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9/24 13:54:42
Name Altair~★
Subject [잡담]3개 방송국 스타크래프트 본선 통합랭킹
안녕하십니까? Altair~★ 입니다.

어제부로 또 사고를 하나 쳤습니다. 미루고 미뤄오던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3개 방송국 스타크래프트 본선 통합랭킹"

처음 착수해야겠다고 생각한건 2002년 월드컵 종료 후.
그동안 포인트를 어떻게 산정하고 배분할지에 대해서 틈나는대로 고민했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틀을 설명드리자면...

1. 랭킹 산정에 포함되는 리그
온게임넷, MBC Game, GhemTV(이하 3개 방송국)에서 펼쳐지는 스타리그를 대상으로 합니다.
온게임넷의 경우 챌린지리그, 듀얼토너먼트도 대상에 포함됩니다.
MBC Game의 경우 마이너리그는 고려중입니다.
리그의 규모, 상금, 팬들의 관심도 등을 반영하여 리그별로 부여하는 포인트를 달리 하려고 합니다.
온게임넷을 100으로 했을때 MBC Game은 60, GhemTV는 40으로 해서 포인트를 산정합니다.

2. 랭킹 산정에 포함되는 선수
1999 PKO 부터 랭킹작업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대회에 참가한 모든 선수를 대상으로 합니다.

3. 랭킹 산정에 적용되는 포인트
온게임넷 스타리그 본선 16강 1승 5점을 기본으로 1승당 포인트가 가산됩니다.
상위 라운드로 올라갈 수록 더욱 높은 포인트가 가산됩니다.
재경기가 펼쳐졌을 경우에는 경기결과에 따라 일정 포인트를 가감하여 조정합니다.
준결승, 3, 4위전, 결승전과 같이 1:1의 매치가 벌어질 경우 전패할 경우, 1승을 얻고 패할 경우, 2승을 얻고 패할 경우 포인트를 달리 적용합니다.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의 조별 경기는 승수에 따른 포인트가 아닌 순위에 따른 포인트를 적용합니다.
(챌린지리그 1위 결정전 풀리그의 경우 승수에 따른 포인트로 산정됩니다.)
MBC 게임의 다양한 경기방식의 경우(양대리그, 더블엘리미네이션 등...) 16강 조별 풀리그 성적에 준하여 포인트를 산정합니다.

4. 랭킹 산정에 사용된 전적의 공개
포인트 계산이 완료되고 랭킹 작업이 완료되면 랭킹 작업에 사용된 모든 전적을 공개하겠습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랭킹을 만들어 볼 수도 있을 것이고, 기존에 저나 다른 분들이
다룬 전적통계보다 더 재미난 전적들을 만들어 내시리라 생각되기에 제가 가진 모든 전적을 공개하겠습니다.
단, 공개는 Text 파일과 Hwp(아래아 한글) 파일 2가지 형태로 공개할 생각입니다.
Excel이나 Lotus 기타 필요한 형태로의 전환은 다운 받으시는 분들이 편한 방향으로 작업하시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당분간의 시간들은 "3개 방송국 스타크래프트 본선 통합랭킹" 이 녀석이랑 씨름하면서 보내야 할 것 같습니다.
예상은 10월말에서 11월초로 계획하고 있습니다만...저도 직업을 가진 직장인인지라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작업중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습니다. 좋은 의견 있으신 분들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일정형태의 성과를 내놓은것도 아니면서 이렇게 시작하면서 거창하게 글을 띄우는 건
차일 피일 미루게 될지 모를 제 게으름과 중간에 질려서 포기해버릴 제 부족한 인내심을 막아버리려는 겁니다.
(대놓고 이렇게 말해놓고선 완성하지 않으면 엄청나게 욕 얻어먹겠죠?^^)
모쪼록 빠른 시일내에 마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볼랍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아낌없는 성원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작업 중간 중간에 먹을 간식과 팬레터 배달 환영합니다...캬캬^^)

