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4/21 20:14:55
Name santacroce
Link #1 http://santa_croce.blog.me/220674299946
Subject [일반] 왜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은 끝없이 추락할까?

얼마 전(2016.04.02) The Economist는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는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에 대한 기사를 실었습니다. 

기사의 제목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영시인 병든 장미에서 가져왔는데 '장미여, 너 병들었구나(Rose thou art sick)'입니다. 

 

 

유럽 사민주의 정당들은 포지션으로 보면 중도 좌파로 전통적으로 유럽 정치의 양대 축을 형성하며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들은 그 영향력이 급속도로 하락하고 있으며 그것도 7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대추락이라고 합니다.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에 대한 득표율 추이를 보면 10년 동안 1/3이나 줄어들었습니다. 

 

* 유럽 사민주의 득표율 지수 추이(1970년을 100으로 설정)

 

2015년에 있었던 EU 5개국의 총선을 보면 덴마크에서는 사민당이 권력을 잃었고, 핀란드에서는 역대 최악의 성적을 냈으며, 폴란드, 스페인, 영국에서는 중도 좌파 정당들이 근근이 버텼을 정도입니다. 

유럽의 중도 좌파 정당들의 인기 추이를 보면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일시적으로 추락한 적이 있었지만 영국 노동당의 블레어 총리와 독일 사민당의 슈로더 총리가 제3의 길을 주창하며 전통적 좌파의 가치에서 벗어난 해법을 제시하는 파격을 감행하며 다시 인기를 회복하기도 하였습니다. 
 
* 유럽 사민주의 정당 득표율 추이: 30년 동안 사민주의 정당의 득표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유럽 대부분의 색깔이 연해졌습니다. 2016년 기준으로 사민주의 정당이 40% 이상 득표하는 곳은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루마니아 정도입니다.
 
The Economist는 유럽 사민주의 정당의 몰락에 대해 네 가지 이유를 들고 있습니다. 
첫째, 사민주의 전통적 가치의 성공입니다. 더 이상 유럽에서 개인의 연금제도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1889년 제2 인터내셔널에서 이야기 되었던 목표들이 상당 부분 달성되었고 이제는 다른 정당들도 사민주의 정책을 거리낌 없이 채택할 정도입니다.  
이전의 정책 목표 달성이 역으로 사민주의 정당의 인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점은 역설적입니다. 
 
둘째, 유럽의 경제가 깊숙이 세계 경제에 편입되면서 집산주의적 해법의 유효성이 낮아졌습니다. 이제 상품과 서비스 그리고 자본의 이동이 점점 자유로워졌습니다. 일자리는 저개발 국가들로 빠르게 이전되고 있으며 광업과 중공업 등 기존 사민주의 정당의 핵심적 근거지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또한 블루칼라와 함께 사민주의의 또 다른 기둥이었던 공공 부문도 민영화를 통해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셋째, 1989년 사회주의 블럭의 붕괴도 냉전 체제에서 자리를 잡았던 사민주의 정당들에게 위기를 주었습니다. 냉전 체제가 무너지면서 정치적 스펙트럼이 매우 넓어졌고 더 이상 사민주의로만 다원화된 가치들을 잡아 둘 수는 없었습니다. 녹색당, 해적당, 페미니스트 정당 등 1990년 대 이후 다양한 세력들이 등장한 것을 지칭하는 것 같습니다. 
 
넷째, 사민주의 정당의 지지기반이었던 사람들의 분화입니다. 전통적 제조업이 사라지고 서비스업이 커졌듯이 사람들의 소득 기반도 매우 벌어지고 있습니다. 신흥 부유한 노동자들(new affluent workers), 테크니컬 중산층 등 이전에 없던 용어들이 나타날 정도로 임금 노동자의 다양성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저항적인 젊은이들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며 특정 계급에 함몰되기보다는 사회운동(movements)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유럽 제조업의 비중 하락
 
