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8/19 15:47:40
Name 이치죠 호타루
Subject [일반] 청색 작전 (7) - 맞받아 치다
이전 글 보기
https://pgrer.net/?b=8&n=72594 청색 작전 (0) - 프리뷰
https://pgrer.net/?b=8&n=72654 청색 작전 (1) - 하복부 강타
https://pgrer.net/?b=8&n=72758 청색 작전 (2) - 패닉
https://pgrer.net/?b=8&n=72865 청색 작전 (3) - 캅카스 유린
https://pgrer.net/?b=8&n=72993 청색 작전 (4) - 체첸의 비극
https://pgrer.net/?b=8&n=73183 청색 작전 (5) - 지옥문 개방
https://pgrer.net/?b=8&n=73284 청색 작전 (6) - 요참형 집행



Previously on Fall Blau...

드디어 소련군에게도 기회가 왔습니다. 마치 블랙홀처럼 제6군이 시가전에 빨려들어가는 동안 최대한 기회만 노리고 있었던 소련군이 11월 19일자로 독일군의 측면을 강타한 것입니다. 당시 측면은 루마니아 군이나 이탈리아 군 등 독일의 허약한 동맹국들이 방어하고 있었고, 따라서 이들은 손쉽게 무너져내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전차군을 앞세운 소련군의 공격은 준비부터 실행에 이르기까지 매우 잘 준비된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양측에서의 공격군이 조우할 칼라치의 교량이 생각보다 너무 쉽게 점령되어 버리는 행운까지 겹쳐, 소련군은 작전을 대성공으로 이끌 수 있었습니다. 독일군의 제6군 및 제4기갑군의 일부는 완전 포위당했고, 이제 턴은 소련군에게 넘어갔습니다.



앞선 글에서 짧게 언급했는데, 소련이 잿밥에 눈을 돌렸다고 이야기했었죠. 거기에 대한 이야기는 일단 이쪽 전역이 마무리된 후 에필로그 식으로 따로 글을 파려고 합니다. 확실한 건 그러는 동안 적어도 이 스탈린그라드 일대에서 소련군이 어떤 눈에 보이는 행동을 개시한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죠. 어쩌면 독일군에게도 이 시점에서 기회는 있었을 겁니다. 어쩌면. 그 기회가 있었다 한들 성공 가능성이 별로 높지는 않아 보입니다만.

하여간 이 시점에서 나온 이야기가 그 유명한 "스탈린그라드로의 보급은 모두 공군이 책임지겠다"고 이야기한 괴링의 허장성세였습니다. 음, 실제로 완전 포위까지 몰린 데미안스크의 제16군을 공중 보급을 통해 버티게 한 전력이 있기는 했었죠. 아 근데, 문제는 그 소위 말하는 데미안스크 포켓(Demyansk Pocket)에 있던 독일군은 대략 10만 명 정도였고, 이번에 포위된 건 그 3배에 달하는 33만 명이었다는 거죠. 10만 명 보급물자도 전달하기 빡센데 그 3배에 달하는 물자를 무슨 수로 전달한단 말입니까?

괴링이 하루 600톤의 물자를 수송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이 양은 매일 375회의 비행이 필요한 수치였다는군요. 말도 안 되죠. 게다가 뭐 소련군이 어디 놀고만 있을 리도 없고 - 대공망을 말합니다 - 지속적인 시가전으로 인해 비행장의 상태는 당연히 개판이었으며 여기에 겨울, 즉 악천후라는 크리티컬까지 터지니 제아무리 독일 공군이라 할지라도 하루 600톤의 수송은 말도 안 되는 일이었죠. 뭐 하긴, "제아무리"라고 하기에는 이미 독일 공군의 명성은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박살이 났습니다만. 생각해 보니 괴링의 말도 안 되는 호언장담(영국 본토 항공전) 때문에 히틀러가 한 번 놀아나놓고 거기서 전혀 교훈을 얻지 못했다는 이야기니 알쪼 아닙니까. 결국 단 하루 300톤의 물자가 수송되긴 했는데, 이마저도 필요한 물자의 40% 수준이었다는군요. 그리고 가면 갈수록 수송량이 줄어든 것도 당연지사...

