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Date 2011/01/25 10:51:53
Name purplejay
Subject [테란] ¥테테전. 지겨우신가요?¥
테테전의 화두이자 핵심은 해불선 vs 해불탱 과연 무엇이 옳은가? 겠죠.



스1과 달리, 무엇이 정석인가? 는 없습니다.(없다고 생각합니다.) 맵에따라, 취향에 따라 시도때도 없이 바뀔 수 있고 어느것이 더 좋다 나쁘다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이정훈선수로 대표되는 해불선의 기동력에 매료되어 몇번 이기다보면 더 잘하는분이 쓰는 해불탱에 지고 나서는 '아 역시 테테는 탱크인가?'하며 해불탱만 쓰다가 치고빠지는 해불선에 데이고 이랬다 저랬다 수차례 반복하곤 했죠. 이런 경우 많으실거라 생각합니다.



크게 두가지 주력으로 갈리기 때문에, 그나마 테테전이 덜 질리고 재밌긴 합니다만, 결국엔 다뽑자! 해불선탱바로 굳히는 게임을 반복하다보니 슬슬 질리기 시작했습니다. 같은 유닛, 같은 조합으로 싸우니 사실 좋은 빌드가 따로 없고 스텟에 의해 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니까요.



그래서! 테테전 만큼은 제 4의 종족이라는 마인드로 플레이하려 합니다. 경험상 동족전은 90%이상 나오네요.





<1> 빌드오더

1) 11병영 13가스 15궤도 16 보급고 -> 해병 4기까지 찍으며 가스 100타이밍에 군수공장, 이어 가스추가



2) 4해병 후 반응로, 1화염차 후 기술실

- 4해병 1화염차는 한번 찌릅니다.



* 한번 갈립니다. 취향에 따라, 경우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궤도사령부 마나 2번째 50 타이밍에 꼭 스캔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상대가 건물을 숨겨 짓더라도, 2가스인지 병영이 몇갠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니까요.

* 어느 선택지나 해병, 화염차는 꾸준히 찍되, 화염차 3~4기 전후로 공성전차로 전환해줘야 합니다.



3-1) 기술실 달면서 우주공항 -> 지옥불 업 + 화염차 3기정도 추가 + 벤시1기 찍고 밤까

: 상대가 우주공항 올라갔을 때 공격적으로 하고 싶을 시 선택하시면 됩니다.

- 4화염차 8해병정도로 앞마당만 늦춘다는 생각으로  찔러보되 체제 파악이 우선입니다.

- 탱크가 2기 있을 경우 우선 벤시는 배제하고 바이킹은 보류합니다.

- 상대도 벤시를 찍었을 시 밤까 1기 바이킹 1기 눌러줍니다. 상대의 벤시가 바로 본진에 날아오는 것을 늦추기 위해 화염차 해병으로 입구를 몇번 두드려줘야합니다.

- 미사일포탑을 아낄 수 있고, 상대에게도 밤까 or 포탑을 마찬가지로 강요한다는 장점 외에 멀티가 늦은 단점이 있습니다.



3-2) 기술실 달면서 우주공항 -> 지옥불 업 + 화염차 3기정도 추가 + 벤시 찍고 은폐업, 벤시 꾸준히

: 러쉬거리가 먼 경우 유행하는 1병영 더블 이후 다수병영 체제시 선택하시면 됩니다.

- 1벙커는 짓게 마련인데, 1벙커라면 벤시로 후방으로 해병을 유인한 뒤 해병 화염차로 벙커를 깰 수 있습니다. 화염차가 먼저 달려들어야 하며 언덕에서 내려오는 해병들을 화염차 컨트롤을 통해 줄여줄 수도 있습니다.

- 2벙커에 불곰까지 섞여있다면 무리하지말고 벤시로 후방을 괴롭히며 정면은 화염차 해병으로 빈틈을 노리되, 무리는 하지 말고 압박감을 심어주도록 합니다.

- 대부분의 경우에, 이쪽도 확장을 매우 늦추고 흔드는 것이기 때문에 후방이든 정면이든 빈틈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최대한 이득을 보며 때맞춰 앞마당 따라갑니다.

- 매우 높은 성공확률로 흔들 수 있는 장점외에, 어느정도의 멀탯이 요구됩니다.