The Economist 이야기를 좀 더 부연 설명하면 결국 유럽 사민주의 정당들은 대단위 공업 지대의 블루칼라들과 공공부문 임금 노동자들이 핵심적 지지층이었지만 유럽의 산업 변화로 과거와 같은 전략을 취한다면 더 이상 전폭적인 지지를 받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당장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그나마 독일이 20%를 약간 밑도는 정도지만 다른 서유럽 국가들은 15% 미만입니다. 참고로 한국은 25% 전후이며 중국은 30% 수준입니다.
1970년과 2005년 제조업 고용 비중의 비교를 보면 제조업 고용 비중이 20%p 하락한 영국은 물론 독일도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 주요 국가의 제조업 고용 비중 비교(1970 vs 2005)

 

특히 산업혁명의 선두였다가 가장 극적으로 제조업이 감소한 영국(England and Wales)의 170년의 변화를 보면 1841년 제조업은 가장 많은 사람들을 고용했으나 2011년에는 불과 10명 중 한 명도 안되는 사람들만 고용하고 있습니다.   

 

영국(England and Wales)의 170년간 고용 변화

공공부문의 위축

 

서유럽에서 공기업의 비중이 증가한 것은 각종 경제 위기로 국가가 나서서 부실기업을 인수하고 고용을 유지하며 경제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대공황 직후, 2차대전 직후, 1970년대 중반 오일쇼크 직후에 공기업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또는 아래 스웨덴처럼 사민주의 정당들이 의도적으로 공공부문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 스웨덴의 부문별 고용 증가 추이: 1960년대 부터 1990년까지 민간 고용은 오히려 줄어들었지만 정부 고용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http://www.economist.com/node/7880173

 
그러나 서유럽은 1970년대 말 영국부터 시작하여 대부분의 국가가 민영화에 나서게 되었는데 1990년대는 절정에 달했습니다. 

서유럽 국가들이 너도나도 민영화에 나서게 된 데는 우선 공기업이 점점 비대해지면서 여기에 들어가는 각종 보조금이 재정을 압박하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1992년 2월 EU 통합을 위한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체결되면서 EU 가입 조건인 재정적자 한도를 충족하기 위해 각국이 민영화에 적극 나섰기 때문입니다.(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1994년부터 민영화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서유럽의 민영화 추이: PS는 사적 매각, PO는 주식시장을 통한 공개매각(국민주 등)

 

 

서유럽 각국의 민영화 추이를 정리하면 영국은 1977년 대처 집권 2년 전에 석유 공기업 BP를 민간에 매각하면서 대규모 민영화의 서막을 열었습니다. 1985년 이탈리아는 IRI를 매각하였고 알이탈리아를 부분 매각하였습니다.  1986년 프랑스 신정부는 금융부분 민영화를 주도하여 우리에게 익숙한 대부분의 프랑스 은행들을 민간에 매각했습니다. 1989년에는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스웨덴이 민영화 대열에 참여합니다. 1993년에는 이탈리아, 포르투갈, 터키에서 대규모 민영화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1994년 이후에는 서유럽 전체적으로 민영화가 활발히 일어납니다.  

민영화 비중의 GDP 대비로 보면 포르투갈 > 영국 > 핀란드 > 이탈리아 > 스페인 > 스웨덴 순으로 민영화가 활발했습니다. 

 

* 국가별 GDP 대비 민영화 매각 비중

 

서유럽의 민영화 결과 공공부문의 비중은 감소하였으며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긴축정책 덕분에 공공부문은 더욱 줄어들었습니다. 

 

* 공공부문 고용 비중 추이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4/01/daily-chart-13

 

 

유럽의 공공부문 비중은 아직 미국이나 동아시아 공업국들에 비해 높은 편인데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기본소득제나 영국의 생활임금제나 공통적으로 공공부문의 축소를 전제로 하고 있을 정도여서 공공부문의 위축은 계속될 것 같습니다. 

 

 

노조가입률의 하락

 

제조업의 급격한 위축과 공공부문의 감축은 결과적으로 노조가입률을 떨어뜨렸습니다. 

산업이 점점 다양해지고 노동자 간 임금의 편차가 커지는 상황에서 동질성(homogeneity)에 기초한 노동조합이 활성화되기는 어려웠습니다. 

