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15 18:34:46
Name 전기쥐
File #1 i1134612647.jpg (311.8 KB), Download : 717
File #2 researchers_discover_m.jpg (50.0 KB), Download : 718
Subject [일반] 암세포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기적의 스위치’ 찾았다 (수정됨)




암세포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기적의 스위치’ 찾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518102?sid=103


Molecular switch reverses cancerous transformation at the critical moment of transition
https://phys.org/news/2025-02-molecular-reverses-cancerous-critical-moment.html


Attractor Landscape Analysis Reveals a Reversion Switch in the Transition of Colorectal Tumorigenesis _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1월 22일 자 온라인판
https://advanced.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vs.202412503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이 정상세포=>암세포로 변하는 순간의 '임계전이' 현상을 포착·분석해서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순간에는 갑작스럽게 급격한 상태 변화가 이루어집니다. 이때 정상세포와 암세포가 불안정하게 공존하는데, 이때 암 발생 순간을 관장하는 '분자 스위치 유전자' USP7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마치 조명 스위치를 on/off 하는 것처럼 이 분자의 작동을 스위치 껐다켰다 하는 것처럼 통제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회복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 기술을 실제 대장암 환자의 체외 배양조직에 적용했더니 암세포=>정상세포로 회복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하네요. 암세포를 죽이는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회복하는 방식이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합니다.





의과학에 대해 1도 모르는 사람이지만.. 저게 사실이라면 대단하군요. 암 치료 기법이 진보하는 데에 기여하는 큰 발견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드라
25/02/15 18:59
수정 아이콘
비슷한 연구에서 상용화 까지 못한걸 여러번 보다보니 참 안타까웠는데 이번엔 연구로 끝나지 않고 실제 치료까지 이어지면 좋겠습니다
전기쥐
25/02/15 19:00
수정 아이콘
네 저 연구가 더 고도화되어서 상용화까지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25/02/15 19:13
수정 아이콘
아... 몇년 전 아버지를 암으로 떠나보낸 자식으로서, 꼭 이 기술이 하루라도 빠르게 실제 의료계에 적용되어,
많은 환자분들이 고통에서 벗어나고, 많은 환자 가족분들이 슬픔에서 벗어나길 진심으로 빕니다.
전 아직도 항암치료가 너무 고통스러우시다며 연명치료거부 동의서에 사인하며 힘겹게 웃으시던 아버지의 표정이 기억에서 지워지질 않아요.
전기쥐
25/02/15 19:15
수정 아이콘
의과학에 대해 잘 모르기는 하지만, 암세포를 죽이는 방향이 아니라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회복하는 방향의 기술이라면 아마 치료상의 부작용이나 고통도 덜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네요..
25/02/15 20:26
수정 아이콘
와 상용화되면 대박이네요. 대단합니다. 그런데 비슷한 개념의 연구가 세계적으로 많이 있을거 같은데 그쪽은 진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긴 합니다
전기쥐
25/02/15 20:40
수정 아이콘
카이스트의 저 교수팀만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닐텐데, 전체적인 암 치료 관련 연구 현황이 저도 궁금하네요..
25/02/15 21:43
수정 아이콘
아내랑 처음 항암치료하러 갔을때 항암도중에 쓰레기통에 토하시던 분하고 익숙한듯 치우시던 간호사분, 첫 치료라서 긴장하던 저랑 아내, 풍경이 기억납니다. 많이 무서웠어요.
전기쥐
25/02/15 22:05
수정 아이콘
항암치료 받으시는 분들 매우 힘들어하시는 것이 안타깝더군요. 이 발견으로 항암치료의 고통이 덜어질 수 있는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마음속의빛
25/02/15 21:59
수정 아이콘
놀랍네요. 저 기술이 발전하면 암환자를 치료할 수도 있고, 반대로도 가능하게 된다는 거네요.
전기쥐
25/02/15 22:06
수정 아이콘
이 기사를 보고,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전이되는 데에도 on/off 스위치 같은 기제가 있다는 게 놀라웠습니다.
25/02/15 22:15
수정 아이콘
스위치 하나로 치료도 가능하고 암환자로 만들수도 있다는거가 진정한 과학의 발전입니다. 컨트롤을 못하면 연구가 완벽하지 않죠.
설탕물
25/02/15 22:33
수정 아이콘
이런 류 뉴스는 수도 없이 봤는데, 일희일비 하는걸 굳이 소개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처음 스샷부터가 사실 신뢰도를 크게 깎아먹습니다. 이런 류 실험에서는 실제 사람한테 한건지 연구실에서만 나온 결과인지 중요할텐데, 스샷에서는 환자한테 적용해서 성공했다고 합니다. 반면 기사를 보면 세포에 실험했다고 해서 아직 실험실 수준인거 같고요. 전기쥐님이 그렇다는건 아니지만, 이렇게 일부 사실을 가지고 과장하는 사람들은 주로 목적이 있던데 그런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전기쥐
25/02/15 22:47
수정 아이콘
네 아직 실험실 수준의 단계인 거 같네요.
김첼시
25/02/15 22:41
수정 아이콘
이런 뉴스들을 종종접하는데 빠른시일내에 그 중 하나가 성공적으로 개발되어서 치매나 암이 정복되었으면 좋겠네요
전기쥐
25/02/15 22:48
수정 아이콘
이 연구도 컴퓨터 모델을 활용해서 도움받은 거 같은데 앞으로 AI의 도움으로 그러한 중대한 질병들에 대한 접근도 더 용이해지지 않을까 싶어요.
25/02/15 23:31
수정 아이콘
암 기전이 한가지가 아닌데 아직 대장암에만 적용된 걸 보고 일희일비할 단계는 아닌거 같습니다.
전기쥐
25/02/15 23:54
수정 아이콘
네 더 연구가 필요할 거 같습니다.
티무르
25/02/16 06:5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어느 회사? 2연상 짜리는 되려나
모링가
25/02/16 10:50
수정 아이콘
암은 다양한 관문을 통과해야(세포복제 관련된 단백질 생성 유전자들이 여럿 고장나야 함) 암으로 발전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자살 신호를 주는 것도 아니고 정상으로 되돌린다..? 믿기 어렵네요
모래반지빵야빵야
25/02/16 12:46
수정 아이콘
현직 (?) 암환자로서...이런 뉴스들은 언제나 환영하면서도 조심스럽습니다. 당연히 희소식이지만 이것이 실제 치료방법으로까지 연결될 때까지는 시간이 한참 더 걸릴 것이고... 아니 실용화가 되지 못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생각이 드니 희망이 꺾이는 느낌도 들고 그렇죠. 요원한 희망 정도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암투병 환우는 계속 늘고, 의학기술이 무시무시한 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암의 정복은 요원합니다. 개개인의 유전자 단위의 손상이다보니, 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찾고 거기에 맞는 약을 써야 하지만 변이의 종류가 워낙 많다보니... 두 환자의 진단명이 똑같이 "대장암"이라 해도 사실상 아예 별개의 병으로 생각하는게 맞을 정도죠.