3-3) 기술실 달면서 지옥불업 + 화염차 3기정도 추가 -> 앞마당 -> 공학연구소 -> 미네랄필드 포탑 1개씩

: 우주공항 올라가는 것을 봤을 때 수비적으로 운영하고 싶을 시 선택하시면 됩니다.

- 멀티가 상대보다 빠른 장점이 있지만, 상대가 작정하고 은폐벤시를 지속적으로 찍으면 모든 지역을 포탑으로 커버할 수 없기에 빈틈이 생깁니다. 화염차만 정면에 두고 해병은 최대한 빨리 빼주어 피해를 최소화 해야합니다.





<2> 앞마당 이후 운영

1) 3 군수공장까지 늘려 (2기술실 1반응로) 기본적으로 1/3/1 체제를 갖춥니다.



2) 유닛구성 : [해병 화염차 공성전차 바이킹]



* 또다시 갈립니다. 상대 병력 구성과 취향에 따라 조합의 비율을 조절하시면 되겠습니다.



3-1) 기술실병영을 한개 추가하고 해병업을 해주며 간간히 의료선을 섞는 2/3/1

: 상대의 불곰비중이 높을 시 선택



3-2) 반응로군수공장을 추가하고 메카닉에 힘을 주는 1/4/1

: 해병 공성전차 조합을 상대로 최고의 위력을 발휘합니다. 극상성이라 표현해도 됩니다.



3-3) 우주공항 추가하는 1/3/2

: 상대가 2우주공항을 돌려 제공권을 장악하려 할 때나, 은폐벤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싶을 경우 선택





<3> 장기적인 그림

1) 어느 빌드를 선택하든, 어느 조합을 선택하든 해병 공성전차 조합에는 매우 위력적입니다. 화염차가 경장갑이라 불곰과 전차에 잘 버티며, 지옥불업 이후에는 해병이 그냥 쓸립니다. 전투에 자신감을 갖되, 상대가 불곰 비율이 높다면 섣불리 달려 들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1/3/2를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벤시를 보여준다면 상대도 불곰만을 고집할 수는 없습니다.)



2) 해병은 꾸준히 눌러야합니다. 업그레이드가 전혀 되지 않았더라도, 불곰에게는 해병이 약이거든요.



3) 화염차는 일꾼 견제 및 치고 빠지며 해병 갉아먹는 역할 + 전면전시 해병 뎀딜과 맷집



4) 해병과 공성전차는 제2멀티 (행성요새) 근처에 자리잡고, 전면전시 주 화력은 어디까지나 공성전차입니다.



5) 바이킹은 터렛, 감시탑과 함께 본진 드랍을 방어합니다. 제공권을 뺏기면 정면은 큰 문제가 안되지만,(화염차 앞세우고 그냥 뚫어버리세요) 후방이 쉽게 뚫릴 우려가 있습니다.





<4> 상대 체제에 따른 대처

1) 1/1/1 (해병 공성전차 의료선 or 밤까마귀 or 벤시 찌르기)

: 벤시로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벤시 무시하고 찌르는 경우라도, 해병수는 비슷하고 2공성전차 vs 4화염차의 싸움인데 소수 싸움에서 지옥불 화염차가 그 무서움을 발휘합니다. 전차가 해병을 녹이는 속도보다 화염차가 해병을 녹이는 속도가 압도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남은 전차는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벤시를 안가고 앞마당을 먼저 가는 선택지대로 했다면, 공성전차 찍는 타이밍을 조금 당기는 것도 좋습니다. (화염차만 찍기에는 상대가 전차를 4기 이상 모으고 올때는 부담이 됩니다.)  



2) 1/1/1 - 견제용 벤시

: 위에 언급하였습니다.



3) 빠른 확장, 다수 병영체제

: 마찬가지로 언급하였습니다.



4) 자주 쓰는 빌드 중에 위 3개 말고 있나요? 막상 쓰려니 기억이;;; 치즈나 리페토르는 배제하겠습니다.

그러고보니 리페토르에 취약할것같네요 -_-;;





아무튼..



