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23 23:38:2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36639373
Subject [일반] <올빼미> - 실화에 아슬한 픽션 한 스푼.(스포)

<올빼미>의 장르는 사극, 정확하게는 '팩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역사적 사실에 픽션 한 스푼을 덜어 넣었다고 표현 가능한 팩션으로써, <올빼미>는 선을 잘 탔다고 생각이 드네요. 보통 이러한 장르들이 지나치게 소심하게 픽션을 집어넣거나, 혹은 너무 많이 넣어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켰다는 걸 생각해보면 적당한 수준에서 잘 배합한 것 같습니다. 이런 점은 <헌트> 내지 (톤은 매우 다르지만) <관상>이 떠오르는데요. 개인적으로 대체 역사물에 가까운 흐름이었던 <헌트> 보다는 <관상>에 가까운 느낌입니다.


<올빼미>의 주된 소재는 소현세자의 죽음과 이를 둘러싼 음모입니다. 유명한 음모론에 여기서 <올빼미>는 시각의 한계를 덧붙였습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서 꽤 인상적인 장면들이 있긴 하지만 이게 아주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느낌은 아니긴 해요. 그러니까 감각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은 아닙니다. 대신 등 뒤, 혹은 의심이 자리잡는 공간이 굉장히 중요한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보기보다는 꽤 정적인 스릴러에요. '초반부가 지루하다'는 이야기도 이 점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혹은 인상에 남았을 장면은 등 뒤에서 침을 놓는 장면일 겁니다. 누군가에게 등을 내주고 침을 놓게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게 어쩌면 생사를 가를 수 있는 행동이라는 점이 영화 내내 긴장감을 유지합니다. 생각해보면 모든 행동은 등 뒤에서, 혹은 가려진 채로 등장하니까요. 그 점에서 '내가 볼 수 있지만 남은 볼 수 없는 것', 혹은 '남은 볼 수 있지만 내가 볼 수 없는 것'을 그려내는 방식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다만 조금 아쉬운 부분은 물론 역사적 사실에 픽션을 넣은 것이지만, 결말부는 조금 더 담백해도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픽션과 역사적 사실 사이에서 적당히 줄타기를 했지만, 약간의 사이다 엔딩을 위해 조금 선을 넘은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차근 차근 잘 쌓아올렸고 잘 터뜨렸지만 좀 과한 마무리가 아쉬웠습니다.


저에게 이 영화는 개인적으로 류준열 배우의 재발견이네요. 영화의 중반까지 독무대에 가까운 자리에 후반부에도 힘을 잃지 않는 존재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23 23:53
수정 아이콘
재밌게 봤습니다
마지막에 k-통쾌함 느낌이 났지만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극장에서 즐길만한 영화가 아니었나싶네요
aDayInTheLife
22/11/23 23:53
수정 아이콘
네 사이다 엔딩이 조금 아쉽긴 했지만 괜찮은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뜨거운눈물
22/11/24 05:38
수정 아이콘
유투브에서 예고편 및 요약본 봤는데 오랜만에 보고싶은 영화가 나왔네요
유해진이 왕역할이라니 크크크
aDayInTheLife
22/11/24 06:04
수정 아이콘
유해진 배우의 왕은 무난했던거 같아요.
친구복이많은사람
22/11/24 10:23
수정 아이콘
초반부는 약간 지루? 심심하게 보다가 중반부터는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쫄깃하더군요
마지막이 조금 아쉽긴했는데 오랜만에 사극영화 재밌게 봤습니다
aDayInTheLife
22/11/24 12:42
수정 아이콘
중간부터의 밀도가 좋더라구요.
22/11/24 11:35
수정 아이콘
저도 마지막이 조금 아쉬웠지만, 전체적으로는 재미있게 봤습니다.

추가로, 영화 전체를 관통하면서도 기억에 남을만한 대사가 하나쯤 있었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보고도 못 본 척~'은 너무 장황하고...
'제가 보았습니다'를 쳐주기에는 좀 약하고...

'내가 왕이 될 상인가' 같은 대사가 쉽게 나오는 건 아니겠죠.
aDayInTheLife
22/11/24 12:43
수정 아이콘
대사가 아주 찰지진 않더라구요. 이런 극에서는 대사의 맛이 중요한데 오히려 안들린 대사도 많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253 [일반] 늘 그렇듯 집에서 마시는 별거 없는 혼술 모음입니다.jpg [28] insane16618 22/11/27 16618 15
97252 [일반] IVE의 After Like를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봤습니다. [7] 포졸작곡가8354 22/11/27 8354 16
97251 [일반] [팝송] 카이고 새 앨범 "Thrill Of The Chase" [2] 김치찌개7294 22/11/27 7294 0
97250 [일반] [성경이야기]외로운 사사 삼손이 태어난 배경 [9] BK_Zju11120 22/11/27 11120 19
97249 [일반] CGV가 주었던 충격 [33] 라울리스타18942 22/11/26 18942 29
97248 [일반] 맥킨지 보고서-승리하는 다양성 [124] kien.18563 22/11/26 18563 4
97247 [일반] (스포)사채꾼 우시지마 감상 10권까지 감상 [33] 그때가언제라도10641 22/11/26 10641 3
97246 [정치] 광림교회 김선도 원로목사 소천, 김선도 목사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청원 [58] SAS Tony Parker 15845 22/11/25 15845 0
97245 [정치] VOA "한국의 독자핵무장 여론이 점차 주류화" [129] 숨고르기18264 22/11/25 18264 0
97243 [정치] 빈곤 포르노에 추가된 타임라인 [108] Flow18265 22/11/25 18265 0
97242 [일반] 나이브스 아웃 2: 글래스 어니언 보고왔습니다(노스포) [11] 흰긴수염돌고래9275 22/11/25 9275 6
97241 [정치] 유동규 관련 대장동 재판에서 벌어진 사건 [21] 삭제됨11888 22/11/25 11888 0
97239 [정치] 경호 로봇개와 과학경호 [75] CV13712 22/11/25 13712 0
97238 [일반] 르세라핌의 antifragile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14] 포졸작곡가7958 22/11/25 7958 15
97237 [정치] 불편러는 더 많아져야 한다. [77] kurt17287 22/11/24 17287 0
97236 [일반] 미국 중간선거 리뷰) ???: 트럼프, 대법원. 뭐 하려고 하지마. 보여줄거 없어. [38] bifrost16553 22/11/24 16553 11
97235 [정치] “청담동 술자리, 거짓말이었다…전 남친 속이려고” 첼리스트 진술 [338] 미뉴잇29411 22/11/24 29411 0
97234 [일반] (조금스포)​짱구 29기 수수께끼! 천하떡잎학교(천카스) 극장판 후기 [13] 그때가언제라도8121 22/11/24 8121 0
97233 [일반] 토끼춤과 셔플 [14] 맨발11770 22/11/24 11770 15
97232 [일반] <올빼미> - 실화에 아슬한 픽션 한 스푼.(스포) [8] aDayInTheLife10528 22/11/23 10528 3
97231 [정치] 부마항쟁 기념식에 '찍힌 노래' 안 빼자 연출자 가수 교체 [255] 어강됴리27209 22/11/23 27209 0
97230 [일반] 요양원을 준비중입니다 [41] 김승구14582 22/11/23 14582 118
97229 [정치] 尹대통령, G20 인도네시아에서 지정차 제네시스 대신 벤츠 탑승 [344] 빼사스30218 22/11/22 302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