조만간 근황 글을 써볼 생각이긴 한데... 연말연시는 정말 심적으로 신체적으로 힘든 시기였습니다. 진짜 처절하게 생존하고, 시한부 선고도 받고, 회사에서도 결국 퇴직당하고... 그래도 어떻게든 죽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버팁니다.
25/02/16 13:43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길이 열릴게에요. 응원합니다.
퀀텀리프
25/02/16 16:35
수정 아이콘
개인별로 DNA를 분석해야 하는 거군요..
AI에게 적절한 자료로 학습시키면 답은 나올것같은데 비용이 문제겠네요.
아델라이데
25/02/17 13:42
수정 아이콘
와... 이게되면 수명 200살도 꿈이 아니겠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운영위원을 상시 모집합니다. jjohny=쿠마 25/02/08 3000 10
공지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비상운영체제 안내 [210] jjohny=쿠마 25/02/08 12806 19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9227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0618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72000 31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1085 3
103807 [일반] 사이버 렉카 연합회의 쯔양 공갈 선고 결과. 구제역 징역 3년. 최변호사 징역 2년 [50] 매번같은4635 25/02/20 4635 1
103806 [일반] [백악관 공식] LONG LIVE THE KING! [51] Regentag5530 25/02/20 5530 1
103805 [일반] 한미일북중러 물 밑에서 뭔가 진행중일까요 [27] 김홍기6075 25/02/20 6075 3
103804 [일반] 노아의 홍수 그리고 도덕 [6] 번개맞은씨앗4047 25/02/19 4047 3
103803 [일반] 트럼프의 본심 (Project 2025를 통해 바라본 대외원조 중단조치) (2) [10] 스폰지뚱3899 25/02/19 3899 6
103802 [일반] 트럼프의 본심 (Project 2025를 통해 바라본 대외원조 중단조치) (1) [8] 스폰지뚱4759 25/02/19 4759 8
103801 [일반] 실시간 미친듯이 오르고있는 코스피 [76] 마그데부르크8398 25/02/19 8398 1
103800 [일반] 트럼프 폭탄발언? "우크라이나 전쟁을 시작하지 말았어야지" [239] 마그데부르크12360 25/02/19 12360 8
103799 [일반] 7년 뒤 소행성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 '2024 YR4' 발견 [34] 철판닭갈비4229 25/02/19 4229 1
103798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77. 별 경(庚)에서 파생된 한자들 [8] 계층방정2715 25/02/18 2715 2
103797 [일반] 백종원 "마진 제로" 토로했지만…'빽햄' 결국 자사몰 판매 중단. [163] 홈스위트홈17064 25/02/18 17064 10
103796 [일반] 토론토 공항서 델타 4819편 전복 사고 [27] 엔지니어10321 25/02/18 10321 0
103795 [일반] 중국에만 존재하는 고속열차 침대칸 [41] 매번같은13028 25/02/17 13028 5
103794 [일반] 위고비 6주 후기 (위고비 초금 허접인듯??) [60] Lord Be Goja9965 25/02/17 9965 4
103793 [일반] 퇴마록(2025) - 난 27년전 이영화를 극장에서 봤어요. 하지만..(노스포) [21] 이쥴레이4753 25/02/17 4753 7
103792 [일반] 미래에셋 미국 ETF 분배금 축소 지급 인정, 4월 추가 분배 예정 [45] Regentag6713 25/02/17 6713 5
103791 [일반] 우크라이나 없는 우크라이나 종전협상... "18일 미-러 고위급 회담" [136] EnergyFlow11962 25/02/17 11962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