항상 유쾌상쾌통쾌 즐PgR 하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taraxia
03/09/24 14:10
수정 아이콘
기대되는군요~+_+수고하시길~ㅇㅇ/
훼이스
03/09/24 14:19
수정 아이콘
수고하세요...^^ 좋은 정보 기대가 됩니다.
박정석테란김
03/09/24 14:54
수정 아이콘
MBC게임의 마이너리그는 넣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본선은 아니지만 그래도 비슷한(방식은 전혀 다르지만)리그의 챌린지의 전적이 들어가는데 마이너리그도 들어가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MBC게임의 2001 KPGA와 2002 KPGA 1차~2차리그 2002 KPGA 3차~4차리그의 포인트가 어떻게 착용될 지 기대되는군요.
수고하시길~~
피바다저그
03/09/24 14:57
수정 아이콘
대략 1-3위는 정해진듯....
피팝현보
03/09/24 15:30
수정 아이콘
3위는 누구일까나? 1,2위는 거의 확실히 알겠는데..
03/09/24 15:39
수정 아이콘
항상수고하십니다..^.^
나의꿈은백수
03/09/24 15:57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이 100일때 엠비씨 게임을 60으로 치는건 조금 낮은 평가 아닐까요.
서영호
03/09/24 15:58
수정 아이콘
수고해주시길~~유용한 정보가 되겠네요...
시즈마루
03/09/24 16:13
수정 아이콘
인지도와 상금이 낮다 한들 프로게이머는 최선을 다해 경기에 임하는건 어느 리그나 똑같습니다 차별 포인트는 안좋다 생각합니다
게으른새
03/09/24 16:15
수정 아이콘
대작업에 들어가셨네요 ^_^ 힘내시고, 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ApoCaLypce
03/09/24 16:19
수정 아이콘
저도 시즈마루님과 생각이 같구요
그리고 Altair~★ 님 힘든 작업일것 같은데 힘네세요^^~~~!!파팅
03/09/24 16:24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
03/09/24 16:53
수정 아이콘
저도 시즈마루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인지도 때문에 차별화를 두는건 무리가 있죠.
03/09/24 17:38
수정 아이콘
저도 시즈마루님의 생각과 같이 포인트를 차별화 하는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03/09/24 17:43
수정 아이콘
저도 차별화는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나라야
03/09/24 17:44
수정 아이콘
기대할게요! 화이팅~!
물빛노을
03/09/24 18:07
수정 아이콘
차별화는 좋지 않다는 분이 많아서 얘기하기 꺼려지는군요. 저는 온겜과 엠겜의 포인트를 다르게 작성하는 것은 옳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으로 겜비씨(시절)를 두번 우승했을 때의 이윤열 선수보다 온겜을 한번 우승한 변길섭 선수의 상금랭킹이 더 높지 않았습니까? 상금에서 이 정도의 차이가 났었는데 선수들의 집중력이나 노력이라고 같을 수 없고, 포인트를 다르게 하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Altair~★
03/09/24 18:11
수정 아이콘
라운드별 포인트 차별은 당연한 부분이니 이의가 없으신 모양입니다.
리그별 포인트 차별은 현실적인 부분을 랭킹에 반영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좀더 자세한 설명을 드렸으면 좋겠으나 댓글이 허락하는 범위도 있는지라...
그저 제가 산정하는 랭킹의 특징정도로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저마다 랭킹에는 장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제가 주안점을 둬서 다루고자 하는 부분은 선수들의 현실적인 집중도와 플러스+ α 입니다.
게임을 하는 선수의 입장에서면 어떨까 하고 생각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라운드별, 리그별 포인트의 차등 적용은 제가 적용하고자 하는 랭킹의핵심이며 가장 커다란 특징입니다.^^

격려와 응원에 감사드립니다. 빠른 시일내에 완성해서 선보이겠습니다.
PenguinToss
03/09/24 18:31
수정 아이콘
휘바휘바~~~` 벌써 기대되는군요~~~ ^^;
03/09/24 18:53
수정 아이콘
계속 수고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안전제일
03/09/24 19:08
수정 아이콘
리그별 차등 포인트와 라운드별 차등포인트...둘다 찬성입니다.^^;
실제 영향력을 무시할수는 없는것이니까요.(온게임넷 우승과 엠비씨게임 우승의 여파가 다른것 아시지 않습니까?)
마이너 리그는 가능하시다면 전적에 넣어주셨으면 합니다.(이..일이 너무 많을까요?--;;)
수고해주세요! 기대할께요~
투덜이스머프
03/09/24 19:22
수정 아이콘
일이 조금 많을지는 몰라도 ,방송사별 차별포인트를 하더라도, 차별포인트를 없이 계산했을때의 결과도 같이 발표를 했으면 좋을듯합니다.