전통적으로 매우 높은 노조조직률을 보였던 스웨덴마저도 예외가 아니어서 2000년대 들어서는 노조가입률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 노조가입률 추이: 스웨덴마저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프랑스의 노조가입률은 미국이나 한국보다도 낮은 상황입니다. 

 

* 각국의 노조가입율 추이(OECD)

 

그리고 적지 않는 나라에서 노조가입률의 하락은 노동쟁의의 감소와 같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조직이 사라져서 파업에 나서지 못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예전처럼 수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작업라인에서 비슷한 일을 하며 연대의식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매우 다양하고 분화된 노동의 특성으로 이런 결과가 벌어지지 않았나 합니다. 

 

* 영국의 노조원 추이와 파업손실일 추이

http://www.economist.com/news/britain/21652354-conservatives-take-old-foe-back-future

 

결과적으로 유럽에서 1970년대 이래 지속된 제조업과 공공부문의 위축 그리고 노조원의 감소는 사민주의 정당의 대추락을 이미 예고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중국은...

 

여기서 갑자기 드는 생각은 높은 제조업 비중과 공공부문 고용이 유지되고 있는 중국은 그럼 유럽의 과거 모습을 재현할까 하는 의문입니다. 

중국의 제조업은 GDP 대비 30%를 넘을 정도여서 1970년 이전의 서유럽과 비슷합니다. 

 

* 중국의 GDP 대비 제조업 비중 추이

http://investing.curiouscatblog.net/2010/06/28/manufacturing-output-as-a-percent-of-gdp-by-country/

 

 

그렇지 않아도 중국의 노동쟁의 건수는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과잉생산과 적자에 허덕이는 제철산업이나 조선업과 같은 중공업의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어서 갈등은 더 커질 듯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충돌 속에 점점 자신의 힘을 자각하게 될 중국 노동자들의 정치적 대변자 즉, 중국판 사민주의 정당이 나타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 중국의 노동쟁의 건수 추이

 

