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tvN '더 지니어스' 관련 게시글을 위한 임시 게시판입니다.
- 방송 기간 한정 임시로 운영됩니다. (선거, 올림픽, 월드컵 게시판과 같음)
Date 2014/12/16 19:11:07
Name 삭제됨
Subject [분석] 더 지니어스 11회전 데스매치 이런 전략이 좋지 않았을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4/12/16 19:19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약한 숫자 중에 큰 칩을 걸어 상대방의 포기를 강제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여기저기 분산하는게 아니라 전부 하나씩 걸되 딱 한가지에만 왕창 거는거죠. 그럼 낮은 숫자도 해결할 수 있고, 칩 한개도 벌 수 있고요.
따라오면 그냥 끝이지만, 상대 입장에선 잘못하다간 바로 끝이고 져봤자 칩한개 손해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확률로 포기할 것 같아요.
물론 1회성 전략입니다.
뚱뚱한아빠곰
14/12/16 19:26
수정 아이콘
오현민의 전략은 상대방에게 선택을 강요하게 만드는 방법이죠...
저도 11회 데스메치가 끝나고 나서 송아지파워님과 같은 방법으로 게임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가졌지만
그건 게임을 한 번 이상 봤을 때 여유있게 생각할 수 있는 전략이 아닌가 합니다.
탈락을 좌우하는 자리에서 처음 게임을 봤을 때는 장동민씨나 오현민씨 처럼 생각하는게 가장 무난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송아지파워
14/12/17 11:10
수정 아이콘
게임을 한 번 이상 봤을 때 여유있게 생각해본게 아니라 지니어스 방송보는 중에 생각났습니다.
라라 안티포바
14/12/17 13:25
수정 아이콘
이건 송아지파워님 말씀이 공감하는게,
저도 똑같이 생각했거든요.
사실 시즌2 조유영 vs 유정현 흑과백 데스매치도 어떻게보면 비슷한 접근방식이 아니었나 싶어요.
raindraw
14/12/18 00:55
수정 아이콘
아마 룰 설명 듣자말자 저 전략 생각한 사람이 엄청 많을 겁니다.
저도 그랬구요.

오히려 위의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님의 방법이 매우 신선하고 좋네요.
얻다대고화를내시는거에요
14/12/16 19:45
수정 아이콘
저도 당연히 1개씩 걸고 나머지 칩을 가지고 배팅하는 형식을 생각했어요.
아마 우리처럼 생각하는게 가장 일반적인 방법 아닐까요? 모든 방식에 대응할수 있으니까요.
오현민의 전략은 제 입장에서는 참신했는데 최연승은 무슨 전략이었는지 알 도리가..
마술사
14/12/16 20:40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생각이시군요 밑의 the genius님글 댓글에 보면 똑같이 제가 적어놨습니다;
에바 그린
14/12/16 20:42
수정 아이콘
저도 듣자마자 생각난 건 이 전략이였는데 이 전략으로 오현민씨의 전략과 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한다고 했을때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네요.

따라가지 않으면 상대방의 패를 볼 수 없었던 룰 아니였나요? 그랬다면 첫 배팅이 걸린 걸 보고 짐작으로만 플레이를 했어야 되서 결과가 어떻게 나왔을지...
14/12/16 21:41
수정 아이콘
이전략은 8이 초반타일안에 놓여 있어야 초반집중에 카운터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8이 초반타일에 놓여 있다고 해도 필승은 아니구요.
오현민은 9.8.7.6의 순서가 아니라 순서를 섞었습니다. 즉 높은숫자를 확신하지만 어떤숫자인지는 알 수 없죠.
7로 승부를 보는 건 승률이 낮아 안되구요.

숫자를 랜덤배치하고 뒤에 칩을 다 놓았는데 상대는 후반 집중이라면 힘들어지고, 또는 상대도 똑같이 마지막에 칩을 다 놓고 있으면 운싸움이에요. 오현민은 처음 나온 게임이다 보니 패를 보이기 싫어 초반집중을 선택한 것 같구요.

즉, 뒤에 모든칩을 다 놓고 상황에 따라 배팅하는 것 또한 특별히 유리할 것은 없습니다. 그렇다고 특별히 나쁠 것도 없지만요.