PS : 100,60,40은 너무많은 차이가 나는것같네요. MBC게임만 나오는 지역도 있는데. 온게임: (Ghem+MBCgame)은 너무 표차가 크다고생각합니다. 100,80,60정도로 하면몰라도 너무 차이가 나는것같네요.
mbc게임의 영향력이 낮다고하더라도 거의 온게임넷 절반정도로 보는것은 안좋다고 생각됩니다...

다른 어떤 스포츠도 그런형태로 랭킹을 정하지는 않습니다. (따로 상금랭킹을 정할지는 몰라도 말이죠.)
이뿌니사과
03/09/24 20:46
수정 아이콘
고생많으세요 ㅇㅇ 기대하겠습니다~ ^^
모모시로 타케
03/09/24 22:24
수정 아이콘
TV가 나오는 지역과 방송사별 차별포인트는 별로 상관없다고 보구요..저도 차별포인트에 찬성입니다..
03/09/24 23:25
수정 아이콘
아직 겜티비가 아직 살아있을 무렵, 대개의 프로게이머들이 그들의 '목표' 를 물을때 그리는 큰 그림은 '온게임넷과 wcg의 석권' 쪽이었습니다. 상금의 규모와 대중적 인지도, 상징성 등의 면에서 겜비씨와 겜티비에 비해 높게 평가되기 때문이지요. 물론 어느 대회 할것없이 많은 노력을 하겠지만 '우선순위' 는 어느 정도 존재하던 것이 현실이지요. 차별포인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03/09/25 00:17
수정 아이콘
데이터 정리하시는 분 의사를 존종하셨으면... -_-;
03/09/25 00:38
수정 아이콘
리그별, 라운드별 차등 산정의 아이디어는 매우 괜찮아 보입니다.
다만 MBC Game의 포인트가 좀 과소평가 된 감이 없지 않네요.
개인적으로는 70~80 정도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마이너리그 역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쨋든 대단한 작업을 시작하시는데 맘속으로 응원하겠습니다.
기대할께요^^
03/09/25 01:04
수정 아이콘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리그간의 차등 적용과 지금의 점수차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MSL을 대외하면 총삼금의 규모가 달랐습니다. 현재의 리그간의 차등 적용과 그 전폭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이 MSL이 조금더 지나게 된다면(상금규모와 대회 규모를 더 키워서 OSL과 같아지거나 더 좋아진다면) 차등적용에 수준을 바꿀수 있지만 현재까지의 모습은 지근의 100:60:40 이 적당하도 생각합니다.
나 돌아갈래
03/09/25 12:03
수정 아이콘
포인트는 방송국 아닌가요?
만약 상금이 중요한 변수라면 WCG, 벼룩시장배등등도 다 전적에 포함해야겠지요..
방송경기전적에 한정하신건 선수들의 노력정도를 나름대로 측정(?)코자하심이 아니라, 팬들에게 얼마나 많은 승리를 보여주었는가? 얼마나 자주 방송에 노출되었는가? 등등 아닌가요? 이런 데이타는 우리가 막연히 가지고 있는 선수들의 이미지에 대한 백업데이타라는 의미가 있을듯하고요..광고주들이 그 정보를 가진다면, 자사제품에 가장 적합한 프로게이머를 선정하는데 중요한 데이타가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차라리 시청율이 온겜과 엠겜의 포인트차별을 두는 근거가 되었으면 설명이 되겠지만, 상금으로 인한 포인트차별은 좀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Altair~★
03/09/25 13:07
수정 아이콘
나 돌아갈래 님 / 글을 제대로 읽어보셨는지요.
"리그의 규모, 상금, 팬들의 관심도 등을 반영하여...후략" 라는 문구에 설명이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포인트 차별근거에 상금"만" 포함되는게 아닙니다.
리그의 규모, 팬들의 관심을 고려하는데 시청률이 고려대상이 아닐까요?
벼룩시장배는 일회성리그라 제외되었고, WCG의 경우 국내 선수의 참가숫자를 고려하여 제외하였습니다.
둘 모두 정규리그가 아닌게 첫번째 이유이기도 하지만 경기방식이나 경기성격상