* 주요 노동쟁의 장소와 규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wordDancer
16/04/21 20:38
수정 아이콘
첫번째 이유가 참 인상적이네요. 사민주의가 추구하던 대부분의 목적을 달성했기에 필요성이 소실되어간다라...
재활용
16/04/21 21:51
수정 아이콘
저동네는 역할을 다한 자연적인 소멸인데 우리는 그걸 보고 자라나지도 못한 생명을 죽이려 드는 셈이죠
열역학제2법칙
16/04/21 20:44
수정 아이콘
프랑스 노조가입률이 우리나라보다 낮다니... 놀랍네요
스카야
16/04/21 21:02
수정 아이콘
프랑스하면 파업이었는데... 노조없이도 하는건가요?
16/04/21 21:10
수정 아이콘
그나라는 노조가 아니라 일반 대학생들도 시위 빈번하게 하는 나라라서...
16/04/21 22:02
수정 아이콘
프랑스인이 직접 이야기 하더라고요. "자기들에게 데모는 내셔널 스포츠다"
16/04/22 21:07
수정 아이콘
내셔널 스포츠라 인상깊네요
16/04/21 21:08
수정 아이콘
그럼 이제 3차산업 노동자를 대변하는 정당이 나오게 되는건가요?
예쁘면다누나야
16/04/21 21:38
수정 아이콘
와 부러워 죽겠네. 다 이루었으니 이제 볼일이 없다라...
닭장군
16/04/21 21:40
수정 아이콘
대격변의 시기군요. 그렇다면 현실판 데스윙이 한번...
파르티타
16/04/21 21:43
수정 아이콘
오늘도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SwordDancer
16/04/21 21:50
수정 아이콘
정당으로서도 참 영광스런 퇴진이 아닐지.. 추구하던 바를 다 이루어서 사라진다니요.
임시야간숙소
16/04/21 22:43
수정 아이콘
음 뭔가 저에게는 통계들이 사민주의적 정책프로그램이 점차 약화되어 가고 있는 세계 경제 추세를 보여주는 듯한 느낌이 첫 번째 이유라는 느낌보다 더 다가오네요. 제조업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 블루칼라들의 단결력 약화와 서비스/금융 중심으로의 경제 체계 변화가 맞물리는 느낌이랄까요. 스티글리츠의 불평등의 대가라는 책을 읽고 나서 그런 건지, 불평등이 확산되어 가는 통계로 느껴지네요.
홍승식
16/04/21 23:42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본문과는 관련이 좀 적은데 그래프 중 정부 고용 비중을 나타내 주는 표가 재밌네요.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는 정부 직접 고용 비중이 25%가 넘네요.
공공 부분도 아닌 정부가 수익 사업을 벌이진 않을 테니 온전히 세금을 쓰는 고용형태일텐데 그 세금을 어디에서 충당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소독용 에탄올
16/04/22 00:36
수정 아이콘
국민부담률이라고 해서 조세+사회보장기여금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한 수치에서 덴마크가 50%, 스웨덴, 노르웨이도 40%대 초반입니다.
계란말이
16/04/22 06:49
수정 아이콘
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어떻게하면 이런 해박한 지식을 가지실 수 있는건지 대단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777 [일반] 프로듀스101 비하인드가 끝났네요 [33] Go2Universe8331 16/04/22 8331 16
64776 [일반] 신병위로휴가 나왔습니다! [66] 삼성그룹6090 16/04/22 6090 7
64775 [일반] 부탁이다, 행복해져라. [12] 삭제됨4906 16/04/22 4906 5
64773 [일반] 일본 창작물 내에서의 임진왜란 [72] 눈시13740 16/04/22 13740 19
64772 [일반] [야구] 최초의 입잠실효과? 두산베어스 오재일 [21] 이홍기6008 16/04/22 6008 2
64770 [일반] [영화 리뷰] 밀양 [43] 대치동박선생9444 16/04/22 9444 5
64769 [일반] 해외지도자들 '트럼프 패닉'…오바마 설득도 안 먹혀 [55] 군디츠마라12872 16/04/22 12872 2
64768 [일반] 한국판 어벤져스를 만든다면 누가 나오게 될까?... [123] Neanderthal9427 16/04/22 9427 4
64767 [일반] 20세기에 태어난 흑인 모차르트, 별이 되어 떠나다. [6] AlPha-Zerg5150 16/04/22 5150 3
64766 [일반] 도서 정가제 시행 후 2년, 무엇이 달라졌나 [67] 아리마스10039 16/04/22 10039 1
64765 [일반] 기생충 이야기 [5] 모모스20138348 16/04/22 8348 9
64764 [일반] 클로버필드 10번지 (2016) _ 돌려막는 자기 소개서 처럼 [24] 리니시아4917 16/04/22 4917 0
64763 [일반] SM STATION/루이의 MV와 러블리즈/트와이스/에이프릴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4] 효연덕후세우실6792 16/04/22 6792 2
64762 [일반] 美음악가 프린스, 자택서 숨진 채 발견 [62] 삭제됨9468 16/04/22 9468 1
64761 [일반] [데이타, 잡담] 텍사스 사진 몇 개. [41] OrBef5967 16/04/22 5967 13
64760 [일반] 학원 확장개원기 [21] 억울하면강해져라7146 16/04/22 7146 23
64759 [일반] [야구] 김성근은 누구인가 [116] 레몬커피11945 16/04/22 11945 35
64758 [일반] 아이폰의 한국 가격을 통해 본 애플코리아의 가격전략 [80] 훈련중11621 16/04/21 11621 7
64757 [일반] 캡틴 아메리카3 시빌워 IMAX 4DX도 풀렸습니다 [43] 빵pro점쟁이10462 16/04/21 10462 0
64756 [일반] 왜 유럽의 사민주의 정당은 끝없이 추락할까? [16] santacroce10537 16/04/21 10537 15
64755 [일반] '北 종업원 13명의 집단 탈출', 청와대 관련 의혹. [161] 종이사진14888 16/04/21 14888 7
64754 [일반] 결혼을 했습니다. [61] 아스날9602 16/04/21 9602 22
64753 [일반] 롯데시네마 관람가격이 27일부터 인상됩니다. [40] 어리버리11023 16/04/21 1102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