필승법은 존재하지 않으니 어떤 전략이든 운과 베짱, 상황판단만 따라주면 이길 수 있을 겁니다.
14/12/16 22:32
수정 아이콘
배팅게임에 필승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현민이 초반 4개에 주력카드 9876을 쓰는걸 100% 확신했다면 최연승이 무조건 이겼겠죠..
죽으면 (1개배팅후 포기) 패널티로 5개 상대편에게 주는게 있어야 맘놓고 못죽는건데.. 이건 그냥 칩싸움이라..
14/12/16 23:26
수정 아이콘
대충 단점만 파악하면 앞에서 버리는 (최대)9개에서 승부가 나버릴 수 있을거 같아요. 같은 전략이 아닌한, 상대방이 맨 마지막에 그렇게 많이 안걸었을 텐데 그 칩들은 버리되, 앞에서 9개를 최대한 가져오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카운터될 수 있겠네요.
라라 안티포바
14/12/16 23:39
수정 아이콘
이게 어떻게보면 조유영, 유정현이 흑과백에서 생각한 전략과 상통하는 면이 있고 유연성이 높은게 장점이긴하나
베팅 상황을 보자마자 상대가 내 전략을 간파할 수 있다는게 또 단점이될듯 합니다.
여튼 최연승처럼 어정쩡한 베팅이 제일 안좋은듯 합니다. 오현민처럼 초반몰아치기/혹은 후반뒷심으로 유연성 플레이 둘중 하나를 해야하고
윗분들 말씀대로 첫장에 0같은걸로 베팅 올인해놓고 페이크치는것도 고려해볼만 하더군요.
근데 데스매치에서 그정도 도박하는 강심장이면 아카기급이라...다른전략써도 충분히 이길듯해요.
Steadfast
14/12/17 05:56
수정 아이콘
첫장에 작은 숫자 놓고 뻥카치기는 좀 위험한 게, 상대방이 9를 놓을 확률이 (사용 가능한 전략을 고려해 봤을 때) 1/9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전략이 랜덤이라면 모르지만, 초반 집중형 전략이 있는 판국에 맨 앞에 9가 있을 확률은 1/9보다 높죠. 상대방이 9를 들고 있다면 어떤 상황이라도 지지는 않으므로 무조건 따라옵니다. 이 경우는 패망이겠죠.

상대가 첫 카드에 1개만 베팅했을 경우라면, 이겨봤자 순수 이득은 1개이며, 베팅 자유도 측면에서도 회수한 최소 베팅 개수인 1개를 포함한 2개의 이득 밖에 없습니다. (사실, 초반에 칩을 따와서 베팅에 쓸 수 있는 칩을 늘이는게 딱히 메리트가 없다고 보는 것이, 상대방이 모두 1개+하나에 몰빵 수준의 전략이 아닌 다음에야, 내가 칩이 부족해서 못 따라갈 이유는 없거든요. 이 게임은 무대뽀 베팅으로 블러핑 하는 것이 불가능해서, 콜 할 수 있을 만큼의 칩만 있으면 되니까요.

결국, 첫 카드 뻥카로 이득을 볼 수 있는 경우는 상대가 7, 8 같은 적당히 높은 숫자에 칩을 여러 개 걸었을 경우인데 (실제 게임에서 최연승 플레이어가 이렇게 했죠), 이런 상황은 특정한 경우라고 봅니다. 얻는 이익 대비로 봤을 때, 뻥카 실패 시 게임 종료라는 비용이 너무 커 보이네요. 플레이어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래도 너무 극단적이지 않은가 생각해요.
라라 안티포바
14/12/17 08:30
수정 아이콘
확실히 오현민처럼 9 선빵전략이 꽤나 보편적으로 쓰일 수 있기에 위험부담은 크겠네요.
그러나 성공시 이득을 단순히 2개의 이득으로 치환하는 것은 무리라고 보여집니다. 0으로 베팅을 따낸 이득을 의도적으로 너무 폄하한게 아닌가 싶은데요.
Steadfast
14/12/18 04:00
수정 아이콘
상대가 첫 카드에 몰빵했을 때, 내가 1개만 내고 죽는다면 상대가 얻는 칩은 (1)내 칩 1개, (2) 상대가 한 라운드마다 최소한으로 걸어야만 하는 자유도가 죽은 칩 1개, 이렇게 2개라고 썼습니다. 만일 최소 숫자로 승리를 따냈다면, 이득은 2개보다 크겠죠 당연히. 왜냐하면, 다음 라운드 플레이 때, 상대방의 남은 카드의 숫자합이 내 카드의 숫자합보다 크고, 확률상으로 상대방이 이길 확률이 아주 적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소폭 증가할 겁니다. 이것도 뭐 경우에 따라 달라서, 내가 8을 들고 상대방의 0에 블러핑 당해서 죽었다면 상대가 이길 확률이 꽤나 증가하겠네요. 2개 플러스 알파만큼 이득인데, 알파는 상대가 뭐를 들고 죽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거 같습니다.

