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25 16:45:34
Name Lz
File #1 1740468840273.png (94.7 KB), Download : 438
File #2 whitehouse_20250225_163326_000_resize.jpg (22.4 KB), Download : 437
Subject [일반] 어제자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 (수정됨)




CDU(기민당,중도보수) 208석 28.5%

AfD(독일을 위한 대안,극우) 151석 20.8%

SPD(사민당,중도좌파) 121석 16.5%

GRÜNE(녹색당) 85석 11.7%

Linke(좌파당,극좌) 64석 8.8%

BSW(자라 바켄크네이트동맹,좌익 포퓰리즘) 0석 4.9% 봉쇄조항 미달

FDP(자민당,자유주의) 0석 4.33% 봉쇄조항 미달



=====================================



이미 그 어떤정당도 AfD와 연정할 생각은 없다고 못박았지만

차기총리로 유력한 기민당의 메르츠도 강경 반난민 성향이라 난민이슈선 AfD와 손을 잡을지도 모르겠네요.

또한 흥미로운건 독일 젊은 층들의 표심인데

독대남들은 대안당 25 기민당 17 좌파당 15
독대녀들은 좌파당 34 대안당 14 녹색당 13

젊은 여성들까지도 꽤나 대안당을 찍어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기쥐
25/02/25 16:47
수정 아이콘
구 서독 지역과 구 동독 지역의 지지 정당 비교도 재밌더군요.
소독용 에탄올
25/02/25 16:50
수정 아이콘
돌일 재통일이 실패해 가고 있다는걸 보여주는 선거결과가.....
피노시
25/02/25 16:50
수정 아이콘
독일 젊은층이 왠지 한국과 비슷해보이네요
25/02/25 16:55
수정 아이콘
동서독의 선거결과가 극명하게 나뉘더군요. 그래도 독일 정치의 관례상 극우와 손을 잡지는 않을거 같고 사민당과의 대연정이 유력해 보이긴 합니다.
25/02/25 17:06
수정 아이콘
난민이슈때문에 흑적연정도 꽤나 어려울겁니다. 저 선거결과가 집권당인 사민당이 인기가 없어서 저런결과가 나온건데 그 인기없는 정당과 손을 잡는건 지지율 떡락하기 딱좋은 행동이라..
사일런트힐
25/02/25 17:33
수정 아이콘
AfD랑 연정이 불가능한 이상 선택지가 없죠
DownTeamisDown
25/02/25 18: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연정에 양당 지지자가 긍정하는 여론이 많습니다.
사실 그럴수 밖에 없는게 총선 다시할께 아니면 선택지가 없어서요.
AfD하고 연정 가능할리가 없어서요
25/02/25 16:5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통일되었을 때를 가정해서 대입해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몇 년 전부터 양 극단으로 치닺는 정치 성향과 더불어.. 
타츠야
25/02/25 17:00
수정 아이콘
그런 관점에서 통일이 되더라도 늦게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통일이 가져오는 부작용도 크다고 생각되어.
유료도로당
25/02/25 16:56
수정 아이콘
극우당 AfD 지지세가 무섭더군요. 이것이 월드 트렌드인가 ....
타츠야
25/02/25 17:03
수정 아이콘
AfD 지지에 경제 이슈가 없을 순 없는데 지지 이유로 미국처럼 우리 일자리를 뺏아간다는 비율보다 이민 정책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비율이 많다고 합니다.
강동원
25/02/25 17:03
수정 아이콘
그... 나치즘에 가까운 행동이나 사상만 제와하면 AFD가 왜 이렇게 돌풍을 일으키나에 대해 이해는 가더군요.
물론 [나치즘에 가까운 행동이나 사상]이 제일 문제지만...
25/02/25 17:04
수정 아이콘
유럽쪽은 난민으로 인한 심각한 사회문제 문제로 극우 득세가 세진 느낌이더군요...
이런데 우린 난민을 OECD국가의 1/10 수준으로 밖에 안받는다는 뭐라는거 보면 한숨이...
Chasingthegoals
25/02/25 17:04
수정 아이콘
홀로코스트 추모 행사에서 난민이 테러한게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나 봅니다.
임전즉퇴
25/02/25 20:35
수정 아이콘
AfD에서 그놈 뭐라도 챙겨주고 싶지 않을까 할 지경이죠.
compromise
25/02/25 17:26
수정 아이콘
각자도생의 시대죠. 명분보다는 실리, 경제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샤한샤
25/02/25 17: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AfD 정책 주장이 별로 극우적이지 않던데요?
민족주의, 반이민, 반 무슬림 이런건 뭐 취향차이 정도로 이야기 할 수 있을거같고
네오나치들과 친하다 뭐 이런건 문제가 되긴 하겠지만 정당의 공식적인 입장이 나치 옹호가 아닌 것 같던데 이게 극우라고 욕먹을만한 정당인가 싶기는 해요
25/02/25 17: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게 유럽식 대안우파, 극우 기본이죠
비요른 회케 같은 인간이 나치 친위대 옹호발언을 대놓고 하고 있는데요
25/02/25 17:46
수정 아이콘
당대표가 나치 구호 사용, 유대인 혐오. 당에서 나치 옹호하는 걸요.
허락해주세요
25/02/25 18:11
수정 아이콘
공식적으로 나치를 옹호하면 저기는 우리나라 위헌정당처럼 됩니다.

