전설이...
이런 전설이 나오고 서버에 애용될 정도로 신뢰가 높은 제품입니다. 그런 고신뢰성 브랜드가 요즘 보면 비슷한 용량에 비슷한 효율의 제품이 가끔 시소닉이나 FSP 고급 파워보다도 낮은 가격에 나오곤 하더라고요.
비뢰신
22/12/05 17: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안텍 as 함 받은이후엔 어지간한건 안텍제품
사장님 as 마인드 친절도 넘사벽
SAS Tony Parker
22/12/05 18:00
수정 아이콘
안텍 유통사 좋죠
발적화
22/12/05 17:53
수정 아이콘
fsp 850w 골드 쓰고 있는데 컴업하면 얄짤없이 바꿔야 하겠네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2/12/05 18:17
수정 아이콘
3060~70 급에서 맘 편하게 손 놓는게 베스트가 아닌가 시프요... 슬슬 패러다임이 한번 바뀔 때가 된거 같은데;
SAS Tony Parker
22/12/05 18:31
수정 아이콘
FHD 유저면 3070이고
QHD는 3080이면 되죠
manymaster
22/12/05 18:59
수정 아이콘
3070~4080 사이에 지금 물량이 거의 없습니다. 있긴 있는데 좀 수고를 들여야 살 수 있을 정도이고 제품을 가려 살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비슷한 급의 암드 글카도 마찬가지라서...
그런데 3070하고 4080사이에는 성능 격차도, 가격 격차도 어마어마하다보니.... 그냥 돈 확 쓸꺼면 4090 지르는 거고, 아니면 3070에서 멈추고 그렇게 됩니다.
22/12/05 19:19
수정 아이콘
머리는 4080인데 가슴으로는 7900XTX가 왜이렇게 땡길까요.. 스팀게임만 하는데 라데온 드라이버가 어떻길래 하나같이 만류하더라구요 크크
7900XTX 출시하고 어느정도 지나야 이 글카가 똥인지 된장인지 판명이 될까요? 완전한 똥이 아니라면 한번 찍어먹어볼 생각 있습니다
SAS Tony Parker
22/12/05 19:21
수정 아이콘
판정은 보름만 지나도 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12/05 19:44
수정 아이콘
문젠 그 뒤에도 캐바캐가 심한게 라데온이니...크크
SAS Tony Parker
22/12/05 20:17
수정 아이콘
육성형 그래픽카드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2/12/05 19:43
수정 아이콘
4090으로 한방에 가시면 해결됩니다...
22/12/05 19:30
수정 아이콘
요즘얘들이 밥을 점점 많이 잡수시는는 반면 하드는 예전처럼 많이 안꼽아쓰는관계로 기왕 비싼거 살땐 모듈파워가 선정리에도 도움되고 좋습니다!
SAS Tony Parker
22/12/05 19:33
수정 아이콘
풀모듈러 가즈아
Myoi Mina
22/12/05 21:25
수정 아이콘
파워는 20년 넘게 거의 브랜드파워만 써왔었는데, 단 한번 업체불명의 정격 500w파워 쓰다가 날려먹은뒤로는 파워 선별에 대한 의지가 훨씬 더 강해졌다는 크크크크크 (다행히 보드의 내장랜 칩셋만 날아갔었고, 당시 STCOM에서 이틀만에 수리됐었죠.. P965 코만도 보드였던걸로 기억... 시퓨는 요크필드였고..)

현재는 안텍 시그니쳐1300W 사용중인데....얘넨 12vhpwr케이블 소식이 너무 늦다는 ㅠㅠㅠ(이번달 출시예정이라는데..과연..)
SAS Tony Parker
22/12/05 22:15
수정 아이콘
기다리는자에게 복이 있나니
교대가즈아
22/12/05 21:47
수정 아이콘
650-750W골드 풀모듈러 파워면 적정 가격대가 어느정도일까요?
SAS Tony Parker
22/12/05 22:15
수정 아이콘
750W 12만원 정도
교대가즈아
22/12/05 23:50
수정 아이콘
파워값 많이 오른거 같네요.. 예전엔 더 저렴했던거 같은데..
22/12/06 02:59
수정 아이콘
xtx가 750으로 커버 안 될른지...
SAS Tony Parker
22/12/06 03:30
수정 아이콘
사용이야 되겠는데 다 쓰려면 850으로..
22/12/06 06:26
수정 아이콘
저는 4000번대 가격 뜨자마자 그냥 엑시엑 샀습니다 포기했어요 ㅠ
PC로는 구작 게임이나 턴제 RPG 정도만 하는걸로..