제2멀티 후에는 군수공장만을 늘려 압도적인 화염차의 회전력으로 승부를 봅니다. 해병 화염차 공성전차 조합은 자리잡은 탱크라인을 뚫기에도 적합하고, 눌러앉아 수비하기에도 좋은, 적어도 제 생각에는 매우 '괜찮은' 조합이라 확신합니다. 자신있게 추천합니다.



이해가 안되거나 의문사항이 있으시면 얼마든지 댓글 환영합니다.

리플 첨부합니다.
http://www.playxp.com/sc2/strategy/view.php?article_id=2568277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나이스
11/01/25 10:54
수정 아이콘
실력이 딸려서 제대로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래더에서 랜덤테란나와서 테테전 걸렸을때 해보고 질문드릴게요~
11/01/25 11:13
수정 아이콘
더블일때는 보통 2지게까지 찍고, 1/1/1탈때는 마나 75즈음에 스캔찍지않나요? 그때 우공이 완성된 시점이라 어떤걸 스왑하는지 볼수 있어서..
BlackHawk
11/01/25 12:39
수정 아이콘
저도 스캔 찍는 시간대는 마나 75-80쯤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50때 바로 찍으면 우공을 짓고 있거나 막 완성된 쯤이라 기술실인지 반응로인지 확인이 안되서 ..게임 시간대로는 5분-5분 20초 사이
11/01/25 19:46
수정 아이콘
테란 유저가 그만큼 많은가보군요... 데이비드 거참...
11/01/31 11:36
수정 아이콘
본문이랑 영 관계 없는 말인데.. 야마 표시를 쓰셨던 혹시 학교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486 GSL 2011 Jan. 결승전 두 선수에게 답변을 받았습니다. [9] kimbilly6312 11/01/24 6312
2492 GSL 코드A 예선 커트라인이 공지됐군요. [9] 낭천6483 11/01/25 6483
2490 [테란] ¥테테전. 지겨우신가요?¥ [6] purplejay5993 11/01/25 5993
2489 저그 뮤링링의 한계 - 감염충 히드라 운영 [10] MiRaCle10979 11/01/25 10979
2488 [테란] ¥토스전 화염차 토르 바이킹¥ [1] purplejay5680 11/01/24 5680
2487 GSL의 위기와 블리자드의 판단 착오 [16] fender7786 11/01/24 7786
2485 유닛 죽어나가는거 잘 보이시나요? [13] 쿠베6362 11/01/24 6362
2484 테란전 4차관이 생각보다 굉장히 강력하네요. [3] 날기억해줘요6035 11/01/24 6035
2483 행성요새라고 해도 수리를 안해주면 [15] 김연우7664 11/01/24 7664
2482 보는 게임으로서의 스타2의 문제점 [11] Alexandre6641 11/01/24 6641
2481 저그가 1.2패치 이후 강력했던 이유 [17] Optus6412 11/01/24 6412
2480 스타2 관련 모든 커뮤니티에서 밸런스 논쟁이 뜨겁습니다. [1] 망고스푼5383 11/01/24 5383
2478 곰티비 GSL 월드챔피언쉽이 3월에 열립니다... [4] 잘가라장동건5248 11/01/23 5248
2477 GSL 정규 1차 시즌 종족별 승률 [9] 한울5551 11/01/23 5551
2476 오늘 경기로도 저징징글이 올라오다니 개인적으로 놀랍군요. [23] Phsiology6030 11/01/23 6030
2475 방금 GSL 4강전을 보며 저징징과 테란의 너프를 말하고싶네요. [18] NexusOne5724 11/01/23 5724
2474 안녕하세요~ [3] 철수랑박은혜5021 11/01/23 5021
2473 방금 첫판 테란이랑했는데 할맛이안나네요 [10] 박경진15737 11/01/23 5737
2472 불곰이 자동 체력회복에 점프도 하고 공중공격도 하는군요. [5] 기다리다6359 11/01/23 6359
2471 팀플레이에서 2테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 투명망토5441 11/01/22 5441
2470 히드라와 바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9] 마빠이6876 11/01/22 6876
2469 GSL Jan. 결승전의 예고편을 허접하게 만들어보았습니다. Lainworks5336 11/01/22 5336
2468 정보글 - 윈7 쓰시고 N당이신 분들은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하세요. [3] Dizzy6033 11/01/21 60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