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08 22:15:57
Name 플레스트린
Subject [질문] 암보험 인플레이션 질문 (수정됨)
암보험 가입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보통 보험사마다 공통적인 기본 옵션 넣어보면,

암진단비 3천만원 or 5천만원
뇌출혈진단비 : 천만원
뇌졸중진단비 : 천만원
허혈심장잘환진단비 : 천만원

여기에 더해서 1~5종 질병수술비 정도인데요.

또 제일 많이 찾는 옵션이 20년만 내면 되는 20년납 90세만기 (20년만 보험비 내고 90세까지 보장받는) 상품이고요.

이 조건에 암진단비 3천 기준으로 이것저것 다 더하면 월간 8만원 x 20년 견적이 뽑히더라고요.

여기까지는 거의 모든 보험사가 크게 차이 없이 공통되는 가격대였습니다.

어디는 수술비가 저렴하고 어디는 암진단비 비용이 저렴하다는 차이는 있지만 토탈 내보면 크게 차이날 건 없더라고요.

보통 암진단비가 보장금액 천만원 당 월비용 만원꼴인 것도 유사했고요. (암 진단비 5천만원 보장이면 월 보험금 5만원대.)



그런데 문제는 보상금의 인플레이션 고려가 안 되어 있다는 겁니다.

2025년 현재 암치료비가 일반적으로 3천만원, 간암, 췌장암은 6천만원 정도로 꼽히는데요.

하지만 암진단비 3천만원은 2025년 기준에서나 유효한 금액입니다.

물가상승률을 연평균 2.5퍼센트로만 잡아도, 30년 뒤 2055년 기준에서 암진단비 3천만원 받아봐야 실제 가치는 1500 이하로 떨어질 것이 자명합니다.

2025년 기준 30대에 암보험 가입한 사람이 40, 50에 암 걸릴 확률은 낮은 편이지요.

분명 가입 30년 지난 다음인 60대, 70대부터 암 위험이 커질텐데요.

정말 필요한 시기에 보장금액의 실제가치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니 큰 문제라는 생각이 드네요.

특히 20년납 90세만기의 취지인 노년기 보장이 취약한데요.

70대 중반 시점부터는 3천만원의 실제 가치는 천만원 이하를 찍기 시작하며 종국에 80대를 넘어서면 실제 가치는 800, 600만원 수준으로 떨어져버리게 됩니다.

그 시점에서는 사실상 무의미한 치료금액이죠.


여기서 암보험을 굳이 들어야 하나 싶은 의문이 들었고, 특히 20년납 90세만기 상품은 정말 기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요.

듣기엔 체증형 상품도 있다고 하던데, 체증형은 보장한도가 낮고 월 보험 금액이 훨씬 비싸서 손해다... 라는 썰도 들리더군요.

하지만 그래도 20년납 90세만기보다는 현실성이 있는 상품 아닌가 싶은데...

40, 50대에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생각하면 그냥 10년단위 갱신형 암보험을 드는게 낫고 가격도 압도적으로 싸겠죠.

PGR러 분들은 암보험을 어떻게 들고 계시나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상화
25/01/08 22:38
수정 아이콘
체증형도 x년 이후 n배 준다는 것과 보험료 차이만 있지 똑같은 20년납 90세만기입니다
플레스트린
25/01/08 23:06
수정 아이콘
그래도 보상금액이 훨씬 현실적으로 나오고 물가인상률 방어가 되지 않나요?
정상화
25/01/08 23:56
수정 아이콘
20년후 2배주는게 보험료도 2배 가까이 하면 큰 의미가 없죠
플레스트린
25/01/11 14: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연히 보장받는 금액을 낮춰서 비용을 엇비슷하게 맞추게 되죠.

보상금 고정되는 암진단비가 3천~5천이면, 체증형은 1천~2천(+쿨타임마다 보상금 인상)으로 바꾸겠지요. 거기에 저렴한 갱신형 보험을 하나 더 들어서 메꾸는거고요.

계산기 두드려서 후자가 이득일때 하는거지요.