이런 판이니 독일군으로서는 결국 육전으로 스탈린그라드의 포위망을 뚫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전에 우선 두 장의 지도를 잘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104-_Fall_Blau-_Stalingrad-421123.png104-_Fall_Blau-_Don-421212.png

눈여겨보셔야 할 쪽은 서쪽입니다. 위 지도에서 소련군 8 KK(소련군 제8기병군단)가 진격하여 전선을 구축했는데, 다음 지도를 보시면 그 전선이 약간 주저앉아 있죠. 바로 그 지역에서 돈 강의 지류인 치르 강(Chir River)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강을 끼고 방어하는 적을 상대로 공격을 벌여서 치르 강 전선을 지키지 못하도록 한 것인데, 일종의 성동격서 비슷한 느낌의 파쇄공격이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동쪽에서 치고 올라올 구원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 도하가 따로 필요없는 만큼 공세는 동쪽에서 시작하는 게 자명했죠 - 서쪽을 미리 공격하여 양동작전의 가능성 및 페이크 공세 따위의 잔수를 미리 박살내는, 일종의 "수비를 위한 공격"이었던 셈입니다. 적의 공격이 거의 확실할 때 적의 공세를 저지하기 위해 미리 병력을 보내 적의 의표를 찌르고 전투력을 박살내는 것을 파쇄공격이라 하는데, 이 시점에서 소련군이 행한 공격이 그 파쇄공격성이었던 거죠. 파쇄공격이라고 하기에는 어째 원래 목표가 훨씬 크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악조건을 감수해 가면서 독일군이 포위망 해제 및 구출을 시도하자 작전을 바꾸게 된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조금 뒤에서...

하여간 독일군 입장에서는 서쪽에서 교란 내지는 양동작전을 벌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코텔니코보(Kotelnikovo) 한 곳에서 독일군의 반격이 시작될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그게 바로 그 유명한 겨울폭풍 작전. 작전을 지휘하는 사람은 독일군의 최고 명장인 에리히 폰 만슈타인. 그러나, 폰 만슈타인이 지휘하는 제57기갑군단의 병력은 그야말로 후방의 병력을 긁어모은, 말하자면 밥 퍼고 남은 솥의 다 타서 새까맣게 변한 눌어붙은 누룽지 같은 느낌인지라, 제대로 된 공격이 가능할 리 만무했죠. 어쩌면 상당히 큰 불운이 겹치기도 했는데, 앞서 말한 서쪽의 치르 강 방어선이 버텨 줘야 구원작전도 의미가 있을 거 아닙니까. 근데 이 서쪽이 위험해진 터라 어쩔 수 없이 홀리트 분견군과 제11기갑사단이 구멍을 틀어막기 위해 발이 묶여야 했는데, 하필이면 이 제11기갑사단이 가장 쌩쌩한 병력이었던 거죠. 그래서 공세에 나선 독일군의 병력은 어림잡아 5만 명에 전차 250대. 이름은 돈 집단군(Heeresgruppe Don)이었으되 실제 병력은 잘 쳐줘야 군단 하나에 불과한 병력으로 구원을 시도한 것이죠. 그런 상황에서 50 km 가량을 전진한 게 오히려 기적이라면 기적이었습니다.

104-_Fall_Blau-_North_Don-421216.png

한편 동쪽에서 독일군이 공격을 개시하자 소련군도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 실은 작전계획에 큰 수정이 가해진 것이었지만 - 서쪽에서부터 물밀듯이 몰아치기 시작했습니다. 이른바 소(小) 토성 작전이었죠. 앞서 나중에 이야기하겠다고 한, 파쇄공격이 처음에 가졌던 큰 목표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12월 7일에 치르 강을 상대로 밀어붙인 소련군의 계획은, 원래는 허약한 이탈리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쭉 남하하여 로스토프를 점령, 아예 남부 집단군 전체를 캅카스에 가둬버리는(!!!) 엄청난 스케일의 작전이었습니다. 그러나 폰 만슈타인의 구원 작전이 개시되고 포위망 소멸을 맡았던 제2근위군이 독일군을 맞을 수밖에 없게 되자, 계획의 크기를 줄여서 이탈리아군 및 홀리트 분견군을 포위 섬멸하는 것으로 줄인 겁니다. 그래서 소 토성 작전이 된 거죠. 늘 이야기하지만 안 그래도 이탈리아군은 약체였는데, 그 약체가 또다시 천왕성 작전에 준하는 공격을 얻어맞자 문자 그대로 찢어발겨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되자 홀리트 분견군도 상당히 뒤쪽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죠. 이 공격이 가해진 게 12월 16일입니다.