해당 랭킹에 포함되어서는 안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다른 기준에 의해 산정되는 랭킹을 한번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나 돌아갈래
03/09/25 16:02
수정 아이콘
Altair~★ 님 / 죄송합니다..제가 글을 제대로 읽어보지 않았군요..
글쓰기도 본의도와는 상관없이 약간 책하는 분위기로 나갔구요..
그냥 자삭할까하다가 그것도 예가 아닐것 같아, 리플답니다..
항상 의미있는 통계를 만드시는 Altair~★ 님..
언제나 님의 통계는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언짢으셨다면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그럼 계속 수고(? *^^*)하시구요..좋은 저녁되십시요..
03/10/02 10:57
수정 아이콘
투덜이스머프님 //
다른 어떤 스포츠도 그런형태로 랭킹을 정하지는 않습니다.
라고 하셨는데,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축구, 테니스, 골프 등 랭킹을 주기적으로 발표하는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그 랭킹에는 상금규모, 참가대상범위 등을 고려한 대회별 가중치를 반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80 [잡담] Amazing Eagles. [19] 마요네즈2102 03/09/25 2102
13279 처음 면도를 해보았습니다. [17] 서창희3253 03/09/25 3253
13278 [펌] 글쎄요... 과연 이 말이 사실일 지는 모르겠지만.. (故 김차헌군에 관한 글) [11] PenguinToss3068 03/09/25 3068
13277 나도 스타 가르치기... [11] 스톰 샤~워1813 03/09/25 1813
13275 스타 가르치기 아류작 2편!!!!!!! [3] stay1891 03/09/24 1891
13274 아.. 더이상 나는 저그로는 안되나.. [20] 저그매니아2221 03/09/24 2221
13273 베르트랑 WCG2003 프랑스 예선전 1위 [21] forever4204 03/09/24 4204
13272 네가 게임한거 다 아는데~ 속이려 들다니 [5] 전장의안개2461 03/09/24 2461
13271 어설픈 프로게이머 동화(?) 1편 [18] 뜻모를헛소리2191 03/09/24 2191
13270 KPGA공식랭킹 (2003년9월) [11] 투덜이스머프3493 03/09/24 3493
13269 질문게시판... [2] Legend0fProToss1700 03/09/24 1700
13268 信主NISSI1647 03/09/24 1647
13267 [스타소설] 유리장갑 - 4 - [10] 신문종1460 03/09/24 1460
13266 [잡담] Boxer의 가을은... [28] 낭만드랍쉽3605 03/09/24 3605
13265 옛날 게임의 추억.... (보기만 했던 게임의 추억?) [16] 파란마녀2201 03/09/24 2201
13264 [레슨]대화 [9] 미남불패1669 03/09/24 1669
13263 (정보) 2003 대구게임페스티벌[DGF2003]전국게임대회 [1] 아이리스2001 03/09/24 2001
13262 [잡담] 무언가 찜찜하다. [3] 서쪽으로 gogo~1862 03/09/24 1862
13261 [스타소설] 유리장갑 - 3 - [10] 신문종1524 03/09/24 1524
13260 [잡담] 내가 스타를 다시 시작하던날.. [1] 박경석1689 03/09/24 1689
13259 스타크래프트, 불감증. 그리고 사랑. [14] 신문종1810 03/09/24 1810
13258 [분위기상잡담] 누군가 당신에게 스타를 가르쳐달라고 하거든 [9] open2401 03/09/24 2401
13257 [잡담]3개 방송국 스타크래프트 본선 통합랭킹 [32] Altair~★4034 03/09/24 40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