말씀대로 강령에는 없겠죠, 있으면 안되니까요.
엘든링
25/02/25 18:17
수정 아이콘
이게 당의 공식입장은 나름 순한 맛인데 당 지역 조직들로 내려가기 시작하면 이야기가 달라져서 그렇습니다
특히 동독 쪽, 작센 같은 곳들 AfD 지역조직들은 상당히 매콤해요...
엄준식
25/02/25 19:37
수정 아이콘
나열하신것들만 봐도 충분히 극우로 보입니다
헨나이
25/02/25 20:05
수정 아이콘
그게 극우란 겁니다
강원도
25/02/25 20:08
수정 아이콘
입맛에 맞아서 그런거 아닌가요
아밀다
+ 25/02/25 21:02
수정 아이콘
한결같으신 분... 아니 한길...
25/02/25 17:36
수정 아이콘
여기와 환경이야 많이 다르겠지만, 색깔이 골고루 다양하니 보기 좋군요
보라색, 노란색은 둘다 0석인데 왜 4.9%, 4.3%인지... 심지어 회색은 1석인데 4.5%...

선거 조작인가!!
25/02/25 17: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당 득표율이 5%를 넘지 못하면 원내진입이 제한되는 봉쇄조항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단 주에 따라 해당주의 지역정당에는 봉쇄조항이 적용되지 않는 특례가 있다고 하구요.
25/02/25 17:5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선거 조작이란 말씀이시죠!? 부들부들
25/02/25 18:03
수정 아이콘
눈을 떴구나. 독일정치갤러리로 오거라
DownTeamisDown
25/02/25 18:07
수정 아이콘
SSW라고 남슐레비히유권자 연합인데...
여기 정치적기반이 독일 최북단 슐레스비히홀슈타인입니다.
그런데 왜 정당이름에 남이 들어가 있을까 생각해보면 답이 나오죠.
소수민족 정당이라서 그렇습니다.
25/02/25 18:16
수정 아이콘
경제 이슈도 이슈지만 이 동네는 난민이 직접적인 치안 위협이 되는 동네라...
25/02/25 18:33
수정 아이콘
25/02/25 18:46
수정 아이콘
뭐 나치도 합법적으로 정권잡았는데
시대가 돌고 도는건가 싶기도합니다
국지전은있었어도 평화의시대가 엄청 길긴했죠
25/02/25 18:5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정도 되면 네오나치 타령만 하는 독일 집권여당이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명확하게 해당 유권자들은 1. 치안 문제 2. 경제(에너지) 문제에 대한 정책 변화를 원하는 걸로 보입니다. 테러 사건은 계속 일어나고, 러시아 가스관이 차단된 직후 원전을 폐쇄하는 행동을 했죠. 전기가스 폭등으로 전국민이 월 100~200만원 관리비 통지서를 받았고요. 이런데 중도보수-중도진보 연정으로 정부가 요지부동인 정치지형에서 유권자들의 선택지는 하나 밖에 없어보여요. 조금이라도 변화를 보여줬다면 대부분의 유권자는 굳이 AfD를 뽑지 않았을 것 같네요.
타츠야
+ 25/02/25 21:40
수정 아이콘
전기가스 폭등으로 전국민이 월 100~200만원 관리비 통지서를 받았고요.
-> 이건 영국 일부 지역 이야기 아닌가요? 독일에서 관리비가 오르긴 했는데 그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미드웨이
+ 25/02/25 21:4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말하기엔 당장 이번 총선 1당으로 승리한 기민당은 메르켈이 있던 당인데 이번에 새로 총리가 될걸로 보이는 기민당 당수 메르츠는 반난민입장으로 메르켈 비판하던 사람이고 원전도 재가동해야한다는 입장으로 역시 메르켈 비판하던 사람입니다.

조금이라도 변화를 보여줬다면 이란 말을 쓰기에는 기민당이 변화해서 1당으로 승리했다 봐야죠.
성야무인
25/02/25 19:33
수정 아이콘
아주 솔직히 이야기 하자면

각 선진국에서 청년 고용불안에 대한 문제를

이민자 혹은 외노자 때문이라고 많이 합니다만

그렇다고 이 사람들이 나가면

본인들이 일할거냐?라는 질문을 한다면

아니요입니다.