전자 보험료가 대단히 비쌉니다. 월 10정도 해요. 그런데 전자는 60대부터는 보장이 형편없어져요. 그러니 후자와 10년 갱신형 보험을 조합해서 비슷한 비용이 나온다면 후자가 이득이죠.
새침한 고양이
25/01/09 04:22
수정 아이콘
젊은 사람 보험료가 싸고 나이든 사람 보험료가 비싼게 다 이유가 있죠.
25/01/09 08:52
수정 아이콘
드신 보험은 낸거만큼 받는 개념이 아니라 위험율에 따라 돈응 부담하면 금액을 보장하는 개념입니다.

인플레에 따라 보장금액이 올라가야한다면 위험율이 아닌 인플레에 따라 보험료도 올라가야 합니다. 인정하실수 있나요?
설탕물
25/01/09 18:37
수정 아이콘
음.. 그렇게 얘기하면 당연히 인정하지 않을까요? 보험은 20년 납입하면 완료인데 받는건 훨씬 나중에 받잖아요. 당연히 고객한테 이익인데
플레스트린
25/01/11 14: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차라리 90세만기 장기보험을 든다면 보험료 인상 감수하고 체증옵션을 넣겠죠. 그게 80살되서 3천만원 그대로 받는거보단 훨씬 낫죠.

그 옵션을 안 넣으면, 지금 들리는 실제 사례처럼 2020년에 과거 장기납입한 암보험 타먹으니 보상금이 500이더라 하는 사례 되는거고요.

그리고 20년납 보험에서 보상비 체증옵션은 단지 월 납부 보험료의 최초 설정하는 기본값이 비싸게 올라갈 뿐이며, 물가에 따라 보험비가 변동되진 않습니다.

주기마다 가격이 인상되는 건 20년납이 아니라 갱신형 보험의 특징이죠.
25/01/09 09:15
수정 아이콘
이게 그래서 애매한게
엄청 과거에 든 보험들 지금 와서 보니 쓰레기더군요 크크
파고들어라
25/01/09 10:03
수정 아이콘
20년전 보험을 지금 보면 조건은 혜자인데 보상액은 창렬이다 가 되죠.
갑상선암, 조기 위암 같은 지금은 암 취급 안 하는 것도 똑같이 보험금을 주지만 금액이 천만원. 이런식으로요
설탕물
25/01/09 18:43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이유로 보험은 대부분의 경우 손해라고 생각합니다. 지인영업하는 이유가 다 있죠. 저도 들어둔 것들은 그냥 넣고는 있지만, 제 소득에 비해서는 적게 든 편이고, 애들이나 기타등등 전혀 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대값 따져보면 굉장히 창렬한데다 리스크 헷징 역할도 그리 큰지... 3천만원 5천만원 이러면 적은 돈은 아니지만, 당장 내 재산이 그만큼 늘거나 준다고 지금 생활이 크게 변할 금액은 아니고요. 힘들때도 마찬가질거고요. 보험 탈 때 몇 억 이상 받는다면 영향이 있는데 그렇게까지 하기엔 비용지출이 너무 크죠.
25/01/09 20:22
수정 아이콘
보험료는 최대한 필수적인것만 적게내는게 최고라고봐요. 보험료가 적게나오면 이거라도 어디냐
받을 일이 없으면 없어서 다행이다 그런거죠
본전이상 주는 보험은 원래 없거든요
나이스후니
25/01/09 22: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맞습니다.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돈낭비죠. 하지만 가장의 입장에서 내가 혹시라도 병에 걸린다면? 우리가족은 어떻하지란 고민에서 결국 보험을 가입하게 되더군요. 당장 내년에 큰 병에 걸릴수도 있죠.
그리고 40대에 들어오니 누구나 걸릴수 있는게 암이란 생각이 들기 시작합니다. 즉, 7,80대는 되야 걸린다는 생각이 밑바탕에 있어서 아까운겁니다
플레스트린
25/01/11 14: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다면 더더욱 20년납 90세만기 보험이 아니라, 10년단위 갱신형 보험을 들어야 하죠.

전자 들어봐야 70대부터는 보장도 안되는데요.