제 생각에, 어떤 전략이든 똑같은 확률로 선택한다고 하면, 첫 라운드 블러핑 몰빵도 해볼만한 전략일거 같네요. 계산은 안 해봤지만 손해를 감수하고 했으니 그만큼 이득이 있어야죠. 하지만 사람들이 초반 집중형 전략을 균등형/후반 집중형보다 많이 쓸거라고 예상되는 관계로, 실제 승률은 50%가 안 될거 같아요.
Steadfast
14/12/17 06:09
수정 아이콘
이번 데스매치가 베팅 게임이기는 한데, 초반 베팅이 이뤄진 후 가능한 베팅 행동이 "콜"과 "폴드"뿐이라서 "레이즈" 블러핑이 없습니다. 또한, 적게 배팅한 사람만이 콜이나 폴드를 할 수 있죠. 어차피 콜을 하면 상대방이랑 똑같은 개수의 칩을 걸 수 있는데, 굳이 불확실성을 감수하고 미리 베팅을 할 이유가 있나 싶습니다. 가진 숫자 중에서 불확실성이 없는(!), 즉 절대로 지지 않는 숫자는 9이므로 여기에 몰빵하고, 판에 깔린 상대방의 베팅 칩 개수와 내 카드 숫자를 보면서 따라가는 게 여러 모로 유리하지 않나 싶네요.

뭐, 그렇다고 해서 이게 필승법이라거나 그런 건 아니지만, 게임 설계 자체가 일반적인 베팅 게임과는 다르다고 봅니다. 이를테면, 보통 게임에서 선베팅하는 상대가 크게 지를 경우, 나는 1개만 내놓은 상태에서 그냥 죽을 수가 있죠. 하지만, 이번 게임에서는 내가 그 판에 걸어놓은 기본 베팅 숫자가 1개가 아니라면, 죽고 싶어서 폴드해도 1개보다 많은 칩을 잃게 됩니다.

이렇게 플레이했을 때, 상대도 나와 똑같이 플레이한다면 결국 50:50 싸움이 되는 거구요. 상대가 칩을 불균등하게 베팅했다면 내 행동에 자유도가 높아집니다. 승률이 비약적으로 올라가지는 않아도, 나름 할만한 전략이 아닌가 싶네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4/12/17 15:01
수정 아이콘
오히려 가장 높은 숫자에 몰빵하는 것은 꽤나 좋지 않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높은 숫자로는 필히 많은 칩을 가져와야 하는데, 상대방이 많은 칩을 것 것을 보고 죽으면 고작 칩 한개를 벌어간 것으로 끝이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상대가 칩을 많이 걸었길 기대하며, 적당하게 거는게 좋다고 봅니다. 상대가 많이 걸었으면 따라가고, 한개 걸었어도 따라오게끔 낚시질하고, 죽으면 뭐 어쩔 수 없는것이구요. 가장 많이 배팅해야하는 패는 가장 낮은 수라고 생각해요. 상대방은 가장 높은 수가 아니면 따라오지 않을테니까요.
Steadfast
14/12/18 03:50
수정 아이콘
그걸 보완하기 위해서 가장 높은 숫자인 9를 후반부에 두는 것이죠. 그러면, 9보다 앞에 있는 숫자들로 게임할 때 9에 걸린 칩을 옮길 수 있으니까요. 사실, 9카드에 몇개를 걸었더라도 "실제로" 9가 오픈 되기 전까지는 거기에 걸린 칩은 그냥 내 인벤토리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미리 놓지 않았으므로 선빵으로 베팅은 못하지만, 콜 베팅만 놓고 보면 후반부의 칩은 그냥 인벤토리 안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사실, 9에다가 미리 21개를 놓아둘 필요는 없죠. 일단 후반부 아무 숫자에나 몰빵해 놓고, 앞쪽 카드 게임할 때 옮겨가면서 하면 되죠.