묘하게도, 두 작전은 마치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도는 회전문을 보는 듯하죠. 일종의 크로스 카운터였던 셈입니다. 그리고 이 크로스 카운터의 승자는 당연히 준비가 잘 되어 있고 병력상에서 우위이며 싸우는 기술까지 이제 독일군의 그것에 대등해져 가는 소련이었죠.

이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이 벌어지는데, 바로 스탈린그라드에 보급을 할 공군 기지인 타친스키(Tatsinskiy)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잠시마나 소련군의 손아귀에 떨어진 것입니다. 전투 자체는 엄청나게 치열했고 게다가 공격을 맡았던 제24전차군단이 공세한계에 시달리던 터라 전차 병력의 60% 이상이 날아가는 대손실을 입었습니다만, 그만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가뜩이나 부족한 독일군의 수송기 무려 56대를 박살내고 비행장을 깨끗이 갈아엎어버리면서 더 이상의 보급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 거죠. 이게 독일군의 후방인지라 결국 4일 후 독일군 후방에서 탈출하긴 했습니다만, 단 4일 동안이라고 해도 독일군의 절망적인 보급 상황을 감안하면 엄청난 공로라 할 수 있었다고 봐야죠. 폰 만슈타인이 이것 때문에 일부 병력을 가뜩이나 부족한 공세 병력에서 빼돌려야 했음(제48기갑군단)은 덤입니다.

어쨌든 비슷한 시기에 폰 만슈타인은 용케 50 km 가량을 밀어붙였지만 밀어붙인 건 독일군의 전차군단도 아닌 전차사단 규모였고, 예상치 못한 독일군의 진격 속도에 잠시 혼란에 빠진 소련군이 곧 정신을 차리고 12월 24일에 대반격을 개시해 버립니다. 독일의 대략 1개 군단 정도 되는 병력을 상대하는 것은 소련군의 3개 야전군이었고, 그 규모도 독일군의 3배인 15만 명에 달했으며, 더구나 그 중에는 정예라 할 만한 제2근위군, 제5충격군이 있었습니다. 이 제2근위군을 지휘한 것이 바로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또한 훗날 쿠르스크에서 주연 중 한 명으로 등장하게 될 파벨 로트미스트로프(Pavel Rotmistrov)의 제7전차군단(제5충격군 휘하)이 돋보였다는군요.

104-_Fall_Blau-_Don-421224.png

반격을 개시하는 소련군. 화살표의 크기에서부터 벌써 위압감이 느껴지죠. 아, 지도에서 보이는 화살표에 삼중선이 그려진 후방의 병력은 제2근위군의 일부인데, 포병입니다.

이 시점에서 제6군이 포위망을 돌파할 수 있었느냐는 솔직히, 무리라고 봐야 옳다고 생각합니다. 탄약이고 자원이고 뭐고 남아나지가 않은 상황에서 포위망을 돌파? 당연히 장비란 장비는 다 두고 나와야 하고 몸만이라도 살아서 나가면 다행이겠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솔직히 파울루스 손을 들어주기는 힘든 것이... 그렇다고 해서 포위망에 갇힌 채로 가만히 있는다는 게 말이나 되느냐 이거죠. 어쩌면 공세를 취할 만한 여력조차 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하다못해 포위망을 내부에서 뚫으려는 일련의 시도조차 게 보이지 않는다는 건 저로서는 이해하기 어렵네요. 말하자면 이런 겁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절벽으로 치닫는 상태에서 가만히 있는 것을 가리켜 누가 작전이고 전략이라고 이야기합니까?