전자 가격은 월 8~10만원이지만 후자 가격은 월 1~2만원입니다.
나이스후니
25/01/11 21: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것도 맞습니다. 그래서 비갱신대신 갱신으로 선택하기도 하죠. 제가 비갱신으로 한 또 다른 이유는, 경제활동이 가장큰 50대 초반까지 모든 보험료 납입을 끝내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70대가 되었을때 보장이 안되는건 아닙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그 혜택이 주는것으로 예상되는거지 금액자체는 동일하죠. 저의 경우는 진단비로 혹시 아플경우 1년 가족 생활비를 버틸수 있게 해놨습니다. 적어도 말도 안되는 인플레가 오는게 아니라면 경제활동하는 나이까지는 버틸수 있을정도로요. 70,80이후에서의 병은 사실상, 가장으로서의 역할은 줄고, 병이 있어도 수술등도 쉽지 않아서 인플레로 인한 감소분은 감수가능할것 같다고 생각했고요.

반대로 갱신의 경우는 죽을때까지 계속 갱신해야하다보니, 내가 60대쯤에 그 보험료를 낼수 있을까란 고민도 있었고요. 그리고 갱신형은 나이가 들수록 병에 걸릴 확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1~2만원에서 더 오를 수 있습니다. 동일조건에서 진짜 8~10만원vs 1~2만원 인건 맞나요..? 실비도 나이가 올라가면 아플 확률이 커지기에 오르는 만큼, 갱신형도 오릅니다. 중간에 병에 걸릴 경우 다음 갱신때는 큰 폭으로 오르거나 가입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큰 폭으로 오를 경우 비갱신형보다 더 부담이 될수도 있죠. 내 건강상태에 따라, 갱신형으로 내는 비용이 더 클수도 있습니다.

즉, 비갱신으로 조금 비싸게 10~20년을 바짝 내고 추후 부담을 줄일거냐,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을 시작하지만 계속 낼거냐에서 전자를 택했습니다.
플레스트린
25/01/16 21: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계산으로는 2025년, 30대에 가입합 보험의 월 3천만원 보상은 60대부터는 1500만원의 실제가치, 70대에는 1100만원, 80대에는 7백만원 수준이더군요.

예를 들어 보죠. 지금 2025년 시점에서 암 걸린 60대 환자가 과거 든 비갱신형 장기 보험의 보험금으로 1500만원 받으면 감당이 안 되잖아요. 실제 수술비의 절반 수준인데다, 1~2년간 쉬는 생활비로도 대단히 부족하죠. 3천만원을 받아도 모자랄 판인데 그 절반이예요.

그처럼 월 2.5퍼센트 수준의 인플레에도 30년 뒤에는 그렇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60대를 지나가면 실질적인 보장이 전혀 안 된다고 보았습니다. 미리 정성껏 20년치를 납부한 보람이 전혀 없죠. 그래봐야 60대만 되어도 보장이 대단히 미약해지며, 실제 수술비의 절반 정도를 받게 되니까요.

정작 40대, 50대만 제대로 보장이 되니 갱신형과 별 다를바가 없습니다. 납부를 마친 뒤 30년간은 실질적으로 무방비 상태가 되니 새로 보험을 들어야 하고요.

오히려 20년간 미리 납부한 금액에 상당하는 금액을 그대로 적금으로 축적하는 것이 훨씬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험료 월 10만원 x12개월 x 20년 하면 2400만원이거든요. 2400만원은 지금 시점에서 훨씬 가치가 큰 돈입니다.

30세에 월 납부 시스템의 한국 국채 상품에 가입했다고 가정합시다. 3.7퍼 금리, 10년 만기로 월 10만원 납부하는 상품입니다. 그럼 10년 만기후 1480만원 정도를 받습니다.(납부 원급은 1200)

이 1480만원을 다시 나누어 10년간 월간 장기 국채 상품에 납부하면, 월 12만 3천원을 납부할 수 있고, 여기에 원래 보험에 붓기로 한 10만원을 더해서 납입하면, 22만 3천원을 매월 10년간 납입하며 총 3280만원을 환급받습니다.

여기서 이미 보험 납부 원금 2400에 비해 훨씬 큰 3280만원이 쌓였는데요. (50세 시점) 여기에 10년 갱신형 보험만 추가로 들면 걱정하신 40,50대 에 급작스런 병환 생기는 것도 대비가 되고요. 거기에 50세까지 보험료는 적게 내면서 50세 시점에서 이미 암 수술에 쓸 3280만원 현찰을 마련해놓게 되죠. 이 돈을 가지고 그 시점에서 새로 노년기 보험을 들어도 되고요.