서로 똑같은 카드에 똑같은 개수의 칩으로 게임을 하니, 당연히 낮은 수로 높은 수를 폴드시켜 잡아먹을 수 있다면 유리하죠. 하지만, 가장 낮은 수에 몰빵했을 때 상대가 그냥 폴드해 버리면 얻는 이득은 몇 개 수준인 반면, 혹시라도 상대방의 큰 카드에 지게 되면 게임이 끝나버리니까 일장일단이 있지 않나 싶어요.

제 생각에 중요한 포인트는, 상대방의 패를 보고 폴드하고 싶을 때 "1개"만 잃을 수 있는 상황이 되면 게임이 유리하지 않나 하는 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내가 9에 몰빵을 해서 상대가 눈치채케 하는 건 좋지 않죠. 하지만, 꼭 9가 아니어도 되고 몰빵했던 21개도 후반부에 있다면 전반부 게임을 하면서 개수가 계속 줄어들기 때문에 딱히 몰빵의 의미도 없습니다. 생각해 보니 후반부 몰빵 전략이라면 꼭 9가 아니라도 적당히 큰 숫자로 해도 될 듯 하네요. 게임 막판에 이르면 21개가 아니라 몇 개 수준으로 적어져 있을 테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5 [분석] 더 지니어스 3시즌 동안의 공통점 12가지 [10] 시베리안 개8265 14/12/28 8265
1746 [분석] [3경기] 관전자의 카드를 안다는 것이 과연 유리할까 [12] 슈퍼잡초맨6821 14/12/20 6821
1745 [분석] 더 지니어스 : 블랙가넷에 대한 개인적인 소감입니다. [7] 세뚜아6833 14/12/20 6833
1744 [분석] 저도 뒤늦은 결승전 소감(+화제가 되고 있는 탈락자에 대한 단상) LA5524 14/12/20 5524
1742 [분석] 지니어스 우승자는 하늘이 내린다. [6] 라라 안티포바7613 14/12/20 7613
1740 [분석] 시즌1,2,3 각 시즌 별 참가자들의 성적 [7] Leeka7060 14/12/20 7060
1720 [분석] 결승전 소감 (스포만땅) [38] 라라 안티포바8142 14/12/18 8142
1719 [분석] 고맙다 친구야.. 역대 최고의 결승전 후기 [66] Leeka13279 14/12/18 13279
1713 [분석] 더 지니어스 11회전 데스매치 이런 전략이 좋지 않았을까요 [18] 삭제됨5992 14/12/16 5992
1710 [분석] 모노레일 홍진호vs오현민, 매 턴마다 존재했던 필승법. [15] 오대감35688 14/12/14 35688
1708 [분석] 오현민 vs 장동민 시즌3 비교 [67] 카미너스13468 14/12/12 13468
1703 [분석] 11화 데스매치 베팅!흑과백 분석 [32] The Genius12752 14/12/11 12752
1701 [분석] 11화 소감 [47] 라라 안티포바10513 14/12/11 10513
1674 [분석] 뒤늦은 10화 소감 [28] 라라 안티포바9867 14/12/04 9867
1673 [분석] 10회의 주인공은 갓콩!! [22] 잭스10528 14/12/04 10528
1664 [분석] 9화 데스매치 <기억의 미로> 하연주 vs 김유현 [8] 카미너스13440 14/11/30 13440
1663 [분석] 8화 데스매치 <기억의 미로> 신아영 vs 김유현 카미너스8259 14/11/29 8259
1660 [분석] 블랙가넷 10화 예고편으로 추측한 블랙가넷의 향방에 대한 추측글입니다. [7] 세뚜아7982 14/11/27 7982
1656 [분석] 하연주의 전략은 최선의 선택 [53] 김연아8276 14/11/27 8276
1653 [분석] [9화 데스매치 분석] 탈락자를 결정한 휴리스틱의 유혹(당연히 스포 있음!) [30] 호구미8603 14/11/27 8603
1652 [분석] 데쓰매치 : 기억의 미로 분석 [8] 삭제됨6336 14/11/27 6336
1649 [분석] 9화 소감 [20] 라라 안티포바7098 14/11/27 7098
1648 [분석]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9화 스포일러 포함) [26] chamchI8182 14/11/27 81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