한국만 하더라 진작부터 학생들이 싫어하는

대학원생이 외국인 학생으로 채워진지 오래입니다.
+ 25/02/25 20:51
수정 아이콘
저기 독일은 청년 고용불안을 넘어 치안 문제죠.
이민자가 차몰고 군중에게 달려드는 거라,... 사람도 죽었고
미드웨이
+ 25/02/25 21:29
수정 아이콘
"이민자"니까 한국의 외노자랑은 다른 문제가 될수밖에 없는데 왜 외노자에 적용되는 논리를 씁니까. 말그대로 같은 나라 같은 국민이니까 외노자랑은 대접부터가 달라지고 한국처럼 한국인들 일안하는 자리만 차지하는게 아니에요.

그리고 "난민"의 문제는 치안이 더 큽니다.
외국어의 달인
25/02/25 19:47
수정 아이콘
정부정책이 당장 내 삶과 피부에 직접 영향을 주니까 저렇게 된거겠죠. 누굴 욕하겠어요.
건이건이
25/02/25 20:14
수정 아이콘
독일이 또 정당해산 하려나요? 궁금해지네요
Jedi Woon
+ 25/02/25 20:43
수정 아이콘
지난 겨울부터 중동계 이민자와 난민에 의한 테러들이 있어서 민심들이 흉흉해진 것도 큽니다.
연정 구성을 어떻게 하고 이민 정책 등을 어떻게 할지, 난민 문제를 어떻게 대응할지를 주목해야죠.
근데 어떻게 연정을 구성하고 우파적 정책을 시행한다 해도 경제적 상황은 딱히 좋아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미드웨이
+ 25/02/25 21:23
수정 아이콘
난민 생각해보면 유럽 극우 지지하는 입장이 충분히 이해는 됩니다만

100년도 지나지 않은 시기에 나치가 있었고 그 나치를 추종하는 세력이 안에 있는 극우는 전혀 다른 얘기죠.
실제상황입니다
+ 25/02/25 21:32
수정 아이콘
현 기민당 대표 메르츠 스탠스도 메르켈 이민정책에 비판적인 편이었다고는 하던데
afd는 프랑스나 이태리 극우정당들이랑 비교해봐도 상당히 막가파라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운영위원을 상시 모집합니다. jjohny=쿠마 25/02/08 3504 10
공지 [일반] [공지]자유게시판 비상운영체제 안내 [210] jjohny=쿠마 25/02/08 13300 19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9272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0979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72309 31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1537 3
103831 [일반] 트럼프 무역정책을 바라보는 두 시각 : 비먼(Beeman)과 라이트하이저 스폰지뚱308 25/02/25 308 1
103830 [일반] 월스트리트저널 2. 3. 기사 해석 (북극에서 벌어지는 경쟁) 오후2시384 25/02/25 384 0
103829 [일반] 어제자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 [44] Lz5132 25/02/25 5132 4
103828 [일반] 항상 건강 관리 잘 하세요 여러분 (2) [97] 모래반지빵야빵야5413 25/02/25 5413 112
103827 [일반] 한국 남성, 정말 심각한 상황…충격적인 통계 결과 나왔다 [287] 마그데부르크14924 25/02/25 14924 7
103826 [일반] 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이 붕괴했습니다 [38] 독서상품권8007 25/02/25 8007 1
103825 [일반] 한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연 3.00%→2.75% [111] 마그데부르크7431 25/02/25 7431 3
103824 [일반] 미국이 러시아, 북한과 함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규탄 un 결의안 반대표 [71] 크레토스6493 25/02/25 6493 8
103823 [일반] 러-우 전쟁 3주년입니다. [60] 스폰지뚱4083 25/02/25 4083 2
103822 [일반] 자유무역이라는 환상 - 트럼프 1기 무역 정책의 논리 [47] 사부작5329 25/02/24 5329 11
103820 [일반] 상법이 개정되면 주주충실의무를 지키지 않은 이사는 배임죄로 처벌될까? [13] 깃털달린뱀5743 25/02/24 5743 2
103819 [일반] 개인정보는 왜 보호되어야 하는가 [3] 번개맞은씨앗4622 25/02/24 4622 7
103818 [일반] 日 6000만명 노릴 때…10년째 '천만 관광객'에 갇힌 韓 [201] 핑크솔져12592 25/02/24 12592 3
103817 [일반] 책 후기 - <미래과거시제> [4] aDayInTheLife3817 25/02/23 3817 1
103816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위독 [43] Croove10168 25/02/23 10168 10
103815 [일반] 권위주의는 권위가 곧 자본 [1] 번개맞은씨앗7147 25/02/23 7147 5
103814 [일반] 아파트 이야기.. [28] 해맑은 전사8609 25/02/23 8609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