파울루스가 이 때 히틀러의 현지사수 명령을 씹고 후퇴를 시도했으면 최소한 똑같이 소련군의 포위망에 갇혀서 소멸하더라도 병력의 규모가 규모다보니 뭔가 의미가 있기는 했을 텐데, 그러지도 않았죠. 11월 30일부터 12월 초에 이르는, 소련군이 잿밥에 눈 돌리던 바로 그 시기와 폰 만슈타인이 기적적으로 50 km를 돌파했던 두 번째 시기, 두 번의 기회를, 비록 성공 확률이 로또 맞을 확률이라고 해도 어쨌든 파울루스는 놓쳤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파울루스를 상당히 낮게 평가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뭐... 까놓고 이야기하면, 솔직히 우리 입장에서는 고마운 일이죠. 그 덕분에 전쟁이 추축국의 패전으로, 조금이라도 빨리 끝날 수 있었으니까요. 파울루스에 대한 평가가 매우 엇갈리고 있는 건 사실입니다만, 적어도 전 스탈린그라드에서 보여준 파울루스의 위기대응능력 부재 내지는 절박한 상황에서조차 찍소리 못하고 히틀러의 명령만 고수한 고지식함을 보았을 때 최소한 스탈린그라드라는 전장에서 파울루스라는 인물은 결코 그 자리에 적합한 인물이 아니었다고 평가합니다.

어쨌거나 겨울폭풍 작전은 실패로 끝났고, 소 토성 작전은 소련군의 전술적인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 결과, 독일군은 오히려 겨울폭풍 작전 개시 시기의 공세선보다 50 km 가량을 뒤로 더 밀려나야 했고, 좌익의 치르 강 일대에서도 전선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었습니다. 이제 상황은 거의 끝났습니다.