SAS Tony Parker
22/12/06 09:58
수정 아이콘
가성비갑
nm막장
22/12/06 06:26
수정 아이콘
크크 3060 중고로 하나 들였는데 감샤합니다. 파워는 새로 안사도 되겠군요
SAS Tony Parker
22/12/06 09:59
수정 아이콘
FHD면 3060 충분한 성능이죠
개발괴발
22/12/06 06:31
수정 아이콘
에어콘이여...
SAS Tony Parker
22/12/06 10:08
수정 아이콘
4~5년 뒤면 인덕션,오븐 긴장해야
22/12/06 10:08
수정 아이콘
600W에 3070 달아도 되나요? 간당간당한가
SAS Tony Parker
22/12/06 10:11
수정 아이콘
가능은 합니다 시끄러울뿐..
나머지 시스템 구성이 중요하겠네요 전력은 다같이 쓰는거라
22/12/06 10:13
수정 아이콘
안텍이라서 한번 믿고 개겨볼 생각입니다... 터지진 않을거 같아서;
Lord Be Goja
22/12/06 1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guru3d.com/articles_pages/geforce_rtx_3070_founder_review,6.html
3070 꽤 저전력이라 충분합니다.거기다가 i9 r9 달일도 없고요

어지간히 가격나가는 메이커 파워들 전기좀 땡겨쓴다고 겁나 시끄럽지도 않으니 걱정안하셔도 되고요
그런거 실물 조합본적없는분들이 겁먹습니다
22/12/06 21:27
수정 아이콘
300W 쓰던 낭만의 시대는 이제 끝났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49 [일반] 나는 서울로 오고 싶지 않았어 [32] 토우12612 22/12/08 12612 19
97348 [일반] 예수천국 불신지옥은 성경적인가. [140] Taima14982 22/12/07 14982 15
97347 [정치] 독일서 쿠데타를 모의한 극우 및 전직 군 인사 집단 체포 [33] 아롱이다롱이15587 22/12/07 15587 0
97346 [일반] 자녀 대학 전공을 어떻게 선택하게 해야할까요? [116] 퀘이샤15052 22/12/07 15052 9
97345 [일반] 현금사용 선택권이 필요해진 시대 [101] 及時雨13461 22/12/07 13461 18
97344 [일반] 귀족의 품격 [51] lexicon14293 22/12/07 14293 22
97343 [일반] 글쓰기 버튼을 가볍게 [63] 아프로디지아10124 22/12/07 10124 44
97342 [정치] 유승민 경멸하지만 대선 최종경선 때 유승민 찍은 이유 [100] darkhero19465 22/12/07 19465 0
97341 [일반] 아, 일기 그렇게 쓰는거 아닌데 [26] Fig.19833 22/12/07 9833 20
97340 [일반] 책상 위에 미니 꽃밭과 딸기밭 만들기 [16] 가라한8724 22/12/06 8724 12
97339 [일반] 커뮤니티 분석 글들의 한계 [68] kien.16032 22/12/06 16032 24
97338 [일반] 고품격 배우들의 느와르 수리남 감상문 [14] 원장9596 22/12/06 9596 1
97337 [정치] 한덕수 김앤장 전관예우가 문제 되는 이유 [58] darkhero17038 22/12/06 17038 0
97336 [정치] 한국에 와서 고생이 많은 마이클샌델 [76] darkhero16760 22/12/06 16760 0
97335 [정치] 윤 대통령, 청와대 영빈관,상춘재 재활용 [86] 크레토스15325 22/12/06 15325 0
97334 [일반] 출산율 제고를 위한 공동직장어린이집 확충 [58] 퀘이샤12071 22/12/06 12071 38
97333 [일반] 노동권이 한국사회를 말아먹는 메커니즘(feat 출산율) [148] darkhero17088 22/12/06 17088 36
97332 [정치] 국정원 ‘신원조사’ 보안업무규정 시행규칙 개정 [117] SkyClouD14066 22/12/06 14066 0
97331 [일반] 지코의 새삥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2] 포졸작곡가7660 22/12/06 7660 6
97330 [일반] 아라가키 유이와 이시하라 사토미 [34] Valorant13434 22/12/06 13434 2
97329 [일반] '테라·루나 사태' 신현성 전 차이대표 영장 기각 [46] 타츠야16757 22/12/05 16757 0
97328 [일반] 건설현장에서의 노조 문제 [208] 퀘이샤22321 22/12/05 22321 75
97327 [일반] 아수스, 그래픽카드별 파워서플라이 용량 안내 [36] SAS Tony Parker 11499 22/12/05 1149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