또는 이 돈을 30년간 똑같이, 10년간 월간 국채 상품에 월별로 나누어 납입하면, 60세에 4020만원, 70세에 4930만원, 80세에 6030만원이 됩니다. 보험료를 정말 단순무식한 예금 수준의 안전자산에다 갖다박아도 80세 시점에선 2배 차이가 나게 됩니다.

그래서 전 지금 당장이나 가까운 10년기를 대비하는 갱신형 보험은 들 이유가 있지만, 노년을 보장하는 취지의 20년납 90만기 보험 같은건 무쓸모의 기만이라 평가했습니다.
나이스후니
25/01/16 21:34
수정 아이콘
너무 복잡하네요. 말씀하신바는 알겠습니다. 진단비를 다시 설명드리면 지금의 생활비와 노후의 생활비는 다릅니다. 4인가족이 그때는 독립하는 자녀가 있으면 2인이 될수도 있겠죠. 국채까지 고민하면서 한달 몇만원의 차이를 상쇄하면서 갱신을 선택하는건 제 입장에서는 굳이? 라는 생각이 듭니다.
위에도 썼지만 비갱신이나 갱신에서 저는 비갱신을 선택한거고, 결국 장단점이 있다고 봅니다. 저의 경우는 비갱신이 더 장점이 있었기에 선택한거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331 [질문] 미국은 단체행동이 약한게 교육 때문일까요? [24] 수지짜응2793 25/01/11 2793
179330 [질문] 갤럭시 휴대폰 중저가형 명기? [7] 재이소이2062 25/01/11 2062
179329 [질문] 미국증시에서 일본주식이 중국주식보다 더 인기없는 이유가 뭘까요? [4] 독서상품권1861 25/01/11 1861
179328 [질문] PGR에서 본 것 같은 글(2024 소설 투표?)을 찾습니다. [2] 오하영1830 25/01/10 1830
179327 [질문] GPS 기능, 음악 재생되는 스마트워치 가민이 최선일까요? [5] 기억의습작2273 25/01/10 2273
179326 [질문] Chat GPT를 접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 보여줄 영상이나 책 등 추천 부탁드립니다. [7] 그럴수도있어3383 25/01/10 3383
179325 [질문] 파타고니아 이런 판매상품은 가품일까요? [8] 호비브라운4368 25/01/10 4368
179324 [질문] 가성비 아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Jedi_Master4490 25/01/09 4490
179323 [질문] 페이팔 영문 고객센터 연락해보신 분 계실까요? [5] 백정2827 25/01/09 2827
179322 [질문] 유투브 미분강의 영상보다가 든 의문과 상상 [12] 환상회랑3697 25/01/09 3697
179321 [질문] 3개월의 시간이 생겼어요! [14] TheMoon3957 25/01/09 3957
179320 [질문] 에픽유저는 스팀 창작마당 이용이 불가능 한가요??? [2] 이르2915 25/01/09 2915
179319 [질문] 나이키 양말 큰 사이즈 사는 방법 있을까요 시무룩1009 25/01/09 1009
179318 [질문] 금세기 내에 '던'과 '든'이 통합되려나요? [27] 깃털달린뱀2413 25/01/09 2413
179317 [질문] 전세자금대출할때 집주인에게 액수도 중요한가요? [9] 호비브라운2163 25/01/09 2163
179316 [질문] (스포?)넷플릭스에서 모래시계 다시 보고 있는데요. [4] Pika482922 25/01/09 2922
179314 [질문] 트래킹화 질문입니다. [2] 정 주지 마!1360 25/01/09 1360
179313 [질문] 포켓몬센터 커버? 노래를 찾습니다. [2] 자너프1882 25/01/08 1882
179312 [질문] 암보험 인플레이션 질문 [17] 플레스트린2338 25/01/08 2338
179311 [삭제예정] 이 정도면 연봉 어느정도 받아야 하나요? [10] 삭제됨3972 25/01/08 3972
179310 [질문] 선배님들, 살려주십쇼. 결혼 10주년엔 뭘 해야하나요 [37] 아이유_밤편지4079 25/01/08 4079
179309 [질문] 공부방법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20] 에드워드그린3294 25/01/08 3294
179308 [질문] 영어회화를 중급으로 끌어올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2] 목캔디3257 25/01/08 32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