104-_Fall_Blau-_North_Don-421230.png104-_Fall_Blau-_Don-421230.png

이번 연재도 슬슬 마무리를 향해서 가긴 하는군요. 그러나 아직 몇 가지가 남아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경성아재
17/08/19 17:20
수정 아이콘
등짝을 보자 지크프리트야..^^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치죠 호타루
17/08/19 18:54
수정 아이콘
지크에 프리트면 승리에 평화라는 뜻인데, 아무리 봐도 히틀러에게 있어서 너무나 안 어울리네요.
블랙번 록
17/08/19 19:53
수정 아이콘
만슈타인은 사실만 이야기해도 엄청나다 했을텐데 히틀러 때문에 성공한 작전이 실패했다 하는 바람에 요즘 성과라고 하는게 바로 보이진 않더군요
이치죠 호타루
17/08/19 19:58
수정 아이콘
어쩌면 그게 폰 만슈타인의 한계였을지도 모르죠. 전술 작전술에 있어서는 천재였지만 대국적인 시야는 모자랐던 전형적인 독일 장군이 아니었을까 싶을 때도 있으니... 물론 폰 만슈타인 한 사람의 가치는 가히 1개 집단군에 비견할 만하지만... 그 스스로의 프라이드라고 할까요? 그런 게 너무 강한 거 아니었을까 그런 생각도 듭니다.
미키맨틀
17/08/20 01:29
수정 아이콘
일각에서는 독일군 제 48기갑군단이 제대로 쓰여졌다면 포위망을 뚫을 수 있지않을까 의견도 있지만 말도 안 되는 소리죠.....
48기갑군단의 역습이 소련 제 2근위군에 막혔던 순간에 이미 포위망을 둟기는 불가능했죠.
이치죠 호타루
17/08/20 05:36
수정 아이콘
애초에 급조된 부대로 포위망을 뚫으라고 하는 게 문제였지 싶네요. 저도 어떤 변수가 있었건 대세에는 영향이 없었다는 쪽에 한 표를 던집니다.
드라고나
17/08/20 16:38
수정 아이콘
전쟁사 책들 보면 지도가 좀 많으면 참 좋겠는데 싶을 때가 많은데 덕분에 잘 보고 있습니다
이치죠 호타루
17/08/20 18:3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저도 늘 그게 아쉽더라구요.
17/08/21 14:49
수정 아이콘
항상 흥미진진하게 읽고 있습니다.
역사에 IF는 없지만 그래도 6군이 탈출했으면 어떻게 됐을런지... 물론 그래도 전세는 뒤집기 힘들었겠죠..?
이치죠 호타루
17/08/21 19:28
수정 아이콘
물론 6군이 탈출했건 말건 독일군은 언젠가 박살이 났겠지만, 거기서 본 손실이 30만 가량이고 이게 어디서 쉽게 충원이 안 되는 만큼 전쟁이 최소 1년은 더 끌었겠죠. 그쯤 되면 국제 정세 및 정략적인 부분에서 분명히 영향을 끼치고도 남았을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377 [일반] 청년경찰 감상평 - 그냥 오락영화 [10] 유유히7198 17/08/20 7198 0
73376 [일반] 만일 한국이 핵무장을 한다면 한일 동시개발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봅니다 [24] 군디츠마라7554 17/08/20 7554 9
73375 [일반] [뉴스 모음] 일본 정부의 과거사 내로남불 외 [19] The xian8923 17/08/20 8923 32
73374 [일반] 기나긴 차 구입의 끝 그리고 AMG [76] 시그니쳐 초콜렛8719 17/08/20 8719 3
73372 [일반] 주한미군 철수, 북핵문제 그리고 백악관 내부 대중국 전략의 갈등 [14] metaljet7363 17/08/20 7363 2
73371 [일반] K9자주포 사고뉴스를 보고 생각난 군대시절이야기 [35] 레몬커피12284 17/08/20 12284 9
73370 [일반] 북한의 핵 도박이 성공하는 걸까요?... [85] Neanderthal13767 17/08/20 13767 5
73369 [일반] 장미전쟁. [10] Love&Hate12755 17/08/20 12755 22
73368 댓글잠금 [일반] 한국 오고 나서 [209] 들풀19706 17/08/20 19706 16
73367 [일반] 오늘 그것이 알고싶다를 보고 [23] PENTAX9836 17/08/20 9836 20
73366 [일반] 원말명초 이야기 (1) 시대의 끝, 시대의 시작 [26] 신불해13194 17/08/19 13194 87
73365 [일반] 팩트폭력의 대화 (1) [334] 王天君28707 17/08/08 28707 13
73363 [일반] 청색 작전 (7) - 맞받아 치다 [10] 이치죠 호타루5169 17/08/19 5169 11
73362 [일반] 어처구니없는 일을 당해서 넋두리좀 해봅니다.(내용 수정) [126] GoThree13066 17/08/19 13066 4
73361 [일반] [뉴스 모음] JTBC 정치부회의 여론조사 인용결과 조작 주장 외 [24] The xian11588 17/08/19 11588 28
73360 [일반] CF모델 지원(?)했다가 떨어진 이야기... [34] Neanderthal9238 17/08/19 9238 10
73359 [일반] 샬러츠빌 사태에 관한 아놀드 슈워제너거의 일침 [10] VKRKO8023 17/08/19 8023 6
73358 [일반] 웃기는 놈이네 [19] CoMbI COLa6344 17/08/19 6344 44
73357 [일반] 과거 학교폭력 피해를 입었는데 요즘들어 정말 후회가되네요 [124] 삭제됨14426 17/08/19 14426 16
73356 [일반] 한빛 4호기 망치형 금속 이물질 20여년 방치 추정 [56] Drone10097 17/08/19 10097 6
73355 [일반] 결국 벤츠 E200으로 계약 하였습니다. [89] 시그니쳐 초콜렛26965 17/08/19 26965 18
73353 [일반] 남중국해서 중 해경선이 베트남 어선 들이받아 침몰 [87] 테이스터14659 17/08/18 14659 10
73352 [일반] 메이웨더 vs 맥그리거 몇가지 잡설 [122] 운동화1216379 17/08/18 16379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